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K' 검색 결과

|
2019.10.10
디스플레이의 최신 트렌드를 한눈에! ‘IMID 2019’ 현장 속으로
지난 8일에는 서울 코엑스(COEX)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전시회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이하 ‘IMID 2019’)가 열렸습니다. 8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는 6개국의 100여 개 기업이 참가해, 디스플레이 산업의 동향 파악과 최신 기술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 펼쳐졌습니다. 디스플레이의 최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IMID 2019’ 현장 소식을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이 전해 드립니다. 국내 최대의 디스플레이 전시회 ‘IMID 2019’ 올해 개최된 IMID 2019에서는, 국내외 주요 디스플레이 패널·부품·장비·소재 업체가 대거 참여해 최신 제품과 기술들을 선보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 역시 매년 IMID에 참가하여 최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올해는 ‘5G 시대에 최적화된 OLED’를 주제로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의 모바일 환경에 꼭 맞는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습니다. 이외에도 8K TV 시장을 겨냥한 82인치 초대형 8K LCD와 게이밍 환경에 최적화된 커브드 디스플레이 등을 공개하며 첫날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5G시대의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솔루션 ‘IMID 2019’ 행사장에 마련된 삼성디스플레이 전시관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것은 얼마 전 출시해 크게 주목받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였습니다. 갤럭시 폴드에 적용된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7.3형의 대화면 OLED입니다. 기존보다 약 50% 두께가 줄어든 flexible OLED를 통해 접고 펼칠 수 있는 스마트폰입니다. 갤럭시 폴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에 없던 새로운 사용성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화면을 분할 사용할 수 있어 멀티…
더보기

|
2019.09.10
올해의 주인공은 누구? ‘IFA 2019’의 주요 기술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독일 베를린에서 지난 6일(현지시간)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19’가 개막했습니다. 올해는 전 세계 1,800여 기업이 참여하며 다양한 혁신 제품과 첨단 기술을 앞다퉈 선보였습니다. 이번 행사에서 가장 주목 받은 기술은 ‘8K TV’, ‘5G 통신’, 그리고 ‘인공지능(AI) ’ 기술입니다. 삼성은 이번 행사에서 8K 시대를 주도할 ‘QLED 8K TV’를 비롯해 5G가 적용된 최신 스마트폰, AI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초고화질 ‘8K’시대의 개막 (출처: 삼성전자 ) 이번 IFA의 주요 키워드인 ‘8K TV’. 8K는 4K 대비 4배 더 많은 화소를 가진 UHD해상도로, 가로가 8,000px에 가까운 7680×4320를 지원하는 초고해상도를 의미합니다. 전세계 다양한 TV 제조사에서 이번 IFA를 통해 다양한 8K 해상도의 TV 제품을 경쟁적으로 공개하며 본격적인 초고화질 시대 개막을 알렸습니다. 삼성은 이번 전시에서 ‘QLED 8K 존’을 마련해 55형부터 98형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전시했습니다. 작년 IFA에서 OLED 8K를 공개한 이후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라인업을 확대한 것입니다. 향후 미국을 비롯해 유럽, 한국 등 전세계 30여 개 국가에 판매될 예정입니다. (출처: 삼성전자 ) 관람객들은 풍부한 색재현력과 최적의 HDR 영상 재생 기술이 더해져 몰입도 높은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퀀텀닷 기술이 적용된 8K 화질을 직접 경험했습니다. 삼성의 55형 QLED 8K는 영국 리뷰 매체 ‘테크레이더 (Tech Radar)’에서 선정한 IFA2019 최고 TV에…
더보기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1. 픽셀 (Pixel, 화소, SubPixel, 서브픽셀)](https://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19/01/dfsdfsaf.png)
|
2019.01.09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 해상도 (Resolution, Full HD, 4K, 8K, UHD)
디스플레이 표현력의 세밀함 정도를 뜻하는 ‘해상도(Resolution)’. 화면이 표현하는 가로, 세로의 픽셀(Pixel) 개수를 기준으로 1920×1080(Full HD), 3840×2160(4K UHD)와 같이 표현하는 규격입니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저해상도보다 더 선명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더보기

멀티미디어
|
2018.10.25
IMID 2018 전시 현장 스케치
디스플레이 기술의 오늘과 내일을 만나볼 수 있는 ‘IMID 2018’!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 삼성디스플레이 부스를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더보기

