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R' 검색 결과

|
2022.04.27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94편: 컬러 볼륨(Color Volume)
컬러 볼륨(Color Volume)이란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에 따라 달라지는 색의 변화까지 측정하는 3차원 화질 측정 지표입니다. 디스플레이가 색을 정확하게 표현한다는 것을 그림에 비유하면, 다양한 색상의 물감을 사용해 그림을 그리는 것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픽셀에서 표현 가능한 색 범위가 넓을수록 보다 실제에 가깝게 사물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색 표현력은 위 그림과 같이 인간이 볼 수 있는 빛과 색의 영역(가시광선)을 나타낸 다이어그램(CIE 1931)을 기반으로, 해당 영역 안에서 표현 가능한 색의 범위를 백분율로 표기해 나타내며, 이때 범위가 넓을 수록 색재현력이 좋은 디스플레이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디스플레이는 밝기에 따라서 표현할 수 있는 색의 영역이 변하게 됩니다. 어두운 화면에서는 밝을 때보다 표현 가능한 색상이 크게 줄어드는 것이죠. 그러나 2차원 색재현력 방식은 밝기에 따른 색상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밝기의 단계별로 표현 가능한 색재현력 지표로 컬러 볼륨을 사용합니다. 컬러 볼륨은 위 그림과 같이 부피 개념의 입체적인 형태입니다. 무지개색 광석처럼 생긴 이 입체 도형은 밝기가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로 변화할수록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의 영역을 보여줍니다. 이 도형을 단층 촬영한다고 상상하면 각각의 밝기에서 평면적인 색재현력을 볼 수 있다고 이해하면 편합니다. 컬러 볼륨의 크기가 상하좌우로 늘어날수록 표현 가능한 범위가 늘어나기 때문에, 높은 컬러 볼륨 수치를 갖춘 디스플레이는 보다 현실감 있는…
더보기

|
2021.07.22
[컬러 & 디스플레이] 제 7화: 빛과 그림자 사이의 무한한 간극 ‘HDR’
“어둠이 깊을수록 별은 더 밝게 빛난다”와 같은 표현은 여러 가지로 변용되어 강연에서, 수필에서, 노래에서도 자주 인용되었다. 원래 러시아의 문필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Fyodor Dostoevsky)가 <죄와 벌>에서 언급한 명언이라는 설도 있었지만, 동시대 시인 아폴론 마이코프(Apollon Maykov)의 시 한 구절이라는 주장도 있다. 어둠은 죄를 뜻하고 별빛은 신의 은총으로 해석되지만, 색채 연구자들에게는 명암 대비와 휘도(輝度, luminance)의 관계를 연상시킨다. 밝은 정도를 뜻하는 휘도는 일반적인 밝기(明度, brightness)와 약간 다르다. 휘도는 빛을 발하는 밝음의 상태를 구분하는 말이다. 그런데 밝음의 정도는 상대적이다. 촛불 하나를 켜면 어두운 방을 은은하게 밝힐 수 있지만, 전등 아래에서는 환하게 보이지 않는다. 환한 조명도 햇볕 아래에서는 밋밋하다. 그러니 깜깜한 밤의 벌판에서는 작은 불빛도 구원의 계시처럼 보일 수 있다. 도스토옙스키는 험한 시베리아의 유배 생활을 등잔불 아래에서 성경과 함께 이겨냈다고 한다. 허름한 교도소의 침침한 불빛 속에서 손가락을 짚어가며 읽은 성경의 구절구절은 대문호로 가는 먼 길을 환히 밝힌 빛이었을 것이다. 빛의 세기, 즉 광도(光度)를 측정하는 단위는 촛불 하나의 밝기 정도인 칸델라(candela)인데, 줄여서 cd라고 쓴다. 원래 포르투갈어로 양초를 뜻하던 칸델라는 네덜란드 상인들을 통해 전 세계로 보급된 이동식 조명기구 칸델라르(Kandelaar)를 지칭하기도 했다. 광물질 카바이드(carbide)에 물을 섞으면 아세틸렌 가스로 바뀌어 잘 연소하는 원리를 이용한 이 조명 장치는 실제로 약 5cd의 빛을 발했다. 촛불보다 더 밝고 한번 불을 붙이면 7시간 정도 지속하여 19세기 노동 현장부터 초기 자동차 전조등까지 두루 쓰였다. 1950년대 독일 뮌헨에서 유학했던 수필가 전혜린은 안개 자욱한…
더보기

|
2019.03.20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12. HDR (High Dynamic Range)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는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범위보다 훨씬 제한적인 수준의 밝고 어두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HDR은 영상의 밝고 어두운 영역을 더욱 세밀하게 묘사함으로서 실제로 우리 눈이 보는 풍경과 비슷한 화질을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더보기

|
2019.01.23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4. 휘도 (Luminance)
휘도(Luminance)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화면을 밝게 표시할수록 야외의 태양 빛 아래에서도 화면의 이미지나 영상을 또렷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성능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단위는 cd/㎡(칸델라) 또는 nit를 사용하며, 1칸델라는 촛불 1개가 비추는 밝기를 의미합니다.
더보기

