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검색 결과

|
2020.01.02
삼성디스플레이, 프리미엄 OLED노트북 패널 글로벌 평가 인증 획득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이동훈)가 지난 12월말 노트북용 4K OLED 패널이 글로벌 인증기관인 SGS로부터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평가 인증을 획득하였다고 밝혔다. SGS는 OLED 패널의 화질적 특성이 IT 시장의 새로운 키워드인 컨텐츠 제작 및 1인 방송, 온라인 게임에 최적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한다는 평가와 함께 ‘Premium Display (Content Creation)’, ‘Premium Display (Gaming)’ 2가지 항목에 인증을 수여했다. 이번 SGS 평가 테스트에서 삼성디스플레이 노트북용 OLED 패널 2종(13.3″, 15.6″)은 색영역 DCI P3 100%, 최저휘도 0.0001nit 및 응답속도 0.2ms 등을 달성함으로써 평가 기준을 충족하였다. OLED 노트북은 기존 LCD 노트북과 비교했을 때,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보다 넓은 색영역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생생하고 선명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True Black을 나타내는 최저휘도도 우수하여 더욱 깊은 색감의 검정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응답속도도 일반 LCD 패널의 10배 이상 짧아 빠르게 변하는 영상에서도 잔상이 전혀 없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13.3인치와 15.6인치 노트북용 4K OLED를 출시했고, 올해에는FHD급까지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 SGS는 1878년에 설립된 검사, 인증 서비스 전문 글로벌 랩으로 스위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M/S 1위의(매출기준) 인증 기관임. 현재 전세계에 약 2,600개가 넘는 연구소와 지사를 운영하고 있음 (Website: www.sgs.com) ※ DCI P3: 영화업계에서 만들어진 디지털 시네마 색 표준. 기존 sRGB색영역 보다…
더보기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1. 픽셀 (Pixel, 화소, SubPixel, 서브픽셀)](https://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19/01/dfsdfsaf.png)
|
2019.01.09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 해상도 (Resolution, Full HD, 4K, 8K, UHD)
디스플레이 표현력의 세밀함 정도를 뜻하는 ‘해상도(Resolution)’. 화면이 표현하는 가로, 세로의 픽셀(Pixel) 개수를 기준으로 1920×1080(Full HD), 3840×2160(4K UHD)와 같이 표현하는 규격입니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저해상도보다 더 선명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더보기

|
2016.02.11
[삼성디스플레이] UHD 해상도 = 4K 해상도일까?
2015년, 전 세계 TV 시장의 1/3이상을 점유하며 큰 인기를 끌었던 UHD TV! UHD(Ultra High Definition) TV는 일반적으로 3840 x 2160의 고해상도를 의미하며, 이를 4K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UHD 해상도 = 4K 해상도일까요? 4K는 원래 4096 x 2160 해상도를 의미하는 말이었습니다. 그런데 소니를 포함한 일부 가전업체에서 3840 x 2160 해상도를 4K로 지칭하면서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되었는데요. 2012년 전미가전협회(CEA)는 TV 방송 및 디스플레이 해상도로 ‘4K’를 3840 x 2160으로 규정하였답니다. 그렇지만 영화나 카메라용 규격인 디지털 시네마 표준 규격(DCI)은 4096 x 2160 해상도를 ‘4K’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TV와 영화의 ‘4K’ 해상도는 서로 다른 것이지요. 그런데 UHD는 ‘8K’ 해상도를 지칭할 때도 함께 쓰입니다. UHD는 Ultra High Definition 말 그대로 선명도가 매우 높다는 의미인데요.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라디오 주파수 대역 통신규약) BT.2020 권고에 따르면 UHD TV는 3840 x 2160 (4K UHD)의 해상도와 7680 x 4320 (8K UHD)의 해상도를 가진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한때 UHD TV를 ‘4K UHD’에 한정하였고, 8K는 ‘SHV(Super Hi-Vision)’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2013년 이후엔 모두 UHD TV로 통일하였답니다. 따라서 3840 x 2160의 정확한 TV 해상도를 표현하려면 ‘4K UHD’라고 써야 혼란이 없을텐데요. 아직 대부분의 제조사에서 8K UHD TV를 본격적으로 출시하지 않았고, 4K UHD TV가 현재 시장의 대세인 만큼 ‘UHD’는 일반적으로 3840 x 2160의 해상도로 사용하고 있는…
더보기

|
2015.06.12
이제는 8K영상까지? 고해상도 콘텐츠의 시대가 활짝 열리다!
고해상도· 고화질의 영상, 이미지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TV, 모니터 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점점 커질 뿐 아니라 사진과 동영상 중심의 개인 미디어가 확산되고 있어 선명하고, 뛰어난 이미지를 감상하고자 하는 욕구도 자연스럽게 커진 것이지요. 최근 유튜브는 8K(7680×4320) 동영상 서비스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8K는 UHD(4K)보다 4배나 높은 7680×4320의 해상도를 의미합니다. 아직 8K 영상을 제대로 지원할 수 있는 모니터와 TV 제품은 거의 없지만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고해상도 트렌드에 맞추기 위한 것이지요. 지난 3월에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8K 동영상을 TV나 모니터 등 대화면으로 옮겨서 시청할 수 있는 동영상 전송 솔루션 ‘슈퍼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표준이 발표되기도 하였답니다. 유튜브에 올라온 8K 해상도 영상 이렇듯 IT업계는 고해상도 콘텐츠 등장을 빠르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2013년 말부터 UHD(4K) 동영상 서비스를 시작하였는데요. 2014년 UHD TV가 등장하면서 UHD 해상도의 콘텐츠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UHD 모니터들도 출시되고 있어 4K 콘텐츠는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늘어날 것이 예상되고 있지요. 유튜브에 올라온 4K 해상도 영상 2014년 삼성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사이즈의 UHD TV 패널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커브드 UHD 디스플레이는 생생한 화질에 뛰어난 몰입감과 화면이 커 보이는 파노라마 효과까지 더해져, 프리미엄 제품으로 자리 잡았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뛰어난 디스플레이 기술력으로 지난 1분기 전 세계…
더보기

|
2014.07.19
UHD 디스플레이의 기본 상식, 해상도
FHD 대비 4배 선명한 화질을 가진 UHD TV. UHD(Ultra High Definition)는 해상도를 뜻하는 용어입니다. 자주 듣는 용어지만 대부분 화질이 좋다는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는데요. UHD가 FHD보다 4배나 선명한 이유를 해상도에 대한 개념과 발전 등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