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D, 홀디스플레이, 뛰어난 화질 특성! 디스플레이 혁신으로 주목받은 갤럭시S10~
개발자가 직접 전하는 갤럭시S10 디스플레이 혁신의 비밀은?

모바일
2019/04/10
갤럭시S10 디스플레이 개발자 생생 인터뷰
지금까지 이런 디스플레이는 없었다! 디스플레이에 홀을 뚫어 더 완벽한 풀스크린을 구현, 세계 최초 초음파식 지문인식을 디스플레이에 탑재, 눈에 더 편하면서도 최고의 화질을 완성한 갤럭시 S10 디스플레이! 더욱 완벽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 갤럭시 S10 디스플레이 개발자가 전하는 생생인터뷰!

칼럼
2019/04/05
갤럭시S10 5G 출시, 세계 최초 5G 시대를 열다
오늘 삼성 갤럭시S10 5G 모델이 출시되면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5G 시대가 열렸다. 어느 나라가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느냐가 뜨거운 이슈가 될 정도로 관심이 높았고, 촌각을 다투는 치열한 경쟁 끝에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특히 갤럭시S10 5G모델은 직전에 출시한 4G LTE용 갤럭시S10에 비해 사전 예약 기간이 짧았음에도 상당히 고무적인 예약량을 기록하며 5G에 대한 인기를 실감케 했다. 도대체 5G는 기존 통신망과 무엇이 다르고, 일반 소비자들은 어떠한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인가? 5G 서비스가 도대체 얼마나 다르길래? 2G, 3G에서 4G LTE에 이르기까지 무선 네트워크 진화의 중심 키워드는 ‘속도’였다. 5G는 다운로드 기준 최대 20기가bps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의 4G LTE 대비 20배나 빠르다. 2시간 분량의 UHD급 영화 한 편이 약 5기가바이트임을 고려할 때, 2초만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하지만 5G에 주목하는 이유가 ‘더 빠른 속도’ 때문만은 아니다. 수 많은 사물을 연결하는 초연결성과 딜레이 없는 초저지연성(Low Latency)을 제공해 차원이 다른 인프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에는 모든 사물이 연결되는 이른바 사물인터넷(IoT)이 있다. 5G가 본격 사용되면 단위면적(1㎢)당 100만개가 넘는 연결성을 제공해, 사실상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사람이 소통할 수 있어 자동차, 드론, 로봇 연결은 물론, 스마트 팩토리, 교통시스템, 무인항공기 등 대용량…

보도자료
2019/03/05
갤럭시S10, 디스플레이메이트 화질평가 최고등급 획득
“갤럭시S10 디스플레이는 모든 항목에서 최고의 성능을 지닌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이다.(The Galaxy S10 display is an all around top Performing Smartphone display.)” 미국 화질평가전문업체인 디스플레이메이트(DisplayMate)는 4일(현지시간)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갤럭시S10의 화질평가 결과를 공개하며 갤럭시S10 디스플레이에 최고 등급인 ‘엑설런트(Excellent)A+’를 부여했다. 디스플레이메이트는 갤럭시S10에 탑재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세부 화질평가를 실시, 야외시인성, 소비전력, 색정확도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전작인 갤럭시S9 대비 획기적으로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갤럭시S10은 6.1형 크기에 3K QHD+(3040×1440) 해상도의 OLED를 탑재했다. 특히, 밝기 성능을 끌어 올려, 햇빛이 강한 야외에서도 화면이 또렷이 보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야외시인성’이 갤럭시S9보다 크게 향상되었다. 갤럭시S10의 최대 밝기는 1,215cd/㎡1 1)로 갤럭시S9의 1,130cd/㎡보다 7.5% 더 밝아졌다. 밝기는 밝아진 반면, ‘소비전력’은 전보다 오히려 낮아졌다. 동일 휘도와 면적에서 평가한 결과, 갤럭시S10의 소비전력은 1.54와트(Watt)로 갤럭시S9의 1.7와트 대비 9.4% 향상되었다. 또한, 디스플레이메이트가 실시한 ‘색정확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갤럭시S10은 갤럭시S9의 0.7JNCD2 2)(값이 낮을수록 우수)를 뛰어넘는 역대 최고 수준인 0.4JNCD(DCI-P3, 내츄럴모드 평균 기준)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갤럭시S10이 현존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중 실제의 색상과 가장 가까운 색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 사용자들의 시청 환경 개선을 위한 유해 ‘블루라이트’3 3)(Blue Light)감소에도 주력했다. 디스플레이메이트는 갤럭시S10이 패널 설계 변경을 통해 유해한 블루라이트 비중을 갤럭시S9 대비 42% 낮췄다고 밝혔다. 갤럭시S10 디스플레이는 지난 21일 글로벌 인증평가…

