Even though our family and friends that I miss are far away,
we always meet each other easily through displays!
Samsung Display will connect all the world with the best technology ever.
![[일상속 디스플레이의 발견] 1편: 지금은 디스플레이 시대!](https://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21/01/800_500_썸네일_01.png)
멀티미디어
2021/01/27
[일상속 디스플레이의 발견] 1편: 지금은 디스플레이 시대!
보고 싶은 가족과 친구들,멀리 떨어져 있지만 우리는 늘 디스플레이로 만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고의 디스플레이 기술로 모든 세상을 연결해 가겠습니다.

테크
2021/01/25
슬기로운 노트북 사용법 Tip ① Dark UI
슬기로운 노트북 사용법 Tip 1 : Dark UI편 삼성디스플레이 OLED로 노트북 배터리를 아껴보자~!

테크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노트북용 OLED – ④ Future of OLED
초고화질 OLED 기술을 이제는 노트북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기술이 빚어낸 노트북용 OLED의 10가지 강점! 영상으로 만나보시죠~

테크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노트북용 OLED – ③ Sleek Design
초고화질 OLED 기술을 이제는 노트북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기술이 빚어낸 노트북용 OLED의 10가지 강점! 영상으로 만나보시죠~

테크
2021/01/11
삼성디스플레이 노트북용 OLED – ② Eye Friendly
초고화질 OLED 기술을 이제는 노트북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기술이 빚어낸 노트북용 OLED의 10가지 강점! 영상으로 만나보시죠~

테크
2021/01/04
삼성디스플레이 노트북용 OLED – ① Superior Image Quality
초고화질 OLED 기술을 이제는 노트북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기술이 빚어낸 노트북용 OLED의 10가지 강점! 영상으로 만나보시죠~

Replay the Display
2022/07/06
[REPLAY THE DISPLAY] VOL.9 노트북용 LCD 양산 시작
‘리플레이 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글로벌 리더 삼성디스플레이가 걸어온 발자취를 따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적 순간들을 포착해 공유하는 코너입니다.

스토리
2022/07/05
여름철 높은 불쾌지수, 과학적 팩트로 현명하게 대처하는 법
얼마 전까지 폭염경보로 무더위가 지속되더니 이제는 장마에 접어들었습니다. 무더위 속에서 긴 장마가 지속되는 우리나라 여름 날씨는 불쾌함을 느끼기 쉬운데요, 최근에는 무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불쾌지수가 높은 날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화를 돋우는 불쾌지수! 피할 수 없다면 제대로 대처하는 법을 알아보고 더 ‘해피’한 여름으로 고고! 불쾌지수의 시즌, 여름이 돌아왔다~ 불쾌지수는 기온과 습도에 따른 불쾌감을 나타낸 수치로, 온습도지수라고도 합니다. 1959년 미국의 기후학자 톰(E. C. Thom)이 고안하여 발표했습니다. 지수 산출 공식을 한번 알아볼까요? 불쾌지수 계산하려다 불쾌지수가 더 높아질 것 같은 산식이네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자동으로 산출해 주는 사이트! 웨더아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불쾌지수를 구할 수 있는데요. 기온과 습도를 입력한 후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오늘의 불쾌지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 웨더아이 사이트에서 기온과 습도를 입력하면 불쾌지수가 산출된다. 불쾌지수의 단계를 보면 수치가 68 미만일 때는 모두 쾌적함을 느끼고 그 이상부터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하는데요. 수치가 75 이상 80 미만일 경우 전체 인원 중 50%가 불쾌감을 느끼며 80 이상이 되면 모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물론, 불쾌지수에 대한 비판 역시 존재합니다. 기온과 습도만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름철 실내의 무더위를 알아보는 기준으로는 알맞지만 복사나 바람 조건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불쾌감을 느끼는…

D shorts
2022/06/29
[디쇼츠] 눈 건강을 위한 디스플레이 처방전, 삼성 OLED!

