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d' 검색 결과

|
2022.05.31
삼성디스플레이, 할리우드 영화 산업계에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 소개
할리우드. 미국 영화 산업의 메카이자 상징이죠. 창의성은 물론, 3D,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람객 행동 분석 등 첨단 기술을 동력으로 영화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는 할리우드에 삼성디스플레이가 QD디스플레이를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쉐라톤 유니버설호텔에서 5월 17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할리우드 리빌(Hollywood Reveal)’은 영화 산업계 리더 및 전문가들에게 QD디스플레이와 OLED 기술로 영화 제작의 미래를 어떻게 구상할 수 있는지를 강조하기 위해 열렸습니다. 디즈니부터 넷플릭스까지, 할리우드 영화 산업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 할리우드 영화 산업계 전문가들에게 QD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모습 이번 행사에는 내로라하는 글로벌 스튜디오 및 영상 업체가 참여했는데요. 디즈니, 유니버설 스튜디오, 워너 브라더스, 넷플릭스 등 총 12개 주요 영화 제작사가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 소개 자리에 한 데 모였습니다. 먼저 QD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제품·기술 설명과 함께 직접 제품 관람 코너가 이어졌는데요. 참석자들은 QD디스플레이의 현재 과제와 앞으로 기대되는 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미래 영화 산업에 끼칠 디스플레이 기술의 진보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습니다. QD디스플레이의 경우 영화를 만드는 제작팀으로서 경험하는 공간 그리고 집에서 영화를 보는 소비자로서 QD디스플레이를 즐기는 공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습니다. ▲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개한 65인치 QD디스플레이 다양한 시청 환경을 재현해 놓은 65인치 QD디스플레이 TV 전시 부스를 통해 QD디스플레이의 생생한 화질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했고, 함께 전시된 34인치…
더보기

|
2022.05.12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SID)를 빛낸 삼성디스플레이의 혁신 기술·제품 공개 현장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인 정보디스플레이학회(이하 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의 학술 전시회 ‘디스플레이 위크’가 5월 10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열렸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Meet amazing techverse in Samsung Display’라는 주제로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관을 마련했는데요.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계의 별들이 한자리에 모인 이곳에서, OLED와 QD-Display를 선보이며 전문가들에게 주목받은 삼성디스플레이의 특별한 전시 현장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해드립니다. 친환경을 실현한 기술 ‘Eco² OLED™’ Zone 삼성디스플레이는 총 6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미래 디스플레이 세계로 입장하기 위해 제일 먼저 거쳐야 하는 입구. 새로운 디지털 시대를 향하는 ‘문’을 상징하는 스퀘어를 중첩시켜 웅장함을 표현했습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각 Zone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Eco² OLED™ (에코스퀘어™) Zone에서는 친환경 저소비전력 기술을 담은 Eco² OLED™ 제품 전시와 지구를 먼저 생각하는 삼성 OLED의 친환경 발걸음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Eco² OLED™를 통해 이루어진 소비전력 절감 효과를 직접 눈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Eco² OLED™기술이 최초로 탑재된 Galaxy Z Fold 3와 기존 OLED가 탑재된 Galaxy Z Fold 2를 비교해서 보여주고 있는데요. Eco² OLED™는 빛 반사 방지를 위해 사용해 온 편광판을 제거하고 새로운 패널 적층 구조를 적용해 소비전력을 향상시킨 기술입니다. 밝기를 높이면서 소비전력은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빛 투과율은 33%…
더보기

|
2022.05.06
에코 스퀘어 OLED, 2022 최고의 디스플레이로 선정된 이유4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인 정보디스플레이학회(이하 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로부터 혁신적인 저전력 기술로 폴더블 대중화를 연 ‘에코 스퀘어 OLED(ECO2 OLEDTM)’ 기술이 우수성을 인정받아 올해 최고의 디스플레이로 선정되었습니다. 그 이유를 함께 알아볼까요?
더보기