모바일
2019/02/21
디스플레이 기술 퀀텀 점프! 스마트폰 혁신을 이루다 ‘갤럭시 폴드 & 갤럭시S10’
2월 20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열린 ‘삼성 갤럭시 언팩 2019’에서 갤럭시 10주년을 기념하는 역대급 스펙의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Galaxy Fold)’와 ‘갤럭시 S10’ 시리즈가 공개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탄생! ‘갤럭시 폴드’ (출처: 삼성전자) 먼저 소개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Galaxy Fold)’는 전에 없던 새로운 모바일 카테고리를 선보이며 관람객을 매료시켰습니다. 갤럭시 폴드는 세계 최초로 7.3형 폴더블(Foldable) OLED를 탑재했습니다. 접었을 때는 4.6형 HD+ 해상도의 커버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있어, 화면비 21대 9의 컴팩트한 사이즈로 일반 스마트폰처럼 사용할 수 있고, 펼치면 7.3형 QXGA+의 4.2:3화면비의 디스플레이로 보다 넓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펼친 화면에서는 3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현하는 강력한 멀티 태스킹 기능을 자랑합니다. 하나의 모바일 기기로 태블릿과 스마트폰의 경험을 모두 제공하는 폼팩터(Form Factor) 혁명을 이루어 냈습니다. (출처: 삼성전자 언팩 영상) 또한, 앱 연결 사용성(App Continuity) 기능에 의해 접은 상태에서 펼치면 사용하던 애플리케이션을 더 커진 해상도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처럼 혁신적인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새로운 복합 폴리머(Polymer) 소재를 개발을 통해 기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보다 약 50% 정도 얇은 디스플레이를 완성함으로써 가능했습니다. 새롭게 개발한 정교한 힌지(Hinge) 기술을 적용해 책처럼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화면을 펼칠 수 있고, 접을 때도 평평하고 얇은 형태를 유지해줍니다. 디스플레이에 대한 오랜 연구와 개발 끝에 여러 번…

보도자료
2019/04/17
삼성디스플레이, 갤럭시 폴드용 OLED 국제인증 획득
갤럭시 폴드가 유해 블루라이트를 획기적으로 줄인 디스플레이로 국제 인증을 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갤럭시 폴드에 탑재되는 7.3인치 폴더블 OLED(해상도 1536×2152)가 글로벌 기술평가기관인 독일 TÜV 라인란드(TÜV Rheinland)로부터 ‘아이 컴포트(Eye Comfort)’ 인증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갤럭시 폴드용 폴더블 OLED는 전체 가시광선 중 유해하다고 알려진 415~455nm의 파장대의 짙은 청색 광선의 비중을 업계 최저 수준인 7%까지 낮췄다. 기존 OLED의 경우 유해 블루라이트의 비중은 12% 수준이며, 일반적인 스마트폰용 LCD는 18%에 이른다. 단파장 블루라이트의 유해성이 알려지면서 이를 차단하는 필터나 프로그램이 등장하고 있지만 많은 경우 색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유기재료 성능 개선을 통해 DCI-P3 색표준을 100% 지키면서도 유해한 청색광의 비중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백지호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 전략마케팅팀장(부사장)은 “폴더블, 풀스크린 등 스마트폰의 폼팩터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OLED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환경을 고려한 화질과 소비자의 눈건강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빠른 속도로 기술혁신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3월 출시된 삼성전자의 최신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10에 탑재된 플렉시블 OLED 역시 유해한 블루라이트를 줄여 독일 TÜV 라인란드(TÜV Rheinland)로부터 ‘아이 컴포트(Eye Comfort)’ 인증을 받은 바 있다.
![[인포그래픽] 갤럭시 S10 디스플레이 살펴보기](https://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19/02/dfdsafa.png)
모바일
2019/02/22
[인포그래픽] 갤럭시 S10 디스플레이 살펴보기
삼성이 공개한 갤럭시 S10 시리즈에는 어떤 디스플레이 기술이 들어있을까? 갤럭시 S10 디스플레이의 기본 스펙부터 혁신 기술을 인포그래픽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Replay the Display
2022/07/06
[REPLAY THE DISPLAY] VOL.9 노트북용 LCD 양산 시작
‘리플레이 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글로벌 리더 삼성디스플레이가 걸어온 발자취를 따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적 순간들을 포착해 공유하는 코너입니다.

