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치스크린' 검색 결과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32. 터치스크린 패널 (TSP)](https://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19/09/sss.jpg)
|
2019.09.25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33. 터치스크린 패널 (TSP)
터치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누르거나 터치했을 때 해당 위치의 좌표값을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합니다.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적용되어 별도 외부 키 없이 화면 터치를 통해 스마트폰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작동원리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초음파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초기 스마트폰에서는 누르는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저항막 방식이 적용되었습니다. 2개의 상하부 기판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되면서 인식되는 방식으로, 필름 접촉이 가능할 정도로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터치 인식률이 낮은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폰에는 대부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사용합니다. 사람의 손과 같이 전기가 통하는 도전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순간 해당 부분의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이를 감지하는 방식입니다. 정전용량 방식은 터치 감도가 좋고 중소형 모델에 적합해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패널 구조에 따라 외장형, 내장형으로 나뉩니다. 외장형은 디스플레이 패널 외부에 필름 형태의 TSP를 부착하는 방식이며, 내장형은 패널 내부에 터치스크린을 일체화시키는 것입니다. 내장형 방식은 외장형에 비해 패널을 더 얇게 만들 수 있고, 터치패널 표면의 광반사를 줄일 수 있어서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OLED에서 사용하는 On Cell Type은 디스플레이 상부 기판에 터치센서를 내장시키는 것으로 두께나 빛 투과율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더보기

|
2013.12.27
미래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해진다
자유자재로 구부리고 접을 수 있는 것은 기본! 미래엔 디스플레이가 분위기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색과 디자인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스마트해지지 않을까요? 삼성 미래디스플레이 공모전 수상작 소개 두 번째 시간 '미래디스플레이가 스마트해진다' 편에서는 대학생들이 상상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특성을 이용한 스마트한 미래 컨셉 제품을 소개할까 합니다.
더보기

|
2012.02.16
스마트 기기속 터치스크린의 세계
터치스크린패널(TSP, Touch Screen Panel)에 대해 많이 들어 보셨죠?
터치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의 한 점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접촉할 경우,
그 접촉점의 좌표값을 인식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감지기가 내장된 화면을 말합니다.
더보기

트렌드
|
2011.11.11
물체의 표면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드는 ‘옴니터치’
MS(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 개발팀은 물체의 표면을 터치 스크린으로 바꿔주는 웨어러블 시스템을 공개하였습니다. 현지시각으로 지난 17일 산타바바라에서 열린 유저인터페이스 심포지엄에서 ‘옴니터치’라 명명된 터치패드 기술이 바로 그것인데요~ <출처 – http://research.microsoft.com/en-us/> MS 연구소에 따르면 약 5년 전부터 이러한 인터랙티브한 터치스크린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고 하네요^^ 옴니터치는 레이저 기반의 Pico-Projector와 고감도 감지카메라를 결합해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고감도 감지카메라는 X-BOX 360 용 키넥트 카메라와 비슷하지만 이것을 좁은 범위에서 작동하게 한 것이라고 하는데요~ 프로젝터로 인터페이스를 조영하여 카메라로 동작을 감지하기 때문에 표면이나 재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멀티 터치 구현도 가능하다고 하니까 더욱 신기하네요^^ 이번에 공개한 옴니터치 제품은 프로토타입으로 키넥트 카메라보다 유효거리가 짧은 이유로 사용자의 어깨에 장착하고 시연을 했다는데요. 앞으로 제품의 소형화는 물론 유효거리 증가, 유리 같은 투명한 재질에도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할 예정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허공에 투영된 인터페이스를 실제로 경험해 볼 수도 있게 될 것 같습니다~ ※삭제된 영상
더보기