보도자료
|
2022.05.04
삼성D ‘에코 스퀘어 OLED’로 SID ‘올해의 디스플레이’ 수상
□ 업계 최초 무편광 OLED 기술 ‘올해의 디스플레이’로 선정□ 빛 투과율 33% 상승, 소비전력은 25% 절감, 획기적인 친환경 기술로 평가□ 폴더블 스마트폰뿐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잠재력 지녀 혁신적인 저전력 기술로 폴더블 대중화를 연 ‘에코 스퀘어 OLED(ECO2 OLEDTM)’ 기술이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인 정보디스플레이학회(이하 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로부터 우수성을 인정 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최주선)는 업계 최초로 편광판 기능을 내재화한 에코 스퀘어 OLED(ECO2 OLEDTM) 기술이 SID ‘올해의 디스플레이(Display of the Year)’를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올해의 디스플레이’는 전년에 출시된 제품 중 가장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제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SID가 매년 수여하는 ‘디스플레이 산업상(DIA, Display Industry Awards)’ 중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꼽힌다. SID는 “에코 스퀘어 OLED기술 덕분에 폴더블 기술이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며 “같은 밝기의 일반 OLED와 비교하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색 표현력 면에서도 뛰어나다”고 호평했다. 에코 스퀘어 OLED는 편광판을 제거하고 새로운 패널 적층 구조를 적용해 소비전력을 향상시킨 기술로 갤럭시Z폴드3에 최초로 적용했다. 일반적으로 빛이 편광판을 통과할 때 밝기가 50% 이상 감소하게 되는데, 에코 스퀘어 OLED기술을 적용하면 빛 투과율을 33% 높여 같은 밝기에서도 패널 소비전력을 최대 25%까지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저전력 기술로 꼽힌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인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친화적인 기술로 평가받는다. 김성철 중소형디스플레이…
더보기

트렌드
|
2021.06.10
촉감을 원격으로 전달한다? 메타버스 시대의 몰입기술, ‘텔레햅틱’
3G 휴대폰이 처음 보급되던 시절, 화상 통화를 하다가 화면에 작별의 입맞춤을 하는 사람을 본 적이 있다. 통화를 하다가 갑자기 휴대폰 화면에 입을 갖다 대니 조금 놀랐다. 이렇게 사람은 실물이 아니더라도 어떻게든 연결되기를 원한다. 실제로 접촉하지 않으면 실감이 나지 않는 탓이다. 장난감 다큐멘터리 ‘토이: 우리가 사랑한 장난감들’에 나오는 수집가들이 하나같이 말하는 것도 그 촉각이다. 장난감은 영상과는 달리 직접 만질 수 있어서 좋다고. 요즘 같은 시대에도 여전히 종이책이 많이 팔리고, 자연으로 캠핑을 떠나며, 어떻게든 서로 만나고 싶어 하는 이유가 그렇다. 촉각은 가상과 현실을 구분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다. 멀리 떨어져 있어도 느낄 수 있다! 텔레햅틱 기술 텔레햅틱(telehaptics)이란, 촉각을 원격으로 재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멀리 떨어져 있음을 뜻하는 텔레(Tele)와 만진다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haptesthai)에서 유래한 햅틱(Haptic)을 합친 말이다. 예를 들어 최근 ETRI에서 개발한 텔레햅틱 기술을 보면 최대 15m 떨어진 거리에서도 금속,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질을 손가락으로 느낄 수 있다. 특정 물체가 센서에 닿으면 거기서 물체에 대한 촉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전송해 촉감을 재현하는 기기로 재생한다. 소리를 녹음한 다음 데이터로 만들어서 전송해 멀리 떨어진 스피커로 소리를 들려주는 일과 비슷하다. 물론 물체 재질을 읽어내는 센서와 이를 재현하는 액추에이터, 실시간 데이터 제어·전송 등 여러 가지 기술이 필요하기에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일반적인 햅틱 기술과는 어떤 게 다를까? 스마트폰에서 진동을 느끼게 해주는 햅틱 기술이나, 노트북 트랙패드에서 쓰이는 포스 피드백 같은 단어는 한 번쯤 들어봤을…
더보기