스토리
2022/07/05
여름철 높은 불쾌지수, 과학적 팩트로 현명하게 대처하는 법
얼마 전까지 폭염경보로 무더위가 지속되더니 이제는 장마에 접어들었습니다. 무더위 속에서 긴 장마가 지속되는 우리나라 여름 날씨는 불쾌함을 느끼기 쉬운데요, 최근에는 무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불쾌지수가 높은 날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화를 돋우는 불쾌지수! 피할 수 없다면 제대로 대처하는 법을 알아보고 더 ‘해피’한 여름으로 고고! 불쾌지수의 시즌, 여름이 돌아왔다~ 불쾌지수는 기온과 습도에 따른 불쾌감을 나타낸 수치로, 온습도지수라고도 합니다. 1959년 미국의 기후학자 톰(E. C. Thom)이 고안하여 발표했습니다. 지수 산출 공식을 한번 알아볼까요? 불쾌지수 계산하려다 불쾌지수가 더 높아질 것 같은 산식이네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자동으로 산출해 주는 사이트! 웨더아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불쾌지수를 구할 수 있는데요. 기온과 습도를 입력한 후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오늘의 불쾌지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 웨더아이 사이트에서 기온과 습도를 입력하면 불쾌지수가 산출된다. 불쾌지수의 단계를 보면 수치가 68 미만일 때는 모두 쾌적함을 느끼고 그 이상부터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하는데요. 수치가 75 이상 80 미만일 경우 전체 인원 중 50%가 불쾌감을 느끼며 80 이상이 되면 모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됩니다. 물론, 불쾌지수에 대한 비판 역시 존재합니다. 기온과 습도만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름철 실내의 무더위를 알아보는 기준으로는 알맞지만 복사나 바람 조건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불쾌감을 느끼는…

D shorts
2022/06/29
[디쇼츠] 눈 건강을 위한 디스플레이 처방전, 삼성 OLED!

스토리
2022/06/29
지구는 녹아내리는 중, 한반도 크기의 빙하가 사라진다
전 세계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해 모든 육지가 물로 뒤덮인 세상. 겨우 살아남은 인류는 인공섬에서 바다를 표류하며 생존 투쟁을 벌이며 살아갑니다. 흙은 아주 귀한 재화 교환의 수단이 되었고, 사람들은 최후의 육지라 알려진 드라이랜드를 찾아 떠납니다. 1995년에 개봉한 영화 <워터월드>의 줄거리입니다. 20년도 훨씬 넘은 영화 속 이야기이지만 그저 영화적 상상이라고만 여겨지지 않는 이유는 왜일까요? 빙하가 녹고 있다 지구에는 남극, 북극 외에도 산악 빙하, 떠다니는 해빙 등 다양한 빙원이 곳곳에 존재합니다. 최근 지구온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얼음이 녹는 속도에 가속도가 붙어 빙하의 면적이 급격하게 축소되고 있다는 건 이미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에 따르면 2020년 10월 북극을 덮고 있던 얼음 면적은 528만㎢로, 역대 10월 관측 값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북극 빙하 면적은 2016년 10월 640만㎢, 2018년 10월에는 606만㎢를 기록했는데, 2020년의 면적은 역대 두 번째로 가장 작았던 2019년 10월의 566만㎢보다도 작은 수치입니다. 토마스 슬레이터 영국 리즈대 극지 관측 및 모델링 센터(CPOM) 연구원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23년간 전 세계적으로 총 28조 톤의 얼음이 사라졌는데요. 사라진 얼음의 50%가 그린란드 빙하와 남극의 평평한 얼음층인 빙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얼음이 녹는 속도도 빨라졌는데, 1990년대에는 매년 약 8000억 톤의 얼음이 녹았지만 2000년대 들어서 1조 2000억 톤,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뉴스레터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뉴스레터 Vol.113

트렌드
2022/06/28
음성인식 기술의 한계와 가능성_국경과 언어를 넘는 소통의 단초가 되다
“열려라, 참깨!”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들’의 주문을 기억하시나요? 음성 명령어의 원형이라고 할 만한 이 장면은 오랜 시간 후에 실제로 구현되었습니다. 1952년 미국 벨 연구소(Bell Labs)가 최초로 개발한 오드리(Audrey)는 음성인식 서비스의 효시로, 그 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는데요. 오늘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음성 키오스크 주문기, 시리와 인공지능 스피커, 내비게이션 등 음성인식 기술은 인간과 기계를 잇는 일상적 가교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기술은 인간의 편리한 삶을 가능하게 해주지만, 언어별로 적용 가능한 범위가 크게 다른 양극화 현상이 존재합니다. 국내외 플레이어 동향과 기술의 발전상, 향후 해결 과제를 한 번 알아볼까요? 글. MIT Technology Review 편집팀 기술과 서비스의 각축장, 음성인식 시장의 확장 최근 코로나 팬데믹 기간을 거치면서 음성 기술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졌습니다. 매거진 <음성 기술> 최신호에 따르면 음성인식 시장의 규모는 2025년까지 268억 달러(약 31조 7,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향후 발전 가능성 또한 높습니다. 국내는 주요 가전업체와 통신사, 플랫폼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요. 주요 기기와 서비스로는 ▲삼성 ‘빅스비’ ▲LG ‘Q보이스’ ▲SK텔레콤 ‘누구’ ▲KT ‘기가지니’ ▲네이버 ‘클로바’ ▲카카오 ‘카카오’ 등이 있습니다. 국내 음성 AI 플랫폼은 한국어에 특화된 음성 인식∙합성 성능과 IPTV 셋톱박스 기능, 검색, 팟캐스트나 음악 스트리밍 등 국내 인터넷∙모바일 서비스와의 연동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반면 글로벌 음성…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