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exible' 검색 결과

|
2019.05.08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18. 플렉시블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대표적 기술인 ‘플렉시블 OLED’. 평판 OLED와는 어떻게 다르길래 자유자재로 구부리거나 접었다 펴는 것이 가능할까요? 유연한 PI 소재와 박막봉지 기술의 결합으로 구현한 플렉시블 OLED의 구조와 형태를 알아봅시다.
더보기

칼럼
|
2017.05.15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2016년 스마트폰 산업의 화두는 중국 업체들의 약진이었습니다. 애플(Apple)과 삼성전자가 양분했던 하이엔드(High-end) 시장에서도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상승세는 놀라웠습니다. 한동안 시장을 뜨겁게 달구었던 샤오미(Xiaomi)는 고전했지만, 통신장비의 최강자인 화웨이(Huawei)와 비보(Vivo), 오포(OPPO)를 거느린 BBK의 약진은 주목할 만한 변화였습니다.
더보기

|
2016.07.21
왜 OLED인가? – ③플렉서빌리티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고, 둘둘 말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조사업체 IHS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이 올해 37억 달러에서 2022년까지 155억 달러로 300% 이상 크게 증가하며, 2020년에는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 매출의 13%를 플렉시블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2016년엔 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등에 사용되지만 2022년에는 태블릿, VR, 자동차용 모니터 등으로 사용처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였답니다.
더보기

|
2016.02.19
[삼성디스플레이] 우리 앞에 성큼 다가온 상상 속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대!
자유자재로 구부렸다 펼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바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인데요~ 영화 속 먼 미래 이야기처럼 들렸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올해부터 플렉시블 기술이 디스플레이 시장의 차세대 신성장 동력으로 본격적인 성장세에 접어들 전망인데요. 최근 성장세가 둔화된 스마트폰 시장에도 디자인 혁신을 통한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매출 규모는 53억 6,600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출하량 역시 지난해 보다 2배 이상 늘어난 1억 2,160만개까지 확대되며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의 블루칩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인데요. 향후 시장 전망 역시 매우 밝습니다. 2020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매출 157억 5,430만 달러, 출하량 3억 5,300만개 규모까지 확대될 전망이며, 2015년부터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67.2%, 44.8% 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현재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기술로 불리는 일반적인 평면(Flat) 형태와 구부러진 형태로 고정된 커브드(Curved)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요. IHS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향후 벤더블(Bendable), 폴더블(Foldable), 롤러블(Rollable), 스트레쳐블(Stretchable) 등의 기술 진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현에 활용되는 기술은 OLED가 99% 이상의 절대적인 비중을 점유하고 있죠! OLED는 스스로 빛을 내는 R(빨강), G(초록), B(파랑) 유기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백라이트 광원이 필요 없어 플렉시블 구현에 최적화된 기술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플렉시블 OLED는…
더보기

|
2014.12.10
내년에도 활약이 기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이 2015년엔 크게 성장할 전망입니다. 디스플레이 서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휴대폰과 스마트워치 등의 생산량이 15년에 급격히 늘어나 14년대비 9배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1년에는 200억달러를 초과할 것이라고 하는데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둘둘말고 접을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의미합니다. 얇고, 가벼우며 깨지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 덕에 그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답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본격적으로 제품에 적용된 것은 13년 하반기부터 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작년 10월에 출시된 ‘갤럭시 라운드’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5.68인치 풀HD 커브드 슈퍼아몰레드)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였답니다. 이 제품은 세계 정보디스플레이 학회 ‘SID 2014’에서 ‘올해의 디스플레이 상(Display of the year Award)’ 최고상인 금상을 수상하였는데요. 얇은 플라스틱 기판에 유기발광소자를 증착하여 자유롭게 휠 수 있는 특성을 구현한 덕분에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에 중요한 한 획을 그었다고 평가 받았답니다. 14년 한 해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면서 제품 디자인 및 기능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4월에는 1.84인치 커브드 슈퍼아몰레드를 세계 최초로 웨어러블 기기 ‘기어핏’에 탑재하였고, 11월에는 2인치 커브드 슈퍼아몰레드가 스마트워치 ‘기어S’에도 적용되었는데요. 생생한 화면과 자유롭게 휘어지는 곡선 덕분에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라고 평가받았답니다. 9월에는 세계 최초로 한쪽면이 구부러진 신개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커브드엣지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갤럭시 노트 엣지’에 탑재되었는데요. 제품의 오른쪽…
더보기