트렌드
|
2011.07.07
터치 기술의 발전
요즘 많은 사람들은 모니터나 화면을 보면 자연스레 화면 위로 손을 올려 터치를 시도하곤 합니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거의 대부분의 IT제품들이 터치스크린 기술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사람들은 그만큼 터치스크린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지금은 너무나 익숙한 기술이지만 이 터치 기술은 그렇게 오래된 기술이 아니랍니다. 아래 사진은 애플이 1993년에 내놓은 최초 휴대용 터치스크린 장치 중 하나인 ‘뉴튼’입니다. 개인이 휴대하며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컴퓨터 개념인 이 제품은 1998년까지 5년간 꾸준히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5년 전 TED(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에서 소개된 ‘투사형 스크린 테이블’ 터치스크린 기술을 보면 당시 매우 ‘혁신’적일 수 있는 기술이 이제는 ‘현실’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뉴욕대의 한 연구원이 소개한 이 기술은 그 당시 대다수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키보드가 우리의 미래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10개 손가락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이 터치기술은 입력장치뿐 아니라 윈도우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고정관념을 무너뜨리는 대단한 변화라고 강조하고 있는데요. 터치기술은 불필요한 입력장치를 없앰으로써 제품 디자인에 혁명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새로운 컨텐츠를 생산을 가능케 했습니다. 앞으로는 터치 기술이 어떻게 진화될지 기대됩니다.^^ [터치스크린 관련 글 보기] http://samsungamoled.net/49
더보기

|
2011.01.05
트위터와 멀티터치 스크린의 만남 in CES 2011
몇일 전 소개해드렸던 전시회 중 CES 2011이 이제 2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신문에도 CES 2011에 대한 뉴스가 점점 자주 등장하고 있고 인터넷에는 CES 2011에 대한 포스트가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이번 CES 2011에서 눈에 띄는 디스플레이 관련 체험마케팅이 있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저희가 작년(벌써 작년이에요;;) 12월 초에 소개드렸던 미래형 터치데스크 BendDesk를 기억하시나요? 기억이 날듯말듯 하시다면 아래 그림을 클릭해서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10개의 멀티포인트를 인식하는 멀티터치를 통해 문서, 사진, 비디오 같은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상호작용이 가능한 미래형 터치데스크였는데요. CES 2011에서는 이보다 한단계 더 발전한 Multi-touch Twitter Wall이 선보여진다고 합니다. 기존에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PC에서 트위터를 즐기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법이라고 하네요^^ 핀란드의 디스플레이 기업인 멀티터치(Multitouch)가 제공한 이 Twitter Wall은 6개 이상의 크기 46인치·두께 30cm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다고 합니다. 패널 하나당 37kg 정도며 가로나 세로로 자유롭게 배치가 가능하구요. ▲ ▲ 출처 : Youtube 동영상 캡쳐(하단 동영상 참조) 이 멀티터치의 스크린은 자체 경계와 상관없이 트윗이 마음대로 떠 다닙니다. 스크린에는 CES 2011의 공식 트위터 해시태그인‘#CES’를 비롯해 다양한 트윗이 영상에 실시간으로 보여지며 특정 키워드를 선택하여 자세한 정보를 보고 닫는것이 용이하다고 합니다. ▲ 출처 : Youtube 동영상 캡쳐(하단 동영상 참조) 또한 터치스크린을 통해 자유자재로 키워드를 선택하고 ‘트윗’과 사진을…
더보기