스토리
2022/06/29
지구는 녹아내리는 중, 한반도 크기의 빙하가 사라진다
전 세계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해 모든 육지가 물로 뒤덮인 세상. 겨우 살아남은 인류는 인공섬에서 바다를 표류하며 생존 투쟁을 벌이며 살아갑니다. 흙은 아주 귀한 재화 교환의 수단이 되었고, 사람들은 최후의 육지라 알려진 드라이랜드를 찾아 떠납니다. 1995년에 개봉한 영화 <워터월드>의 줄거리입니다. 20년도 훨씬 넘은 영화 속 이야기이지만 그저 영화적 상상이라고만 여겨지지 않는 이유는 왜일까요? 빙하가 녹고 있다 지구에는 남극, 북극 외에도 산악 빙하, 떠다니는 해빙 등 다양한 빙원이 곳곳에 존재합니다. 최근 지구온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얼음이 녹는 속도에 가속도가 붙어 빙하의 면적이 급격하게 축소되고 있다는 건 이미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에 따르면 2020년 10월 북극을 덮고 있던 얼음 면적은 528만㎢로, 역대 10월 관측 값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북극 빙하 면적은 2016년 10월 640만㎢, 2018년 10월에는 606만㎢를 기록했는데, 2020년의 면적은 역대 두 번째로 가장 작았던 2019년 10월의 566만㎢보다도 작은 수치입니다. 토마스 슬레이터 영국 리즈대 극지 관측 및 모델링 센터(CPOM) 연구원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23년간 전 세계적으로 총 28조 톤의 얼음이 사라졌는데요. 사라진 얼음의 50%가 그린란드 빙하와 남극의 평평한 얼음층인 빙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얼음이 녹는 속도도 빨라졌는데, 1990년대에는 매년 약 8000억 톤의 얼음이 녹았지만 2000년대 들어서 1조 2000억 톤,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뉴스레터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뉴스레터 Vol.113

트렌드
2022/06/28
음성인식 기술의 한계와 가능성_국경과 언어를 넘는 소통의 단초가 되다
“열려라, 참깨!”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들’의 주문을 기억하시나요? 음성 명령어의 원형이라고 할 만한 이 장면은 오랜 시간 후에 실제로 구현되었습니다. 1952년 미국 벨 연구소(Bell Labs)가 최초로 개발한 오드리(Audrey)는 음성인식 서비스의 효시로, 그 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는데요. 오늘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음성 키오스크 주문기, 시리와 인공지능 스피커, 내비게이션 등 음성인식 기술은 인간과 기계를 잇는 일상적 가교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기술은 인간의 편리한 삶을 가능하게 해주지만, 언어별로 적용 가능한 범위가 크게 다른 양극화 현상이 존재합니다. 국내외 플레이어 동향과 기술의 발전상, 향후 해결 과제를 한 번 알아볼까요? 글. MIT Technology Review 편집팀 기술과 서비스의 각축장, 음성인식 시장의 확장 최근 코로나 팬데믹 기간을 거치면서 음성 기술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졌습니다. 매거진 <음성 기술> 최신호에 따르면 음성인식 시장의 규모는 2025년까지 268억 달러(약 31조 7,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향후 발전 가능성 또한 높습니다. 국내는 주요 가전업체와 통신사, 플랫폼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요. 주요 기기와 서비스로는 ▲삼성 ‘빅스비’ ▲LG ‘Q보이스’ ▲SK텔레콤 ‘누구’ ▲KT ‘기가지니’ ▲네이버 ‘클로바’ ▲카카오 ‘카카오’ 등이 있습니다. 국내 음성 AI 플랫폼은 한국어에 특화된 음성 인식∙합성 성능과 IPTV 셋톱박스 기능, 검색, 팟캐스트나 음악 스트리밍 등 국내 인터넷∙모바일 서비스와의 연동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반면 글로벌 음성…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