TV / IT / PID
|
2018.09.07
‘IFA 2018’의 올해 주요 키워드는? ‘8K TV’와 ‘인공지능’
독일 베를린에서 지난 8월 31일(현지기준) 개막한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18’이 9월 5일 막을 내렸습니다. 58회째를 맞은 IFA의 올해 주요 화두는 ‘8K TV’, ‘인공지능(AI)’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삼성전자> 특히 이번 IFA에서는 여러 제조사에서 다양한 8K 화질의 TV 제품들을 경쟁적으로 공개하며 향후 초고화질 트렌드를 예고했습니다. 8K(7680X4320)는 풀 HD(1920×1080) 보다 16배, 4K(3840×2160) 대비 4배 더 많은 화소로 대화면 TV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는 초고해상도입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IFA에서 65형, 75형, 82형, 85형 등의 8K QLED TV 라인업을 공개하며, 향후 프리미엄 TV시장의 판도를 바꾸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삼성의 8K QLED TV는 초고화질이 주는 선명함과 퀀텀닷의 풍부한 색재현력, 최적의 HDR 영상 재생 기술이 더해져 보다 디테일하고, 몰입도 높은 최고의 시청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미지 출처: 삼성전자> 최근 고화질 콘텐츠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8K 수준의 초고화질 콘텐츠가 부족해 8K TV의 가치를 제대로 경험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삼성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해상도(SD급 이상) 영상을 8K 수준으로 높여줄 수 있는 ‘8K 업스케일링’ 기술을 개발, 적용하였습니다. 머신 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이 기술은 TV가 수백만 개의 영상을 미리 학습하고, 분석해 저화질 영상을 고화질로 변환해주는 것입니다. <삼성 8K QLED TV> 중국, 일본 등 업체들도 8K 경쟁에 가세했습니다. 샤프, TCL, 도시바, 소니, 하이얼 등…
더보기

|
2017.10.19
최첨단 디스플레이의 향연, ‘IMID 2017’을 가다!
지난 17일 서울 코엑스(강남구 삼성동)에서 ‘2017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의 막이 올랐습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KDIA) 주관 아래 매년 열리는 IMID는 올해로 9회째를 맞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전문 전시회입니다. 150개사 350여 개 부스가 참가해 최첨단 디스플레이 기술과 전자∙IT 제품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회에 삼성디스플레이는 98인치 8K 초고해상도 LCD를 비롯해 두께 4.9mm의 65인치 초슬림 커브드 LCD, 가상현실(VR), 차량용 OLED 등 최신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제품들을 전시했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를 조망할 수 있었던 화제의 현장,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이 다녀왔습니다. 초대형·초고해상도·초슬림 LCD를 만나다 ‘IMID 2017’ 전시 현장에서 마주한 삼성디스플레이 부스는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심이 많은 관람객으로 북적였습니다. 다양한 제품 중에서도 관람객의 시선을 단번에 휘어잡은 제품은 생생한 화질의 98형 초대형 LCD TV입니다. ▲ 98형 8K 초고해상도·초대형 LCD 제품 이 제품은 8K (7680×4320) 초고해상도가 적용되었습니다. 초대형 화면에서 보여주는 뛰어난 화질이 눈앞에 화려하게 펼쳐집니다. TV는 화면이 커질수록 높은 해상도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75인치 이상 대형 TV는 시청거리 2.5미터를 기준으로 8K 이상의 해상도를 만족해야 눈으로 선명한 화질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98형 LCD는 UHD(4K) TV 보다 4배 선명한 8K 해상도를 구현해 가까운 시청거리에서도 선명하게 화면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새의 깃털 하나하나까지 섬세하고 또렷하게 표현하는 화질은 관람객들의 감탄사로 이어졌습니다. 다가오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8K 방송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더보기

보도자료
|
2017.10.17
삼성디스플레이, IMID 2017에서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 선보여
삼성디스플레이가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COEX)에서 열리는 국제정보디스플레이전시회 IMID 2017에 참가해 98인치 8K 초고해상도 LCD와 두께 4.9mm의 65인치 초슬림 커브드 LCD를 비롯해 가상현실(VR), 태블릿, 웨어러블, 차량용 OLED 등 다양한 첨단 제품들을 전시했다. 초대형 초고해상도 초슬림 제품으로 첨단 LCD 기술 선도 삼성디스플레이는 98인치 8K(7680×4320) 해상도의 초대형 초고해상도 LCD를 공개했다. 일반적으로 75인치 이상의 대형 TV를 볼 경우 시청거리 2.5미터를 기준으로 8K 이상의 해상도를 만족해야 사람의 눈이 선명한 화질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크기가 커질수록 해상도가 중요하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개한 98인치 LCD는 UHD 해상도 보다 4배 선명한 8K 해상도를 구현해 가까운 시청거리에서도 선명하고 또렷한 화질을 제공하는 초고해상도 레티나 TV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갖췄다. 함께 전시된 65인치 슈퍼 슬림 커브드 LCD 제품은 기존의 플라스틱LGP가 아닌 글래스LGP를 적용해 LCD 모듈의 두께가 4.9mm로 얇아졌다. LGP는 LCD 백라이트의 빛을 화면 전체에 고르게 확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글래스LGP는 플라스틱LGP보다 얇으면서도 열에 강해 방열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초슬림 구현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글래스LGP 자체에 퀀텀닷 코팅이 가능해 별도의 퀀텀닷 시트를 부착하지 않고도 두께는 더 얇고 화질은 더 좋게 만들 수 있다. 다양한 기술 혁신 LCD 제품들도 함께 선보였다. 테두리 4면 모두에 프레임이 없는 65인치 프레임리스 UHD 커브드 제품은 세련된 TV디자인…
더보기

