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SC' 검색 결과

|
2021.06.02
[컬러 & 디스플레이] 제 5화: 현실을 더 실감나게 재현하는 디지털 컬러의 마법!
봄기운이 완연하던 5월 초, 마법 같은 소식이 들렸다. KAIST의 연구팀이 입을 수 있는 O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는 뉴스였다. 30 마이크로미터 굵기의 미세 섬유 속에 OLED 소자를 넣고 코팅하여 평면 디스플레이와 같은 수준의 전자 섬유를 개발한 것이다. 기존의 실험적인 샘플들보다 훨씬 발전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높은 휘도와 낮은 전력 소비율로 실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고, 인지도 높은 국제 저널에도 실렸다. 입는 디스플레이(wearable display)는 입는 로봇(wearable robots)처럼 인간의 능력과 상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치다. 카멜레온처럼 환경에 따라 옷 색깔을 쉽게 바꿀 수 있다면, 기분에 따라 스타일을 자주 변화시킬 수 있다면 우리의 생활 자체가 달라질 것이다. 오래전 <해리 포터>의 투명 망토 기술이 화제가 되었던 것처럼, 그럴듯하게 상상해온 아이디어는 아주 늦을 수는 있지만 대부분 현실화되었다. 하늘을 날며 외계의 적을 무찌르는 로봇이 아직 상상 속에 남은 것처럼, 옷 전체를 시시각각 변화하는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기술도 당분간은 마법 같은 상상에 머물 것이다. 마법과 같은 컬러 세상 ▲ 1954년 미국에서 출시된 RCA TV는 둥근 튜브 형태의 화면에 컬러 방송을 보여준 최초의 제품이었다 (출처: 위키피디아) 컬러는 마법과 같다. 지금 우리나라의 50대 이상 계층은 1981년 컬러 방송이 처음 시작되던 새해 첫날을 기억한다. 한적한 농촌과 도서에 전기가 들어간 지 채 몇 년 지나지 않아서 컬러 방송이 시작되었으니, 무척 놀라운 경험이었다고들 말한다. 전기가 없던 시절은 너무도 어두웠다. 집마다 켜 놓은 남포등과 촛불이 전부였다. 밝은 달이 뜨지 않은 날에는 칠흑같이…
더보기

|
2021.04.23
[컬러 & 디스플레이] 제 4화: 디스플레이 색공간과 해상도 디스플레이 화질, 현실의 색을 넘어서다
올림픽이나 월드컵 경기의 개최는 건설, 관광, 컨벤션, 서비스, 전자 등 모든 산업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어왔다. 일본의 전자 산업계는 이번 도쿄올림픽을 재도약의 발판으로 삼으려 했다. 특히 전 세계로 송출되는 중계방송을 통해 자신들의 영상 관련 기술을 홍보할 기회로 보았다. TV 시청자들의 눈에는 경쟁하는 선수들이 보이지만, 올림픽과 같은 글로벌 이벤트의 이면에는 전자업계의 시장확보를 위한 치열한 전쟁도 숨어 있다.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전자업계가 갈고 닦은 무기는 초고화질 8K 영상 시스템이다. 아직 세계적으로 4K UHD 해상도의 방송도 완전히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그 4배의 화질을 가진 8K 영상은 오버 스펙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기술 발전 추세를 볼 때 초고화질 영상 시스템은 머지않아 대량으로 파급될 것이다. 사람의 감각은 더 높은 품질에 잘 감응하고 몰입한다. 그래서 우리의 시각도 더 좋은 화질을 보면 다시 낮은 화질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스크린이 크고 고화질일수록 임장감(臨場感)과 현장감(現場感)이 높다. 임장감(presence)은 그 장소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의미고, 현장감(reality)은 그 장소가 눈앞에 실재하는 것처럼 펼쳐진다는 느낌이다. 초고화질은 구석기 동굴벽화 이래 사실적인 재현(representation)을 향한 노력의 정점이다. 아날로그부터 디지털까지, 해상도의 변천사 영상 품질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해상도는 지난 20년간 드라마틱한 발전을 보여주었다. 20년 전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로 전환할 때의 기준 해상도는 세로 방향으로 480픽셀이었다. 영상 가전제품의 광고에 ‘수평 해상도 360선 고화질 영상’ 같은 문구도 있던 상황이었으므로 480선의 해상도는 분명한 발전이었다. 게다가 여러 번 복사하거나 편집해도 화질의 손상이나 노이즈가 생기지 않으니 디지털 영상의 장점은 큰 가치를 지니고…
더보기