TV / IT / PID
|
2010.07.27
낮추고 낮추고 낮추고… 세계 시장 속 저가 PC 경쟁
지난 23일 인도 정부가 세계 최저가인 대당 45달러짜리 타블렛 컴퓨터를 개발했다는 소식이 외신을 통해 전해졌습니다. 리눅스 기반의 안드로이드 OS, 오픈오피스와 같은 공개 소프트웨어가 기본으로 탑재된 이 컴퓨터는 인터넷 접속과 미디어 플레이어 기능도 내장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아직까지 터치스크린이나 펜 입력을 지원하는지 여부, CPU나 메모리 및 저장장치 등에 대한 제원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인도 정부는 이 제품을 2011년 경에 양산, 일선 교육 기관에 보급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장차 제품 가격을 10달러~20달러 선으로 낮춘다는 복안이라 합니다. IT매거진 와이어드닷컴(Wired.com)에 따르면, 지금까지 시중에 나온 컴퓨터 중 가장 가격이 싼 제품은 MIT공대 미디어 연구소의 교수진이 빈곤계층 아이들에게 PC를 보급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OLPC(The One Laptop Per Child)프로젝트의 XO입니다. 현재 가격은 대당 200달러인데, 2011년 말에는 대당 75달러로 낮춘다는 계획입니다. < OLPC프로젝트가 만든 저가 PC ‘XO’ (출처 : OLPC 협회 홈페이지 www.laptop.org) > OLPC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반도체 업체 Marvell은 지난 3월 ‘Moby’라는 100달러짜리 컴퓨터의 시제품(prototype)을 공개한 바 있고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고해상도 콘텐츠의 감상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직 시중에서는 볼 수 없는 제품이지요. <Marvell의 Moby (출처 : Marvell 홈페이지) > 애플 아이패드(iPAD)는 현재 가장 저렴한 모델이 500달러입니다. 시장조사기관 아이서플라이(iSupply)에 따르면, 아이패드의 부품 가격의 총합은 230달러 선이라고 하네요. 참고로 PC가…
더보기

스토리
|
2010.07.19
OLED가 탑재된 똑똑한 수도꼭지!
종일 일 때문에 노곤해진 몸을 욕조에 푹 담그면 하루의 피로도 싹 풀리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물 온도를 제대로 맞추기가 어려울 때가 있죠? 어떤 날은 물 온도 맞추는 일 하나만으로도 더 피곤해질 때가 있던데요 ^^ 그래서 오늘 소개드릴 제품은 지능형 인테리어 업체 iHouse에서 지난해 개발해 발표한 스마트 수도꼭지(Smart Faucet)입니다. 이 수도꼭지는 욕실에 장착된 카메라가 욕조에 들어갈 사람이 누구인지를 인식해 그 사람이 선호하는 수준의 물 온도를 자동적으로 맞추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데요. OLED가 탑재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는 물 온도 조절 뿐만 아니라 e메일 및 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아직 시판되는 제품은 아니지만, 이 같은 제품이 욕실에 있으면 목욕도 좀 더 재미 있는 일이 될 것 같습니다. 물 소비가 많아지는 일이 없도록 조심하긴 해야겠지만요. 유튜브에서는 Smart Faucet을 시연하는 동영상도 올라와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보세요!
더보기

트렌드
|
2010.06.23
이젠 피부에 터치하는 시대가 온다!!
휴대폰 스크린을 톡톡! 눌러 메뉴를 구동하는 모습, 어쩌면 이런 모습을 더 이상 볼 수 없을 날이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더보기

용어 사전
|
2010.06.18
TSP란?
1. TSP (Touch Screen Panel) 란? 사용자가 화면(스크린)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터치하는 것만으로 편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Operating System의 입력장치를 TSP라고 합니다. 손가락을 접촉하는 것만으로 화면을 동작ㆍ제어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지요~ TSP는 산업이나 공정설비 부문에서 많이 활용되어 왔었고, 과거, 휴대폰 등 모바일 제품에 적용된 적이 있었지만, 제품을 선보인 후에도 대중들의 큰 관심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다 2007년 애플의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TSP Boom이 일어나기 시작했는데요~ 멀티 터치, 빠른 응답속도 등 TSP의 장점이 극대화된 아이폰의 터치 기능은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입력장치라는 정의를 내리며 IT기기의 필수 요소로 새롭게 자리하게 됩니다. 2. TSP의 응용사례 TSP는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제품에 응용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3. TSP의 종류 및 원리 TSP는 터치 인식 방법에 따라 저항막 방식 (Resistive), 정전용량 방식 (Capacitive), 광학 방식 (Infrared), 초음파 방식 (Acoustic) 등으로 구분되는데요~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식은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입니다. 그리고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은 별도의 Touch Screen을 부착하는 부착형과 Touch Screen과 패널이 일체화된 일체형으로 세분됩니다. 저항막 방식은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했을 때, 상부 기판이 전도막을 누르게 되고, 이때 눌린 지점에서 전위차가 발생하면, 그 지점을 감지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