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다양한 테크 분야의 성장에 가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올해 첨단 테크놀로지 분야는 이와 같은 트렌드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새로운 전략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요. 예상보다 빨리 찾아온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혁명’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연쇄 반응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새해를 맞아 이와 같은 변화를 준비하고 빠르게 변하는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기 위해 KAIST 미래전략연구센터가 내놓은 <카이스트 미래전략 2022>를 중심으로 테크 분야 전반의 변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자문. KAIST 미래전략연구센터
#1 헬스케어 3.0,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대전환
코로나19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빅뱅! 바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급격한 혁신의 시기를 통과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구글 핏과 애플의 헬스 킷은 웨어러블 단말기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을 구현해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해 디지털 의료를 구현하는 단계까지 나아갔습니다. 무엇보다 주목받고 있는 분야는 의료기술과 접목된 스마트 패치입니다. 스마트 패치는 피부 위에 직접 부착해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체내 수분량 및 산소량 등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건강의 이상 징후를 초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뉴트로믹스 스마트 패치 ▲ 스카이랩스 카트원
Nutromics의 스마트 패치는 세계 최초로 섭취한 음식의 체내 반응도를 확인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로 각광받고 있는데요. 음식물 섭취 후 변화하는 체내 생물지표를 앱으로 전송해 자신의 몸이 다양한 음식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또 멜버른에서 시작한 바이오테크 기업 DorsaVi는 노동 작업이 필요한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ViSafe와 세밀하고 다양한 각도의 운동 능력 추적이 필요한 운동선수, 재활운동 등에 적합한 ViMove, 두 가지 웨어러블 기기를 내놓아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헬스케어 스타트업 휴이노가 개발한 시계 형태의 심전도 측정 장치 ‘메모워치’가 대표적입니다. 메모워치는 국내 최초로 건강보험 적용을 받게 되면서 의료 기기 인증을 넘어 의사들이 메모워치를 처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더불어 삼성전자의 심전도 측정 앱과 국내 헬스케어 스타트업 스카이랩스가 개발한 세계 최초 반지형 심장 모니터링 기기 ‘카트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료기기 허가를 받으며 괄목할 만한 장면을 만들어 내기도 했습니다.
#2 완전 자율주행의 꿈, 트롤리 딜레마와 부딪히다
최근 모빌리티 분야의 최대 화두는 바로 완전 자율주행입니다. 하지만 자율주행기술은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많은 부침을 겪고 있는 분야이기도 한데요. 지난 해 4월에는 자율주행 택시를 개발하던 구글의 자회사 웨이모(Waymo)의 CEO가 자율주행 택시 상용화 실패로 사임했습니다. 또 자율주행 개발에 나섰던 우버 역시 자율주행 사업부를 매각했습니다. GM, 포드, BMW 역시 자율 주행 상용화 시기를 2025년 이후로 미뤘습니다.
이런 결과는 오토파일럿 기반의 자율주행 차량의 사고가 잇달았기 때문입니다. 현재 모빌리티 분야의 자율주행은 레벨0에서 6단계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레벨4 이상이 되어야 비로소 운전자가 아닌 차량의 책임 아래 완전 자율 주행이 가능합니다. 각광받고 있는 테슬라도 실은 레벨2에 머무르고 있기에 완전자율 주행의 꿈과는 아직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데이터가 쌓이면서 자율주행은 AI를 기반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간도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윤리적 딜레마의 영역에까지 도달했는데요.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소위 *트롤리 딜레마처럼 윤리적 판단,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까지 고려가 필요하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윤리적 판단, 사고 시 책임의 문제부터 관련 제도의 마련까지 이처럼 연구가 거듭될수록 완전자율주행이 생각한 것만큼 쉽지 않다는 공감대가 넓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트롤리 문제: 위급한 상황에 누구를 살릴 것인가를 보는 윤리실험. 전차가 궤도를 따라 달린다. 그 궤도 앞에 5명이 움직이지 못하게 묶여 있다. 그대로 놓아두면 전차는 5명을 치어 죽게 된다. 단, 전차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레버를 당기면 5명은 살아나지만, 다른 궤도에 묶여 있는 1명은 죽는다. 과연 어떤 행동이 윤리적으로 타당한 일일까?
#3 생체 인식 기술, 복제 기술과 경쟁하다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 인증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인체의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을 식별하고 인증하는 생체인식 기술이 미래 인증, 보안 기술로 주목받는 시대가 되었는데요. 생체인식 기술은 스마트 디바이스, 핀테크, 헬스케어, 쇼핑 같은 개인 서비스 분야는 물론 출입국 관리, 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국가 사회안전망 구축 등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생체인식은 신체적 특징을 활용하는 방식과 행동적 특성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됩니다. 개인의 얼굴 모양, 얼굴 열상(thermal image)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을 비롯해 홍채, 지문, 망막, 정맥, 손 모양의 특징을 활용하는 방식. 행동적 특징을 활용한 걸음걸이, 서명으로 식별하는 방식이 있는데 최근에는 신체적 특징과 행동적 특성을 복합적으로 접목한 다중 생체 인식 방법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글로벌 생체인식 기술 시장은 2020년 366억 달러 규모였던 것이 오는 2025년에는 약 686억 달러 규모로 커질 전망이라고 합니다. 다만 최근에는 딥페이크와 같은 위변조 및 복제기술이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데다 개인의 사생활 문제 등 다양한 이슈가 교차하면서 많은 논의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4 AI 진화, 테크를 넘어선 윤리의 영역으로
“안녕! 난 너의 첫 AI 친구 이루다야. 나랑 친구 할래?”
이루다는 국내 한 AI 업체에서 출시하자마자 큰 인기를 누린 AI챗봇이지만, 서비스 3주 만에 중단되고 말았습니다. 채팅은 기계와 나누는 대화 같지 않게 자연스러웠으나, 외설적 표현, 차별적 혐오, 개인정보 유출까지 일으켰기 때문인데요. 마이크로소프트가 선보였던 AI 챗봇 ‘태이(Tay)’ 역시 유대인 학살, 인종차별 등 논란 때문에 하루 만에 폐쇄된 바 있습니다.
AI는 이제 단순한 도구를 넘어 사람의 판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영역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고 있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자율주행 오토파일럿, IBM의 왓슨 헬스 클라우드, 딥페이크, 안면인식 등 인간의 생명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는 AI가 늘어나면서 AI 윤리에 대한 요구는 더 늘어나고 까다로워졌습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AI 윤리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기업, 국가를 막론하고 AI 윤리연구, 법제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AI 윤리 문제와 더불어 앞으로 전개될 메타버스 생태계는 이보다 더 복잡하고 확장된 범위의 새로운 윤리 규범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기술이 단순한 테크놀로지를 넘어 윤리와 철학의 영역까지 범위를 확장하는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올해에도 첨단 기술 분야는 엄청난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우리 시대의 테크놀로지는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데요. 테크놀로지는 이제 윤리, 공공성 등 다양한 이슈가 복잡하게 교차하는 영역이 되었다는 것이 과거와는 크게 달라진 점이 아닐까 합니다. 2022년은 기술에 걸맞은 윤리와 철학이 요구되는 시대가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을 함께 되새겨 봤으면 합니다.
※ 이 칼럼은 해당 필진의 개인적 소견이며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의 입장이나 전략을 담고 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