|
2019.03.06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10. NTSC
NTSC는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약자로, 방송용 전파에 대한 미국 표준화 담당기구의 이름이자, NTSC가 제정한 아날로그 방송 기술 표준을 의미합니다. 영상의 한 장면을 디스플레이 세로 480 라인으로 표현하며, 초당 30프레임, 60Hz의 주파수로 구현합니다. NTSC는 1953년 컬러 TV 방송의 기술 표준을 제정하며 색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색공간 기준도 함께 마련했습니다.
더보기

|
2018.05.17
[디스플레이 톺아보기] ㉘ 디스플레이 색 체계의 역사 Part.2
“인간은 정보의 80%를 시각에 의존하고, 그 대부분은 색채로 이루어져 있다” 세계적인 대문호이자 색채심리 전문가인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는 ‘색채론(Theory of Colours)’이라는 저서를 통해 위와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그만큼 눈으로 보는 세상에서 색은 수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디스플레이가 보편화된 지금도 무척 강조되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한번 보겠습니다. 컬러 사진을 보면 흑백 사진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꽃의 색상이나 하늘의 모습을 통해, 계절이나 기상상태에 대한 추측을 더 할 수 있고 사물간의 구별도 더 뚜렷해집니다. 이렇듯 색은 더 많은 시각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심미적인 아름다움까지 더해줍니다. 색에 대한 이해와 실용적 접근법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많은 연구와 고민이 이어져 왔습니다. 고대로부터 이어져온 색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색의 영역을 다이어그램(CIE 1931 등)으로 시각화 하기도 했습니다. ※ [디스플레이 톺아보기] ㉗ 디스플레이 색 체계의 역사 Part.1 오늘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다루는 색공간(Color Space)에 대해서 그 대표적인 종류와 차이점을 톺아보겠습니다. 색공간(Color Space)이란? 축구 경기장 크기에 제한이 없다면 어떨까요? 농구 골대의 위치가 경기마다 제각각이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아마 선수들은 혼란을 겪을 것이고, 경기는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것입니다. 운동 경기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규칙이 있고, 경기가 벌어지는 공간에 대한 규격도 존재합니다. 경기장에 규격이 있듯이 디스플레이에서 색을…
더보기

모바일
|
2016.03.31
갤럭시S7, 맞춤형 화면모드 기능 알고 계셨나요?
삼성 갤럭시S7 시리즈는 사용자의 취향과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설정 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디스플레이 '화면모드'라고 불리는 기능인데요, 영화를 보거나, 전문가용 사진을 감상할 때, 그리고 일반적인 상황 등에서 가장 적절한 화질을 표현해 줍니다.
전세계 스마트폰 중 오직 OLED를 사용한 갤럭시 시리즈에서만 제공되는 기능으로, 최근 미국 화질평가기관인 디스플레이메이트에 따르면 갤럭시S7의 잘 알려지지 않은 기능이지만, 다른 스마트폰에도 빨리 탑재되기를 희망할 정도로 매력적인 특장점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갤럭시S7의 화면모드는 '화면 최적화', 'AMOLED 영화', 'AMOLED 사진', '기본' 이렇게 총 4가지입니다.
그럼 우선 설정 방법을 보면서 각 모드마다 어떤 특징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더보기

용어 사전
|
2010.06.30
색재현율에 대해 알아봅시다.
TV, 휴대폰,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의 화질에 대해 평가할 때는 우리가 흔히 보는 스펙인 해상도 외에도 밝기, 명암비, 색 재현율 등의 기준이 있습니다.
더보기

|
2010.05.31
아몰레드에도 종류가 있다?? (수퍼아몰레드와 아몰레드 플러스)
얼마 전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장착하여 주목을 받은 삼성전자 '갤럭시A'와 출시를 눈앞에 둔 '갤럭시S'는 아몰레드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