|
2016.02.11
[삼성디스플레이] UHD 해상도 = 4K 해상도일까?
2015년, 전 세계 TV 시장의 1/3이상을 점유하며 큰 인기를 끌었던 UHD TV! UHD(Ultra High Definition) TV는 일반적으로 3840 x 2160의 고해상도를 의미하며, 이를 4K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UHD 해상도 = 4K 해상도일까요? 4K는 원래 4096 x 2160 해상도를 의미하는 말이었습니다. 그런데 소니를 포함한 일부 가전업체에서 3840 x 2160 해상도를 4K로 지칭하면서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되었는데요. 2012년 전미가전협회(CEA)는 TV 방송 및 디스플레이 해상도로 ‘4K’를 3840 x 2160으로 규정하였답니다. 그렇지만 영화나 카메라용 규격인 디지털 시네마 표준 규격(DCI)은 4096 x 2160 해상도를 ‘4K’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TV와 영화의 ‘4K’ 해상도는 서로 다른 것이지요. 그런데 UHD는 ‘8K’ 해상도를 지칭할 때도 함께 쓰입니다. UHD는 Ultra High Definition 말 그대로 선명도가 매우 높다는 의미인데요.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라디오 주파수 대역 통신규약) BT.2020 권고에 따르면 UHD TV는 3840 x 2160 (4K UHD)의 해상도와 7680 x 4320 (8K UHD)의 해상도를 가진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한때 UHD TV를 ‘4K UHD’에 한정하였고, 8K는 ‘SHV(Super Hi-Vision)’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2013년 이후엔 모두 UHD TV로 통일하였답니다. 따라서 3840 x 2160의 정확한 TV 해상도를 표현하려면 ‘4K UHD’라고 써야 혼란이 없을텐데요. 아직 대부분의 제조사에서 8K UHD TV를 본격적으로 출시하지 않았고, 4K UHD TV가 현재 시장의 대세인 만큼 ‘UHD’는 일반적으로 3840 x 2160의 해상도로 사용하고 있는…
더보기

|
2015.06.12
이제는 8K영상까지? 고해상도 콘텐츠의 시대가 활짝 열리다!
고해상도· 고화질의 영상, 이미지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TV, 모니터 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점점 커질 뿐 아니라 사진과 동영상 중심의 개인 미디어가 확산되고 있어 선명하고, 뛰어난 이미지를 감상하고자 하는 욕구도 자연스럽게 커진 것이지요. 최근 유튜브는 8K(7680×4320) 동영상 서비스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8K는 UHD(4K)보다 4배나 높은 7680×4320의 해상도를 의미합니다. 아직 8K 영상을 제대로 지원할 수 있는 모니터와 TV 제품은 거의 없지만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고해상도 트렌드에 맞추기 위한 것이지요. 지난 3월에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8K 동영상을 TV나 모니터 등 대화면으로 옮겨서 시청할 수 있는 동영상 전송 솔루션 ‘슈퍼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표준이 발표되기도 하였답니다. 유튜브에 올라온 8K 해상도 영상 이렇듯 IT업계는 고해상도 콘텐츠 등장을 빠르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2013년 말부터 UHD(4K) 동영상 서비스를 시작하였는데요. 2014년 UHD TV가 등장하면서 UHD 해상도의 콘텐츠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UHD 모니터들도 출시되고 있어 4K 콘텐츠는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늘어날 것이 예상되고 있지요. 유튜브에 올라온 4K 해상도 영상 2014년 삼성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사이즈의 UHD TV 패널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커브드 UHD 디스플레이는 생생한 화질에 뛰어난 몰입감과 화면이 커 보이는 파노라마 효과까지 더해져, 프리미엄 제품으로 자리 잡았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뛰어난 디스플레이 기술력으로 지난 1분기 전 세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