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대' 검색 결과

모바일
|
2016.04.21
이동 통신의 발전과 모바일 기기의 변화!
지난 4월 5일 KT 홈 구장에서 열린 프로야구 경기장에서 가상현실(VR) 기술을 이용한 야구 생중계가 있었습니다. 이 날 KT는 야구장에 VR 전용 카메라를 설치하여 4K(3840 x 2160) VR 영상을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관중과 시청자들에게 전송하였는데요. 모바일 기기가 진화하고, 고화질 콘텐츠가 증가할수록 통신 기술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트렌드
|
2011.07.02
4G 이동통신인 LTE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
4세대(4G) 이동통신 시대가 7월 1일 본격적으로 열렸습니다. LTE(롱텀에볼루션)는 Long Term Evolution의 약자로 3세대 이동통신을 장기적으로 진화시킨 기술을 의미합니다. LTE는 에릭슨, 노키아 등 유럽통신사 주축으로 개발된 기술인데요. 2009년 12월 스웨덴에서 첫 서비스 시작하여 2010년 말 미국 버라이존, 일본 NTT도코모 등에 상용화가 시작되었습니다. 현재는 전 세계 80개 통신사가 서비스를 추진 중이라고 합니다.^^ 4G 세대 이동통신인 LTE는 음성 및 문자 중심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영상 중심으로 전환한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 3G 스마트폰 보다 다운로드는 5배, 업로드는 최대 7배 빠르다는데요. 스마트폰으로는 2분 만에 1.4기가 바이트급 영화를 다운 받을 수 있고 Mp3 음악 100곡을 40초에 받을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스마트폰, 태블릿PC로 끊김없는 고화질 영화 감상이 가능할 뿐아니라 유선으로나 가능했던 온라인 게임도 즐길 수 있게 되었답니다. 국내에서는 7월 1일 시작으로 SK와 LG U+가 동시에 LTE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KT는 연말에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는데요. 2004년에 WCDMA 방식으로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한지 7년만에 세대 교체가 이루어지는 만큼 새로운 이동통신 시대의 개막이 기대됩니다. [관련 글 보기] http://samsungamoled.net/231
더보기

모바일
|
2011.06.24
국내 최초 4G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등장
드디어 국내에 차세대 통신기술로 불리는 4G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스마트폰이 최초로 선을 보였는데요. 기존 3G보다 3배 이상 빠른 무선데이터 통신 속도를 보여준다고 하네요^^ 4G란? ‘3G’후속 50Mbps~1Gbps 초고속 대용량 통신. ‘4G’란 제3세대 휴대전화 방식을 뜻하는 ‘3G’의 후속 개념으로, 제4세대 휴대전화 방식을 말한다. 2007년 개최된 세계무선통신회의(WRC)에서 세계 공통의 주파수대로 채택되면서 통신 규격으로 책정됐다. 3G의 주파수대가 2GHz임에 비해 4G는 50Mbps~1Gbps 정도이기 때문에 초고속 대용량 통신을 할 수 있게 됐고, 무선 랜 또는 블루투스 등과 연계해 고정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을 고르게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모바일 와이맥스와 3G LTE(Long Term Evolution)의 초기 버전과 같은 4G 이전 기술들은 각각 2006년과 2009년에 상용화됐고 흔히 4G와 혼동된다. 이번에 HTC가 발표한 4G(Wibro)용 스마트폰 ‘EVO4G+’의 스펙을 살펴보면, 1.2기가헤르츠(㎓) 듀얼코어 프로세서, 안드로이드 진저브레드 운영체제(OS), 4.3인치 qHD 화면을 탑재하고 있고, 후면의 800만화소 카메라로는 1080p의 HD 촬영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그럼 이번이 정말 최초인가?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국내에서 Wibro를 이용한 스마트폰이 ‘EVO4G+’가 최초는 아니었답니다. Wibro를 사용했던 ‘쇼옴니아’가 존재했지요. 하지만 Wibro가 4G로 공식 인정되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4G로 명명하기 곤란했고, 또한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는 ‘EVO4G+’가 최초라는 점에서 이번 출시가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4G(Wibro)의 데이터 통신 속도는 얼마나 더 빠를까요? 아래는 KT에서 제시하는 가입자 평균 속도인데요. Wibro가…
더보기

트렌드
|
2011.02.09
이제 툭하면 멈추는 3G는 그만
요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로 인터넷을 하거나 유튜브 영상을 보다 보면 뚝뚝 끊기거나 로딩하는데 한참 걸리는 현상 자주 경험하시죠? 2010년 한 해 동안 국내에 보급된 스마트폰이 600만대를 넘는 것으로 집계되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무제한 데이터요금제까지 시행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인터넷 사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KT SKT LGT ▲ 2009년과 2010년 통신사별 데이터 사용량 비교(단위: 만MB) 이 때문에 통신사마다 자사의 3G망 부하 해결을 위해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데요. 최근 이동 중에도 3DTV를 끊김 없이 볼 수 있는 4세대(4G) 이동통신(LTE-advanced) 시스템이 국내에서 개발됐다고 합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LTE-advanced’시스템은 지난 5년간 470명의 연구원과 64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대규모 프로젝트였다고 합니다. 현재 3세대 이동통신은 최대 14.4Mbps의 속도를 제공하지만 LTE-advanced는 최대 600Mbp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오는 7월에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3.9세대 LTE시스템의 100Mbps 속도보다고 6배나 빠른 현재 최고의 이동통신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 차량 내 3D Full HD 시청 시연 (출처 : 방송통신위원회) 이동 중인 차량 내에서 진행된 시연에서는 3D Full HD영상을 4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무선 전송받아 차량 내에서 시청하였다고 합니다. 이런 기술이라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에서 HD급 동영상을 볼때에도 절대 끊김없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것인데요. AMOLED가 채택된 스마트폰으로 LTE-advanced를 활용한 망을 쓴다면 정말 최고의 선명도로 영상을 볼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제공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 참고하세요~! [ LTE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