|
2018.06.14
[디스플레이 톺아보기] ㉚ HDR(High Dynamic Range)의 이해
디스플레이에서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본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요? 천연의 색을 그대로 표현하거나, 사물의 디테일을 선명하게 보여주면 아주 사실감이 느껴지는 장면이 될 것입니다. 여기에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이 바로 밝기와 명암입니다. 아무리 표현할 수 있는 색이 많고, 해상도가 높은 디스플레이라고 하더라도 화면이 어둡거나, 명암비가 낮으면 사물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색상도 본연의 빛깔을 표현하지 못합니다. 과거에는 화질의 좋고 나쁨에 대해 이야기할 때 주로 Full HD나 UHD와 같은 해상도를 놓고 비교를 했다면, 최근에는 해상도는 기본적인 성능으로 두고 여기에 더해 색과 명암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몇년 전부터 고화질 영상을 위한 기술로 밝기와 명암을 다루는 HDR(High Dynamic Range)이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영상 콘텐츠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디스플레이에서의 HDR 기술에 대해 톺아보겠습니다. HDR(High Dynamic Range)이란? 자연에는 빛이 전혀 없는 완전한 어둠부터 태양 빛에 준하는 엄청나게 밝은 범위가 동시에 공존합니다. 하지만 일반 TV나 극장의 디스플레이는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밝기의 범위보다 무척 제한적인 영역만 표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로 우리 눈이 보는 풍경과 TV로 접하는 동일한 풍경의 밝기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HDR은 명암(화면의 밝고 어두운 정도)의 범위를 넓혀, 밝은 부분은 더 밝고 세밀하게 보여주고,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표현하되 사물이 또렷하게 보이도록 하는…
더보기

모바일
|
2017.09.13
한층 더 진화한 역대 최고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갤럭시 노트8’ 미디어데이 현장을 가다
지난 14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갤럭시 노트8 국내 데뷔 무대가 열렸습니다.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행사를 통해 최초 공개된 갤럭시 노트8은 대화면 스마트폰의 이정표를 제시하며 국내 팬들에게 높은 기대감을 심어줬습니다. ‘모든 순간을 가장 나답게’ 만들어주는 갤럭시 노트8은 어떤 매력을 갖추고 있을까요? 설렘 가득했던 현장을 소개해드립니다.
더보기

스토리
|
2017.08.07
가슴 속 사진 작가의 꿈, 게임에서 한번 이뤄볼까?
스마트폰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바꿔놓았습니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꺼내 사진을 찍는 모습은 이전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풍경 중 하나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컴팩트 카메라 시장은 쇠퇴했지만 ‘사진’은 오히려 더욱 대중화되며 우리 생활의 일부로 자리했습니다.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는 이제 DSLR의 기능을 흉내내기 시작했고 전문 장비의 힘을 빌어야 했던 특수 효과도 다양한 필터 앱으로 어느 정도 흉내를 낼 수 있게 됐죠. 이런 흐름은 이제 사진을 넘어 게임까지 확대되는 모양새입니다. 2014년 플레이스테이션4(이하 PS4)로 발매된 ‘인퍼머스 : 세컨드 선’을 기점으로 게이머는 사진 작가의 자리를 넘보기 시작합니다. 게임에 스크린샷 특화 기능인 ‘포토 모드’가 탑재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 인퍼머스 : 세컨드 선의 포토 모드 설명 영상(출처 : 플레이스테이션 EU 공식 유튜브 채널) 포토 모드는 본래 게임기의 성능 과시 겸 마케팅 포인트 성격이 강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시장에 등장하자 의외의 결과를 냅니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촬영도 게임 속에서는 가능했고 게임의 방해요소가 될 것 같았던 포토 모드도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간편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가파른 절벽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려고 할 때, 현실 속에서는 많은 제약과 위험이 따르지만 ‘언차티드 4’ 같은 게임에서는 캐릭터가 절벽에 매달리는 순간 포토 모드를 켜면 됩니다. 그럼 즉시 게임이 멈추고, 사진 촬영을 위한 준비가 끝납니다.…
더보기

모바일
|
2017.05.02
갤럭시 S8•S8+, 풀스크린으로 더 빛나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스타일로 디자인 혁신과 제품 기능 향상,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갤럭시 S8, S8+의 풀스크린 OLED의 이모저모를 카드뉴스로 만나보세요!
더보기

모바일
|
2017.03.30
풀스크린 혁명! “갤럭시S8”
3월 29일 11시(현지시각) 미국 뉴욕 링컨센터에서 전세계 미디어 관계자 2,000여명이 참석한 삼성 갤럭시언팩 행사에서 삼성전자의 ‘갤럭시S8과 갤럭시S8플러스가 공개되었습니다. 갤럭시 S8 시리즈는 18.5:9 화면비의 디스플레이를 채택해 16:9 화면비 위주의 스마트폰 시장에서 디스플레이의 세대교체를 예고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8은 더욱 정교해진 디자인, 손에 착 감기는 듯한 편안한 그립감과 지문·홍채·안면 인식 등의 강화된 생체 보안기술들이 공개했습니다. 이와 함께 음성을 통해 스마트폰을 컨트롤하는 음성AI ‘빅스비’, 스마트폰을 PC처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DocK ‘삼성 덱스’를 새롭게 선보여 행사 참가자들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인피니티 디스플레이(Infinity Display)로 명명된 갤럭시S8 디스플레이는 기능과 디자인 측면에서 한층 진화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풀스크린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여 선명한 QHD+(2960×1440) 해상도와 18.5:9의 넓은 화면을 통해 최상의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디스플레이 상하좌우 베젤을 모두 최소화하여 제품 전면에서 화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화면을 두 개로 나눠 2가지 앱을 동시에 이용하기도 편리해졌습니다. 또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코너 형태의 부드러운 곡선미를 구현하여 갤럭시S8 시리즈만의 차별화된 감성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와 감성적인 디자인 등 갤럭시S8의 업그레이드된 제품 특징에 대해 외신과 IT전문매체들의 호평이 이어졌습니다. 블룸버그(Bloomberg)는 갤럭시S8이 네 모서리의 곡면 디자인과 더 깊이 있는 디스플레이 색감이 강점이며, 삼성의 턴어라운드를 이끌 경쟁력을 가진 제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18.5:9의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는 얇은 베젤로 인해 동영상을 더욱 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