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시장' 검색 결과

|
2018.03.20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 시장 점유율 역대 최고 44.5% 기록
9인치 이하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역대 최고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 기사출처: 중소형 패널시장서 올레드 비중 50% 육박… 1년만에 2배 성장 (연합뉴스, 3/15日) 시장조사기관인 IHS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은 170억1934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도 같은 기간 131억5816만 달러보다 29.3% 성장했습니다. 업체별로 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75억8069만 달러의 역대 최고 매출로 44.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2위(17억8839만 달러), 3위(16억6676만 달러)와 압도적 격차의 1위를 달성했습니다. △OLED 고속 성장 1년새 2.1배 성장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의 성장을 주도한 것은 OLED입니다. 지난해 4분기 OLED 매출은 79억5562만 달러로 1년전의 37억5222만 달러 대비 112%나 성장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LCD는 91억1437만 달러에서 87억9794만 달러로 3.5% 감소하는 부진을 기록했습니다. 중소형 전체 시장에서 OLED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6년 4분기 28.5%에서 46.7%로 급성장한 반면 LCD 비중은 69.3%에서 51.7%로 감소하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 시장에서 95.1%의 시장점유율로 초격차의 1위를 기록하며 중소형 OLED 시장을 선도하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 스마트폰용 OLED 시장 석권 삼성디스플레이가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1년새 112.2%의 성장할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은 중소형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스마트폰용 패널의 압도적인 경쟁력 덕분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4분기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74억514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54.6%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했습니다. 실제로 스마트폰용 OLED 수요가 빠르게 늘어난 4분기 삼성디스플레이의…
더보기

|
2017.08.28
스마트폰용 패널, 디스플레이 시장 정상에 서다
다윗이 골리앗을 무너뜨렸습니다. 디스플레이 시장을 호령하던 TV 패널이 디스플레이 시장의 왕좌를 스마트폰 패널에 내줄 전망입니다. TV 패널은 2010년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47%를 차지하며 휴대폰 패널과 4배 이상의 격차를 보였으며 지속적으로 최고의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그러나 OLED를 중심으로 플렉시블, 초고해상도 등 새로운 가치를 앞세운 휴대폰 패널의 공세를 견디지 못했습니다. ※ 자료출처: “골리앗 쓰러뜨린 다윗…디스플레이 시장서 휴대폰이 TV추월” 연합뉴스 8/27日字 기사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2017년 휴대폰 패널 매출은 465억6533만 달러로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LCD와OLED를 합친 TV용 패널(412억 5377만 달러)을 재치고 디스플레이 단일품목으로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 십년간 디스플레이 최강자로 군림해온 TV 패널은 500ppi가 넘는 초고해상도 제품과 플렉시블 OLED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앞세운 휴대폰 디스플레이에 크게 밀리면서 ‘크기가 곧 경쟁력’으로 여겨온 디스플레이 시장의 오래된 패러다임이 큰 변화를 맞게 될 전망입니다. TV 패널은 줄곧 휴대폰 패널과 큰 매출격차를 유지하며 1위를 고수했습니다. 지난 2010년 TV 패널 매출은 553억8392만 달러로 휴대폰 패널 매출 129억 139만 달러 대비 4배 이상 높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TV 패널은 2014년 554억 6626만 달러의 최고 매출을 기록한 이후 내리막길을 걸었으며 2017년에 처음으로 휴대폰 패널에 역전 당하게 됐습니다. 실제로 TV 패널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8%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같은 기간 휴대폰 패널은 연평균 17% 성장했습니다. 휴대폰 패널 시장 확대는 스마트폰 시장 확대와…
더보기