|
2021.05.20
이젠 인공지능이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시대! 혁신 설계를 실현한 삼성디스플레이 AI 사용법
지난 19일,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 SID(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가 주최한 ‘Display Week 2021’ 행사에서 삼성디스플레이 김용조 상무(CAE팀장)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AI and Machine Learning for Display)’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이 강연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 연구, 개발 영역에서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및 디자인 최적화 그리고 이를 구현한 실제 사례들이 소개됐습니다. AI의 영역이라고 하면 보통 알파고(AlphaGo)가 바둑을 둔다거나 고도화된 외국어 번역, 그리고 최근에 자주 볼 수 있는 챗봇(Chatbot) 같은 서비스를 떠올리기 쉬운데요. 디스플레이 패널을 실제로 설계하고 제작할 때도 AI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스플레이 제조에 AI를 적용한다는 개념이 아직은 낯설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오늘 인터뷰에서 만난 삼성디스플레이 김용조 상무는 점점 고도화되는 디스플레이 개발 환경에서 AI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의 영역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Q.삼성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개발에 AI 기술을 언제 도입했나요? AI 관련 기술이 생산 현장에 적용된 건 생각보다 오래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도입된 영역은 제조 부문이었는데요. 불량률을 낮추고 양품 수율을 높이기 위한 검사나 설비 진단 등에 활용되었습니다. 제조 부문에서 AI가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이었다면, 현재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목표 달성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광범위하고 빠르게 수행하는 자체 AI 엔진과 기술을 개발∙적용해 최적 결과물을 도출하는 방식입니다. 탐색 범위가 사람보다 훨씬 넓기 때문에 미처 상상하지 못한 놀라운 설계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예전에 알파고와 이세돌 선수가 바둑 경기를 할 때, 알파고가 기존의 방식과는 너무 다른 엉뚱한 수를 두면서도 게임에서 승리한 경우도 이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연구개발 부문에…
더보기

멀티미디어
|
2021.05.18
[SID 2021]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 상 수상 소감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 김성철 사장이 세계 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로부터 2021년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상(The Karl Ferdinand Braun Prize)’을 수상하였습니다. 브라운관 TV를 발명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브라운 박사를 기념해 SID가 1987년부터 제정해 운영중인 브라운 상은 평생에 걸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공을 세운 인물에서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공로상입니다. 김성철 사장은 오늘 공개한 영상을 통해 이번 브라운 상 수상 소감을 전했습니다.
더보기

|
2021.05.18
[SID 2021]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 상 수상 소감
지난 4월 13일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 김성철 사장은 세계 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로부터 2021년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상(The Karl Ferdinand Braun Prize)’을 수상하였습니다. 김성철 사장은 LTPS 기반의 고해상도 OLED 대량 생산에 기여한 공을 인정 받아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권위의 디스플레이 학회인 SID는 브라운관 TV를 발명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브라운 박사를 기념해 1987년부터 이 상을 제정해 운영중이며,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상’은 평생에 걸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공을 세운 인물에서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공로상입니다. 김성철 사장은 오늘 공개한 영상을 통해 이번 브라운 상 수상 소감을 전했습니다. ▲ 삼성디스플레이 김성철 사업부장(사장)의 브라운 상 수상 소감 영상 김성철 사장은 영상에서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할 수 있었다면 이번 상은 저에게 굉장한 영광”이라며 브라운 상 수상에 감사를 표했으며,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과 후진 양성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는 소감을 밝혔습니다. 특히 14년전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OLED 양산을 해 낸 순간부터, 모바일, 웨어러블, 폴더블 등 괄목할만한 응용 제품개발을 이룬 현재까지, 동료 연구원들과 함께 했던 많은 순간들을 추억하며, 중소형 OLED 분야에서 80% 수준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달성한 점에 자부심을 표했습니다. 김성철 사장은 4차 산업시대가 오면서 현실 세계(Real World)를 넘어 메타버스(Metaverse)로 디스플레이의 역할이 확장될 것이라며, 미래의 디스플레이는 플랫하고, 각진 모습을 넘어 다양한 폼팩터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