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 검색 결과

트렌드
|
2018.06.22
IoT로 보다 편리해진 주거공간, ‘스마트홈’을 꿈꾸다!
아침 출근길 교통상황을 실시간 감지해, 30분 일찍 나를 깨워주는 알람 시계. 사물들이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소통하는 ‘사물인터넷(IoT)’이 있기에 가능한 모습입니다. 사물인터넷은 지능화되면서 자동차, 주거공간 더 나아가 도시 전체를 보다 스마트하게 만들어줍니다. 얼마 전 공개된 서울 문정동의 ‘래미안 IoT 홈랩’은 가까운 미래에 우리가 살아갈 집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아파트 거주자 생활 방식에 맞춘 다양한 IoT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 ‘래미안 IoT 홈랩’을 통해, 우리 삶을 변화시킬 ‘스마트홈’의 모습을 살펴보겠습니다. 직접 움직이지 않아도 알아서 척척! 래미안 IoT 홈랩(HomeLab)은 현관, 주방, 거실, 안방, 운동방, 공부방, 영화관 등 7개 주거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공간의 특성과 주 사용자의 성향에 맞춘 19종의 IoT 상품이 곳곳에 적용되어 있습니다. 아파트 현관입구에 들어서자, 오늘의 날씨 정보를 파악한 에어샤워 시스템이 자동으로 작동해, 내 몸의 미세먼지를 털어냅니다. 깔끔하게 미세먼지를 털어내고 나면,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나에게 맞는 개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합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달의 베스트셀러 리스트를 통해 읽을 책을 고를 수 있습니다. # 주방 주방에서는 음성인식을 통해 각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음성인식과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원하는 음식 레시피와 칼로리, 요리에 필요한 소요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또 에어컨, 청소기…
더보기

트렌드
|
2017.10.12
모든 것이 연결된 세상, ‘2017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현장 속으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고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인프라와 서비스 기술, 바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의미합니다. 최근 사물인터넷 기반 기술은 스마트홈,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율주행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2017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가 10월 11~13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렸습니다. ‘IoT로 연결하고 융합하는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최신기술, 트렌드, 전망을 제시하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국내외 기업 200여 곳이 참여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 IoT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모든 것이 연결된 편리한 세상을 꿈꾸는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현장 소식을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이 전해드립니다. 비콘(Beacon)부터 자동주행 자동차까지, 생활 밀접한 신개념 IoT 제품들이 가득~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관련 시장 규모가 2017년 8000억 달러에서 2021년 1조 4000억 달러로, 꾸준히 성장할 전망입니다. 사물인터넷 기반 시장은 헬스 케어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부터 태블릿 PC 등을 활용한 보험∙물류∙현장관리, 가스밸브 자동 차단기, 전력량 제어 같은 원격 관제 서비스 등 그 종류와 범위도 다양합니다. ▲인터넷에 접속해 정확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시계’, 태양열로 구동하는 침입 감지 경보 시스템인 ‘스마트 방범 시스템’, ‘제로 카운터 게임’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마련된 사물인터넷 체험존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현장에는 그간 유용한 성과를 거둔 국내외 다양한 IoT 제품들을 눈으로 확인하고 체험해볼 수 체험존이 마련돼…
더보기

칼럼
|
2017.09.15
‘IFA 2017’ 주인공은 빅스비와 알렉사… ‘스마트홈 시대’ 성큼
미래 가전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국제가전전시회(IFA) 2017’이 지난 1일(현지시간)부터 6일까지 독일 베를린 ‘메세 베를린’에서 열렸다. 외연상으로는 지난해와 같은 ‘스마트홈’이 전시 키워드였지만, 면면을 보면 그 수준은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었다. 전시장을 가득 메운 ‘하이 알렉사’, ‘하이 빅스비’… 한층 편리해진 스마트홈 이미지출처: 삼성전자 뉴스룸 각 회사별 부스에선 기존 전시에서처럼 냉장고 문을 여닫거나 세탁기 버튼을 눌러보는 대신 “하이 구글”, “하이 빅스비”라고 ‘외치는’ 관람객들이 더 눈에 띠었다. 지난해까지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가전 제품을 작동하는 방식의 스마트홈 전시가 대부분이었다면 올해는 목소리를 통해 제품을 작동시키는, 한층 편리해진 스마트홈을 체험할 수 있었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파나소닉, 소니, 밀레, 그룬딕, 지멘스 등 다수의 가전 업체들은 기존 제품군, 생활 공간별 전시 외에 스마트홈 전시를 별도로 구성했다. 소비자들이 스마트홈이라는 개념을 앞선 기술이나 먼 미래가 아닌 일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대부분 아마존 알렉사, 구글 어시스턴트, 삼성전자 빅스비 등 음성인식형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거쳐 가전 제품을 제어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이미지출처: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전자는 혼자 사는 직장인의 하루를 짧은 연극형식으로 꾸몄다. 퇴근하던 회사원(전시 안내자)이 스마폰에 ‘하이 빅스비 커밍홈’ 이라고 말하자 에어컨과 조명이 자동으로 켜졌다. 로봇 청소기는 집주인이 도착하기 전 청소를 마쳐 집에 도착한 회사원은 마치 가족이 맞이해주는 느낌을 받으며 집안에 들어설…
더보기

|
2017.01.10
CES 2017에서 주목 받은 최신 기술들(上)
올해로 50주년을 맞은 세계 최대 국제전자제품박람회 'CES 2017'이 나흘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현지시간 8일 성황리에 폐막했습니다. 올해 CES의 주요 화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를 기반으로 생활가전, 자율주행/커넥티드카, 로봇 등을 통한 연결과 소통이었습니다.
더보기

트렌드
|
2011.09.15
진화하는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홈 시대 일상 속으로
IT기술의 눈부신 발달 덕분에 스마트폰과 스마트TV로 상징되는 스마트 열풍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스마트 기술이 한 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 가정에도 상당한 편리함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이야기 혹시 들어보셨나요? ^^ 오늘은 요즘 더욱 깊은 관심을 받고 있는 ‘스마트 홈’에 대해서 같이 살펴 볼까요? <출처 :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사전적 의미의 스마트 홈이란 유무선 통신과 디지털 정보 기기를 기반으로 홈네트워킹과 인터넷 정보가전을 이용해 언제(Anytime), 어디서(Any-place)나, 어떤 기기(Any-device)로도 컴퓨팅 이용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가정 내에 실현해 ‘생활환경의 지능화, 환경친화적 주거생활, 삶의 질 혁신’을 추구하는 지능화 된 가정 내 생활환경·주거공간을 의미합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집안의 각종 IT기기나 시설을 원격으로 조정하고 실시간으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원격으로 우리 집 보일러를 켜고 끌 수 있고, CCTV로 앞 마당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전 세계 어디서나 지켜볼 수 있고, 가스 불을 잠그어 화재를 예방할 수도 있지요^^ SF 영화 속에서만 볼 수 있었던 미래의 모습 같지만 이러한 환경은 이미 구축이 시작되고 있답니다^^ 요즘 신축하는 아파트들 가운데 일부는 이러한 스마트 홈 환경을 미리 고려하여 보일러나 전등을 온/오프 할 수 있는 기능을 설계 단계부터 적용하고 있다고 하네요. 아직 영화에서 만큼은 아니지만, IT 기술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