|
2016.08.11
디스플레이 왕좌, TV에서 휴대폰으로 이동~
올해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큰 지각 변동이 예상됩니다. 휴대폰용 디스플레이가 TV 매출 규모를 따돌리고 사상 첫 1위를 차지할 전망입니다. 시장조사업체 IHS는 올해 휴대폰용 디스플레이 매출규모가 328억 달러로, 304억 달러인 LCD TV의 매출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 이는 지난 2년간 TV를 비롯한 노트북, 모니터용 패널의 매출 규모가 감소하였으나, 휴대폰용 디스플레이는 지속적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보기

|
2015.06.17
중소형 디스플레이의 세계 1위를 지키는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1분기에도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1위를 지키며 디스플레이 리더십을 확고히 하였습니다.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매출 24억 1,795만 달러를 기록하며 점유율 23.5%를 차지하였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연속으로 중소형디스플레이 시장 1위를 차지하며 선두를 지켜왔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중소형 시장에서 연속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확고한 경쟁력입니다. 중소형 시장의 70%를 차지하는 스마트폰 부문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31.8%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FHD 이상의 고해상도 스마트폰에서 54.6%의 점유율로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답니다. 또한 5인치 이상의 패블릿 스마트폰에서도 44.6%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4년 갤럭시 S5 LTE-A를 시작으로 갤럭시 노트4, 갤럭시 S6 및 S6 엣지에 스마트폰 최고해상도인 QHD 디스플레이를 선보이며 초고해상도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AMOLED는 Adobe RGB 100%에 달하는 색재현력과 높은 휘도와 명암비, 저소비전력 소모 등의 뛰어난 디스플레이 성능으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호평받아왔습니다. 갤럭시 S6 역시 디스플레이 전문 평가 기관인 디스플레이메이트에서 최고 등급인 Excellent A를 받으며, 그 성능을 인정받기도 하였지요. 거침없는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의 AMOLED!! 앞으로도 최고의 디스플레이 기술력으로 앞장서겠습니다!
더보기

|
2015.04.01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 패널 시장 5년 연속 세계 1위
삼성디스플레이가 2014년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2010년 이후 5년 연속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인데요. 시장 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2014년 삼성디스플레이는 매출액 80억 달러를 기록, 점유율 18.9%로 집계되었습니다. 특히 모바일폰 시장에서 매출 74억 달러를 기록, 전체 시장 점유율 26%의 선두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최근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은 화질과 해상도, 화면 크기 등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14년 갤럭시S5 LTE-A, 갤럭시 노트4 출시로 스마트폰 시장에 QHD의 초고해상도 시대를 열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AMOLED는 높은 휘도와 명암비, 뛰어난 야외시인성, 저소비전력 소모 등 놀라운 디스플레이 성능을 보여주면서 디스플레이 전문 평가 기관과 소비자들에게 호평받고 있습니다. 4월10일 출시 예정인 갤럭시S6는 577PPI의 고해상도, 모바일 디스플레이 최고 수준인 휘도, S5대비 20% 낮은 소비전력 소모, 뛰어난 야외시인성 등으로 최근 화질평가기관인 디스플레이메이트에서 Excellent A를 받기도 하였지요. 삼성디스플레이의 패널은 최고의 디스플레이 기술력이 집약되어 있는데요. 2015년 중소형 시장에서도 그 활약이 기대 됩니다.
더보기

|
2014.07.03
삼성디스플레이, 고해상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1위를 차지하다~!
최근 출시 되는 스마트폰들이 FHD급 높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면서 고해상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풀HD(1920×1080)와 QHD(2560×1440)로 대표되는 고해상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은 2014년 1분기 출하량이 5,764만 4,000개로 전 분기 대비 33.5% 증가였는데요.(시장 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 매출 또한 24억 9,977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8.7%의 성장세를 기록하였습니다. 전년 동기인 2013년 1분기와 비교해보면 각각 4.5배, 3.7배 증가한 것입니다.
더보기