스토리
|
2013.07.19
[대학생 웹툰] AMOLED에 대해 알아봅시다
AMOLED나 디스플레이 기술이 이해하기 어렵다구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디스플레이는 전자기기에서 아주 중요한 구성품이죠?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집에서 즐겨보는 TV에 디스플레이가 없다고 상상해 보세요~~ 정말 불편할 것입니다. 하나씩 차례로 보면서 디스플레이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보내주세요^^
더보기

|
2012.12.07
생활속으로 들어온 미래형 아몰레드^^
생활속으로 들어온 미래형 아몰레드 시계를 펼치면 태블릿PC가 되고 주방용 접시가 고흐와 클림트의 그림이 담긴 문양으로 변한다면… 누구의 아이디어냐구요?~~ 바로 삼성디스플레이는 ‘미래디스플레이 공모전’에서 나온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번떡이는 아이디어 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09년부터 대학생 대상 미래디스플레이 공모전을 꾸준히 개최하고 있는데요~~ 여기서 나온 톡톡튀는 아이이어 들~~ 앞으로 쭉~~ 시리즈로 만나볼께요^^ 오늘은 그 첫번째 바로 ‘우리 생활속으로 들어온 미래형 아몰레드 편입니다’ 먼저 소개할 톡톡튀는 아이디어는 올해 개최된 공모전에서 장려상을 수상한 ‘Romantic Tumbler’ 입니다. 보통 텀블러를 보시면!! ‘일괄적인 문양’ 그리고 ‘안을 훤희 들여다 볼 수 없다는 점~~ 그래서 커피나 음료가 얼마나 남았는지 정확히 확인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죠? 하지만 플렉서블 아몰레드로 텀블러를 만든다면 이런 걱정은 완벽히 해결할 수 있겟죠? 이런 텀블러 보셨나요?~~!! 물론 깨지지도 않으니까 들고다니셔도 전혀 문제가 없답니다^^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아몰레드의 특장점은 안경에도 적용되었는데요!!~~ ‘카멜레온 글래스’라는 이 기술 아이디어는 렌즈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바꿔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으로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사실 요즘 시대에 안경은 개성과 트렌드를 표현하는 패션아이템으로 자리 잡고있죠?~~!! 그래서.. 안경에 디스플레이를 결합해 보았습니다^^ 스마트폰을 연동하여 블루투스로 전송 받아 자신이 원하는 패턴과 칼라를 설정 할 수 있고~~ 안경 우측의 컨트럴 판에서 터치로 안경알의 밝기를 조절하여 선글라스로도 이용가능하다고 하네요~~^^ 책갈피를 잡아당기면 태블릿PC가 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신기하죠? 바로 올해 공모전 대상작…
더보기

|
2012.06.21
점점 커지는 플렉서블 OLED
요즘 자유자재로 구부리고 호주머니에 돌돌말아 쏙 들어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요~~~
더보기

트렌드
|
2012.04.12
스마트폰을 지켜라!!
한 통계에 따르면 2,300명의 대학생 중 스마트 폰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은 약 84%에 달한다고 합니다.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 중 하루 이용 시간을 조사한 결과 평균 2시간 정도 인터넷 검색을 한다는 결과가 나왔는데요.
더보기

용어 사전
|
2012.02.01
꿈의 신소재 그래핀은 정말 단단하고 전기가 잘 흐를까?
실리콘의 능력이 한계에 도달했다?
최근 그래핀에 대한 연구가 산·학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그래핀은 ‘꿈의 나노물질’이라 불리우며 현재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에 사용 가능한
차세대 신소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