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OLED' 검색 결과

보도자료
|
2021.05.12
삼성디스플레이, ‘초고해상도 산화물 TFT 개발’ 국책과제 주관기업 선정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사장 최주선)가 차세대 핵심기술로 꼽히는 ‘초고해상도 산화물 TFT 개발’ 국책 과제 주관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4년까지 전자 이동 속도가 10배 빠른 산화물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기술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에 돌입한다. 이번 개발 과제는 정부 주도의 R&D 프로젝트인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확보를 목표로 총 66개 연구 과제를 선정, 기업과 대학 등의 R&D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을 주도하는 기술은 1,000ppi 급 초고해상도 모바일 OLED에 적용할 수 있는, 전자 이동도를 한층 높인 산화물 TFT로 소비전력과 함께 TFT 공정 난이도와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꼽힌다. 스마트폰 등에 탑재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의 밀도와 픽셀을 제어하는 TFT 회로의 집적도가 증가하면서 전자 이동속도가 빠른 TFT를 필요로 한다. 현재 상용화된 산화물 TFT는 공정 전자 이동 속도가 10cm2/Vs (전자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수준으로 모바일 패널에 적용하기 어려웠지만 해당 기술이 상용화되면 저전력 초고해상도 모바일 패널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국책 과제를 총괄하는 추혜용 삼성디스플레이 공정연구팀장(전무)은 “이번 연구는 차세대 TFT 기술을 개발하는 것 외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학, 연구소 등 디스플레이 산업 생태계가 협력해 국내 소부장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더보기

보도자료
|
2021.04.13
김성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SID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상’ 수상자로 선정
삼성디스플레이는 김성철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이 세계 정보 디스플레이학회(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가 수여하는 2021년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상(The Karl Ferdinand Braun Prize)’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김성철 사장은 LTPS 기반의 고해상도 OLED 대량 양산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세계 최고 권위의 디스플레이 학회인 SID는 브라운관 TV를 발명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브라운 박사를 기념해 1987년부터 이 상을 제정해 운영 중이다. ‘칼 페르디난드 브라운상’은 평생에 걸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공을 세운 인물에게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공로상이다. SID는 김성철 사장을 수상자로 선정하며 터치 내장형 OLED를 통한 패널의 슬핌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 OLED 개발, UTG를 적용한 폴더블 OLED 양산 등을 대표적인 성과를 꼽았다. 김성철 사장은 경희대 물리학 박사 출신으로 OLED 개발 실장, 디스플레이 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2019년 중소형 OLED 수출 확대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은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한편 시상식은 오는 5월 17일부터 시작되는 ‘SID 디스플레이 위크 (Display Week)’ 기간에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더보기

|
2018.12.17
스마트폰 OLED 디스플레이, 사상 첫 점유율 60% 돌파
관련기사 : 세계 스마트폰, 올레드 비중 60% 돌파…삼성 93% ‘유아독존’ (연합뉴스, 12/17日) 최근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전세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에서 OLED 비중이 처음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18년 3분기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매출 107억 9,999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OLED는 66억 403만달러 매출로 61.1%의 점유율을 달성했습니다.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의 매출 비중이 60%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마트폰 시장의 정체에도 불구하고 OLED가 빠르게 시장을 확대한 것은 프리미엄 제품인 플렉시블OLED의 성장세가 두드러졌기 때문으로 나타났습니다. 3분기 플렉시블OLED의 매출은 1년만에 57.9% 늘어난 46억 1,421만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의 42.7%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TFT-LCD는 ’17년 3분기 매출 61억 326만달러에서 1년만에 31.3% 감소한 41억 9,583만달러로 내려앉으며 38.9%라는 낮은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OLED 시장의 쾌속성장 배경은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플래그십 제품에 풀스크린 구현에 유리한 플렉시블OLED가 앞다투어 채용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올해 출시된 삼성 갤럭시S9/노트9 및 애플 아이폰XS/XS Max, 비보 NEX, 오포 R17, 화웨이 P20 Pro 등 풀스크린을 구현한 제품에 플렉시블OLED 대거 탑재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OLED로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을 견인하며 매출과 출하량에서 모두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는 모습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3분기 OLED 시장에서 점유율 93.3%, 플렉시블 OLED 시장 점유율 94.2%를 기록하며 여전히 압도적 초격차를 유지했습니다. 스마트폰…
더보기

|
2016.06.29
삼성디스플레이 OLED 신바람~ 중소형 시장 절대 우위 지속!
삼성디스플레이가 경쟁사들이 넘볼 수 없는 독보적인 OLED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30.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여유있게 1위에 올랐는데요~ 2위(17.1%), 3위(12.9%), 4위(8.7%), 5위(4.9%)와 다소 큰 격차를 나타내며 시장을 선도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