TV / IT / PID
|
2014.03.24
삼성 커브드TV 개발의 주역을 만나다!!
요즘 많은 사람들의 눈길을 확~사로잡는 TV가 있답니다. 늘 직사각형으로만 만나게 될 줄 알았지만, 놀랍게도 곡선형태로 새롭게 나타난 TV!! 바로 커브드TV인데요. 지금껏 휘어지거나 투명한 디스플레이는 영화 속에서나 가능한 모습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화면이 휘어진 TV를 직접 구매할 수 있다니 기술의 발전은 정말 놀랍답니다.^^ 이렇게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어내려면 얼마나 많은 노력과 연구에 매진했을까요? TV업계의 새로운 돌풍을 이끄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개발자의 인터뷰를 통해 그 힘들었던 개발 히스토리를 살짝 들어보겠습니다. ^^ Q. 평면으로 볼 때도 문제 없던 TV를 굳이 휘어서 볼 필요가 있나요? A. 커브드 TV는 시청자 입장에서 볼 때, 화면 중앙에서 측면까지 시청거리가 동일해 화면에서의 몰입감, 임장감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맥스 영화관 등에도 커브드 스크린이 적용된 것이고요. 특히 초대형 평면TV의 경우는 화면 왜곡이 심하기 때문에 커브드디스플레이가 반드시 필요하답니다. Q. 커브드 디스플레이 개발 히스토리를 소개해주세요!! A. 개발 초기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LCD에서 휘어지는 화면을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해 개발과정이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여러 시행착오 끝에 해결책을 찾아 본격적으로 개발을 하게 된 것인데요. 한번은 핵심기술 파악을 위해 3년 전 단종된 디스플레이 모델이 필요했습니다. 그런데 단종된 모델이라 구하기가 쉽지않았어요. 당시 거래했던 고객사들을 직접 찾아갔고 다행히 재고를 발견 할 수 있었답니다. 그렇게 찾은 제품은 몇가지…
더보기

|
2014.03.07
중소형디스플레이 시장 1위,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2009년 4분기 부터 연속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3년 4분기에 9인치 이하 중소형디스플레이 시장에서 24억 3,974만달러의 매출을 기록, 점유율 21.9%를 기록하였습니다.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 서치에 따르면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은 지난해 연간매출이 전년대비 22.8% 성장하며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의 새로운 성장동력임을 입증하였는데요. 특히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AMOLED의 활약이 대단합니다. 중소형 AMOLED 매출은 2009년 5억 3515만 달러에서 2013년 101억 9,190만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이 무려 109% 달하며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답니다. 중소형디스플레이의 시장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시장 확대에 따라 최근 몇년간 꾸준히 성장하고 있었는데요. 스마트폰은 고해상도, 대화면 시대를 맞아 질적 성장을 이루며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였고, 태블릿PC시장은 노트북 시장 수요를 대체하며 규모를 확대해왔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제품들을 통해 성장할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활약을 기대해주세요!!
더보기

|
2014.02.14
차세대 조명의 대표주자, OLED
OLED조명은 얇고 가벼우며, 광효율이 우수해 LED를 대체할 차세대 조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우수한 색감과 눈에 편안한 광특성이 장점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비싸 상용화가 쉽지않은 상황인데요. | 2010년 미래디스플레이 공모전 수상작 | 국내 산업계, 연구소 등에서 꾸준히 연구한 결과 투명 전극 등을 이용한 저가 OLED개발에도 성공했다고 합니다. 또한 AMOLED 디스플레이 시장의 90%를 점유하는 국내 OLED 산업인프라를 활용할 경우 국제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OLED 조명의 활약이 기대가 됩니다. 아래 영상은 ‘2014 Lighting Japan’에서 시연한 OLED 조명입니다. Flexible OLED를 비롯한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을 만나 볼 수 있답니다. | 출처 : OLED-Info.com |
더보기

알려드립니다
|
2012.04.13
대형 아몰레드TV 기술유출 사건의 진상
대형 아몰레드TV 기술유출 사건의 진상
첨단 대형 아몰레드TV 기술 빼돌린 국내 후발 대기업 임원 등 11명 검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