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검색 결과

지속가능경영
|
2022.06.03
1년 365일 환경의 날?! 환경 보호에 진심인 삼성디스플레이
6월 5일은 ‘세계 환경의 날’입니다.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과 행동을 촉구하기 위해 국제연합(UN)에서 제정했습니다. 산업화 이후 지구는 크고 작은 훼손과 오염을 계속 겪고 있는데요. 오늘은 ‘세계 환경의 날’ 50주년을 맞아 친환경제품 개발, 환경 친화적 생산공정 및 자원 재활용을 위한 삼성디스플레이의 노력을 소개합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첨단 제품 기술들 먼저, 삼성디스플레이의 첨단 저전력 기술 ‘에코 스퀘어 OLED(Eco2 OLEDTM)’입니다. 그동안 OLED 디스플레이에 있어 외부 빛의 반사를 막아 화질을 높여주는 편광판은 필수 소재였죠. 하지만 삼성디스플레이는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소비전력은 최대 25% 절감하는 Eco2 OLEDTM를 개발, 성능뿐 만 아니라 환경까지 고려한 제품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Eco2 OLEDTM 기술이 최초로 탑재된 갤럭시Z폴드3의 OLED는 지난 5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인 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로부터 혁신적인 저전력 기술로 폴더블 대중화를 연 것을 인정받아 ‘올해의 디스플레이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저전력 노력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대표적 기술은 ‘어댑티브 프리퀀시(Adaptive FrequencyTM)’입니다. 저전력 OLED 기술인 Adaptive FrequencyTM는 소비자의 사용 환경에 맞춰 디스플레이 주사율을 자동으로 조절해 전체 소비전력을 최소화합니다. 사진과 SNS 등 정지 화면 위주의 상황에서는 10Hz의 낮은 주사율을 사용함으로써 구동 전력을 최대 60%까지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공정에 사용한 물은 깐깐한 수처리를 통해 재이용 삼성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오염물질,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물관리에 있어 깐깐함을 보이는데요. 초순수 시스템을 통해 공정에 투입된 물의…
더보기

지속가능경영
|
2022.04.22
[지구의 날] 삼성디스플레이가 지구를 지키는 법
첨단 전자 산업으로 불리는 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전자 제품의 생산과 사용은 언뜻 친환경과 무관하다고 떠올리기 쉬운데요. 첨단 기술로 제품의 생산과 성능을 높여 온 디스플레이 산업은 환경 친화적인 기술 또한 첨단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 환경을 위한 삼성디스플레이의 노력을 살펴보겠습니다. OLED 혁신 기술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력을 적게 소모하면서도 더 좋은 성능을 갖춘 효율적인 기술과 제품을 만들기 위해 OLED의 발광 효율을 높이는데 꾸준한 연구개발을 이어왔습니다. 발광 효율을 높인다는 것은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해 같은 밝기의 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는 뜻이죠. 삼성디스플레이는 독보적인 가변주사율 기술 ‘Adaptive Frequency™’ 개발로 소비 전력을 최대 22%까지 줄이는데 성공했고, 패널의 필수 요소로 여겨졌던 편광판을 제거해 화면 밝기를 크게 높인 ‘Eco²OLED™(에코스퀘어)’ 기술로 소비전력을 25%까지 절감하는 등 OLED 기술 혁신을 통한 친환경 제품 개발에 힘써왔습니다. 그 결과 2020년 삼성디스플레이가 생산한 OLED 제품의 총 소비 전력을 2017년 보다 239 GWh 감축했는데요. 이것은 축구장 5,600개 크기의 숲에 소나무 1,700만 그루가 흡수할 수 있는 탄소의 양으로 약 11만 톤 이상의 온실가스를 예방한 셈입니다. 온실가스 줄이기는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부터~! 삼성디스플레이는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파악하고 통제하기 위해 노력도 지속해 왔습니다. 대체가스 도입, 온실가스 저감시설 운영, 필요 최소화…
더보기

스토리
|
2022.03.22
인류 생존의 시계 물관리에 달렸다
지구 전체 물의 양은 약 13억 8500만Km3. 하지만 염분이 녹아 있지 않은 담수는 고작해야 지구 전체 물의 약 2.5%에 불과하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가뭄과 폭우가 반복되고, 홍수 발생 빈도가 잦아지면서 우리가 마음 놓고 이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 몸의 70%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다, 물이 없으면 일주일도 버티지 못하는 인간에게 이 같은 상황은 굉장히 위협적이라고 할 수 있다. 3월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생존과 직결된 물의 중요성과 수자원 관리를 위한 세계 각국의 다양한 노력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산불과 겨울 가뭄, 우리나라는 물 스트레스 국가 국제인구행동단체는 연간 1인당 활용 가능한 수자원량을 기준으로 각 나라별로 수자원 정도를 분류하고 있다. 이에 따라 1000m3 미만은 ‘물 기근국’, 1000~1700m3미만은 ‘물 스트레스국’, 1700m3 이상은 ‘물 풍요’ 국가로 구분한다. 이 중에서 우리나라는 물 스트레스 국가! 우리나라의 평균 강수량은 대략 1500mm로, 세계 평균치(807mm)를 훨씬 넘어서지만 좁은 영토와 높은 인구밀도, 거기에다 여름에만 집중되는 강수량 등으로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된다. 아직은 물 기근 국가가 아니라고 해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2021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전국 강수량은 13.3mm(평년 대비 -75.7mm)로, 1973년 이후 50년 만에 최악의 겨울가뭄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적은 강수량은 1차적으로 농가에 피해를…
더보기

|
2021.12.29
2021년 디스플레이 핫 키워드!
어느새 2021년이 마무리되는 시기가 왔습니다. 올해는 폴더블을 비롯해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들이 적용된 다양한 신제품들이 많이 등장했는데요. 올 한해 주목받았던 주요 디스플레이 키워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