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CR(eXperienced Color Range, 체감휘도)은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화면의 밝기를 지수화한 지표입니다. 먼저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이야기할 때 주로 등장하는 개념인 휘도(Luminance)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휘도란 디스플레이, 조명 등의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화면을 밝게 표시할수록 야외의 햇볕 아래에서도 화면의 이미지나 영상을 또렷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성능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휘도는 빛을 내는 물체의 단위 면적당 밝기를 의미하는데요, 칸델라(cd/㎡) 또는 니트(nit)를 단위로 사용하며, 1칸델라는 촛불 1개가 비추는 밝기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휘도의 수치만으로는 실제로 콘텐츠를 시청할 때 경험하는 복잡한 상황을 충분히 설명해 내지 못합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XCR(체감휘도) 개념입니다.

 

 

위 사진들은 색채 사진의 대가인 이탈리아 작가 '프랑코 폰타나(Franco Fontana)'의 작품을 서로 다른 두 대의 TV에 전시한 있는 모습입니다. 좌우의 사진 밝기가 각각 다른 듯 보이지만, 놀랍게도 좌우 TV의 휘도는 똑같이 설정돼 있습니다.

 

 

속임수처럼 보이는 이 현상은 위와 같이 색상별로 구분한 이미지에서 더욱 명확히 확인됩니다. 이미지에서 왼쪽의 빨간색이나 오른쪽의 보라색이 가장 밝게 보이겠지만, 실제 휘도는 다섯 가지 색 모두 동일합니다. 밝기에 분명한 차이가 느껴짐에도 휘도계로 측정시 같은 수치가 나오는 이 현상은 1860년 독일의 물리학자 헬름홀츠(Hermann Ludwig Ferdinand von Helmholtz)와 콜라우슈(Friedrich W. Georg Kohlrausch)에 의해 최초로 밝혀졌습니다. 휘도뿐만 아니라 색상의 종류와 채도(색의 맑고 탁한 정도)에 의해 인간은 밝기를 다르게 느낀다는 것입니다.

 

▲ 색상, 채도 정보까지 종합해 인지하는 특성을 적용한 XCR 개념

 

2022년 미국 로체스터 공과대학의 '먼셀 색채 과학 연구소(Munsell Color Science Lab)'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지원을 받아 H-K 효과를 고려한 밝기 연구를 수행했으며 그 결과, 휘도만으로 표현하던 기존의 밝기보다 H-K 효과를 고려해 수치화한 체감 밝기가 사람의 시각 체계 특성을 더 잘 반영한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휘도만으로 표현하는 밝기 측정의 한계를 해결하고 'H-K 효과'를 토대로 한 XCR 개념의 탄생은 디스플레이 밝기 측정법에 새롭게 등장한 패러다임입니다.

 

XCR은 디스플레이를 설계, 개발, 평가하는 많은 과정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게임, 영화 등 HDR(High Dynamic Range) 화질 표현이 중요해질수록 디스플레이 개발 단계부터 XCR을 고려해 체감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노트북, XR, 의료기기 등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로 콘텐츠를 시청하더라도 늘 같은 밝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XCR이 가이드라인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