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폴더블' 검색 결과

모바일
|
2021.08.31
혁신에 혁신을 더해 점점 더 완벽에 가까이, 삼성 폴더블 OLED 혁신의 역사
3세대까지 진화한 삼성 폴더블 OLED 탑재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3와 Z 플립3~!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OLED는 2019년 갤럭시 폴드에 처음 적용된 이후 진화를 거듭하며 매번 제품의 혁신을 이끌어 왔습니다. 2019년 첫 등장한 폴드에 이어 플립, 그리고 최근 출시된 Z 폴드3, Z 플립3 까지. 폴더블 스마트폰에 탑재된 삼성 폴더블 OLED 혁신의 역사를 인포그래픽으로 한 눈에 살펴보겠습니다.
더보기

트렌드
|
2020.07.3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전기자동차까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
2019년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의 접는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를 출시해 전세계 소비자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스마트폰은 화면을 접어서 쓴다는 점 때문에 역사에 중요한 획을 그었다. 디스플레이를 접어서 사용하는 것은 대중에게는 영화 속에서나 가능한 일이거나 미래의 일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화면이 접히는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역사에서 혁신적인 변화지만, 사실 접는 것은 과도기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인 목표는 자유자재로 휘거나 둘둘 마는 것이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을 접는 건 디스플레이와 기기의 일부만 휘게 만들면 되는 일이지만 어느 부위나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게 하려면 디스플레이 전부, 그리고 회로와 배터리까지 모두 휘어지게 만들어야 하는데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현재 모든 스마트폰이 사용하는 리튬이온배터리는 폭발 등의 위험 때문에 휘어지게 만들 수 없다. 결국 새로운 배터리 개발이 필요한데, ‘전고체 배터리’가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란? ▲리튬이온 배터리 VS 전고체 배터리 비교 (출처: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는 쉽게 말해 전부 고체로 이뤄진 배터리를 말한다. 전부 고체여서 일부분이 액체인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자유롭게 모양을 만들 수 있고 휘어지게도 만들 수 있다. 애초에 배터리를 전부 고체로 만들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일부 액체’에서 ‘전부 고체’로 가는 기술적인 장벽이 크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하지 못했다. 전부 고체라는 말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먼저 배터리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물질이 가지고 있는 산화 환원 경향 차이를 이용해 전류를 흘려보내는 장치로, 19세기…
더보기

칼럼
|
2020.05.28
끝없이 진화하는, 모바일 기기 폼팩터 변천사!
‘꼴’이란 사람의 모습이나 행색을 말하거나 사물의 형태를 뜻한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처음 볼 때 느끼는 첫인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외관으로 보이는 형태를 통해 사람 혹은 사물의 스타일이나 분위기를 파악한다. 스마트폰을 비롯해 다양한 가전제품들을 보면, 실제로 외관 형태나 디자인을 통해 제품의 성능이나 가치, 기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모바일 기기의 형태를 살펴보면, 앞으로 모바일 기기가 어떻게 진화할지를 전망할 수 있다. 휴대폰이 등장한 지난 10년, 폼팩터는 어떻게 변화했나? 우리는 제품의 형태를 이야기할 때 종종 ‘폼팩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폼팩터(Form Factor)는 공학 설계에서 제품의 물리적 배열이나 구성을 의미하는 말이다. 폼팩터가 변하면 제품의 크기나 디자인 등 외형까지 변하게 되는데, 초반에는 컴퓨터 하드웨어 규격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모바일 기기가 발전하면서 주로 스마트폰의 형태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 모토로라가 만든 세계 최초의 휴대전화 ‘다이나택(Dynatac) 8000x’ (출처: 모토로라) 스마트폰이 본격 보급되기 이전에 등장한 휴대폰 즉 피처폰은 생각보다 다양한 폼팩터로 등장했었다. 처음 휴대폰이 나올 때만 해도 바(Bar) 형태의 디자인이 일반적이었다. 막대기처럼 기다란 직사각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과 하단에는 10개가 넘는 물리 버튼들이 노출되어 있었다. 최초의 휴대전화인 모토로라 ‘다이나택 8000x’ 제품 이후 이런 형태로 휴대폰이 설계되었다. 이후에 등장한 것은 노출된 조작 버튼을 보호하고 디자인도 훨씬 깔끔한 플립 형태의 휴대폰이었다. 1989년 모토로라 마이크로택이 세계 최초의 플립형 휴대폰이다. 돌출된 키패드를 가릴 수 있도록 뚜껑을 열고 닫는 플립형태의 디자인을 적용해 외관은 깔끔해졌으며, 키버튼 등에 먼지나…
더보기

|
2019.03.04
2019 모바일 트렌드를 읽다 ‘MWC 2019’ 현장 속으로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 2019’가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4일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됐습니다. 올해로 33회째를 맞는 MWC(Mobile World Congress)는 더욱 구체화된 5G 기술 소개와 함께 미래형 모바일 기술의 비전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경계를 없애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현실화된 5G(5세대 이동통신) 등이 새로운 모바일 시대의 개막을 알렸습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5G까지, 미래형 모바일을 엿보다 (출처: 삼성전자 뉴스룸) 이번 전시에서 가장 돋보인 모바일 기술은 바로 폴더블 디스플레이였습니다. 삼성전자가 선보인 폴더블 스마트폰‘갤럭시 폴드(Galaxy Fold)’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첨단 플렉시블 OLED를 탑재해 구현이 가능했습니다. 접었을 때는 4.6형 HD+ 해상도의 커버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있어, 화면비 21대 9의 컴팩트한 사이즈로 일반 스마트폰처럼 사용할 수 있고, 펼치면 7.3형 QXGA+의 4.2:3화면비의 디스플레이로 보다 넓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펼친 화면에서는 3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현하는 강력한 멀티 태스킹 기능을 자랑합니다. 하나의 모바일 기기로 태블릿과 스마트폰의 경험을 모두 제공하는 폼팩터(Form Factor) 혁명을 볼 수 있었습니다. (출처: 삼성전자) (출처: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함께 선보인 갤럭시 S10 5G는 5G 초고속, 초저지연 통신 성능을 함께 시연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첨단 5G 네트워크 솔루션을 선보인 삼성전자는 MWC 2019 공식 방송 채널인 ‘모바일 월드 라이브 TV(Mobile World Live TV)’의 생중계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갤럭시 S10시리즈는 상하좌우 베젤을 모두 최소화하고, 카메라 홀을 제외한 스마트폰 전면을 디스플레이로 채운 인피니티-O 디스플레이(Infinity-O Display)로 진정한 풀 스크린 디자인을 완성한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세계 최초로 모바일 컬러 볼륨을 100% 재현해 생생한 화질을 즐길 수 있고, 인체에 해로운 블루 라이트 파장도 획기적으로 줄였습니다. 특히 세계 최초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