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렌드
2017/12/15
2018 평창 동계 스포츠 대회의 주요 기술 – 4K UHD
126,144,000초다. 1초 1초를 쌓아 올려서 4년이 되었다. 매 1초마다 선수와 선수를 지원한 모든 이들의 땀과 열정이 담겨져 있다. 그 1초 1초가 모여 126,144,000초가 되어 4년이 된다. 그래서 4년 마다 열리는 스포츠 제전은 땀과 열정이고, 그 열정의 향연이다. 겹겹이 쌓인 열정을 드러내기 위해 4년을 기다린 사람들은 또 있다. 바로 방송 기술자들이다. 방송 기술자들은 선수들의 값진 노력이 정당하게 대접받을 수 있도록 기록하고, 기록된 순간을 기억할 수 있게 해 주는 이들이다. 0.001초에 결판이 나는 그 순간에 126,144,000초의 땀방울 하나 하나를 담아 생생하게 전달해 기억코자 하는 방송인들의 기술 향연장이기도 하다. 그래서 세계인의 스포츠 대회는 신기록의 장이다. 오늘 모인 선수들은 어제 선수들의 기록을 뛰어넘고자 하고, 방송기술 역시 이전의 방송기술들을 갈아치운다. 차이가 있다면, 선수들은 대회날 성패가 결정되지만, 방송인들은 오늘 ‘최고’와 ‘최초’의 방송기술을 선보여서, 내일의 서비스로 나아가는 일을 한다. 방송 기술 경쟁의 장,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는 방송기술의 산 현장이고 그 자체가 역사다. 신기술이 개발 후, 상업화 전 가장 진보된 기술을 선보이는 곳이다. 1928년 암스테르담 대회는 세계 최초 라디오로 중계된 대회였다. 라디오가 개발되고, 방송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1920년대 초반이지만, 의미있는 방송 서비스로 인정받고 추인받은 자리는 그때가 처음이다. 손기정 선수가 42.195km를 질주하고 들어와 두 손을…

트렌드
2017/12/11
AI 스피커의 격전… 과연 그 승자는?
AI 스피커에 대한 열기가 뜨겁습니다. 구글(Google), 아마존(Amazon) 등 글로벌 IT 기업들은 물론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기업들도 저마다 제품을 출시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습니다. ‘아이언맨’ 영화에서 봤던 인공지능 음성 비서 서비스 ’자비스’가 어느새 우리 앞에 성큼 다가온 느낌입니다. ▲ 아마존의 AI 스피커 ‘에코’(출처 : 아마존)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분석업체인 버토 애널리틱스(Verto Analytics)에 따르면 아마존의 AI 스피커 ‘에코(Echo)’에 탑재된 ‘알렉사(Alexa)’ 이용자가 지난해 80만명에서 올해 260만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음성만으로 날씨, 음악 등 정보를 검색하고, 가전제품을 컨트롤하거나 온라인 쇼핑을 할 수 있다는 점이 AI 스피커의 인기 비결입니다. AI 스피커의 핵심 기술, ‘빔포밍’과 ‘딥러닝’ AI 스피커는 사용자의 지시와 응답 모두 음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성인식, 자연어 처리, 음성 합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초기 AI 스피커 개발의 가장 큰 난제는 정확한 음성 인식이었습니다. TV 소리, 음악 등의 생활 소음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지가 중요했지요. ▲ 7개의 마이크로 음성 인식 성능을 높인 아마존의 에코 (출처 : 아마존) AI스피커를 가장 먼저 출시해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아마존 에코. 아마존은 멀리서 말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정확히 잡아내기 위해 AI 스피커 ‘에코’에 무려 7개의 마이크를 넣었습니다. 사용자가 호출어인 ‘알렉사’를 말하면 에코는 여러 개의 마이크를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가 있는 방향을…

마켓
2017/11/14
기술과 혁신을 말하는 ‘CES 2018 혁신상’ 수상작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지난 10일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에서 ‘2018 CES 혁신상’ 수상 제품을 발표했습니다. 내년 1월에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 ‘CES 2018’의 출품작을 대상으로 기술력, 혁신성, 디자인을 평가해 선정하는 이 상은 세계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는 만큼 큰 의미가 있습니다. 올해는 Cybersecurity, Smart Cities, and Robotics 3개 분야가 추가된 총 28개 부문에서 혁신상이 선정되었습니다. 삼성 역시 최고 혁신상(Best of Innovation) 2개를 비롯한 총 36개의 혁신상(Innovation Honoree)을 수상하며 뛰어난 기술력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럼 스마트폰, 웨어러블,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정된 CES 2018 혁신상 제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풀스크린으로 혁신을 이룬 삼성 ‘갤럭시 노트8, S8 & S8+’ 삼성의 대표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8과 노트8이 올해 나란히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부드러운 코너 라운딩 기술, 듀얼엣지 디자인을 통한 베젤 최소화, 18.5:9 비율로 제품 전면을 확장시킨 갤럭시 S8! 최근 풀스크린 스마트폰 트렌드를 이끄는 플렉시블 OLED를 탑재해 소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제품입니다. 갤럭시 노트8 역시 6.3형의 풀스크린 OLED를 탑재하며 화면 몰입감을 극대화했습니다. 모서리 곡률을 작게해 각진 느낌이면서도 전후면이 완전한 대칭인 유려한 커브드 디자인과 QHD+해상도는 한 화면에 많은 정보를 담아낼 수 있지요. 화질 전문평가기관인 디스플레이메이트로부터 최고의 디스플레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 이 제품은 출시 48일 만에 국내에서만 100만 대를 돌파하며…

칼럼
2017/11/13
인간과 인공지능이 펼치는 한판 대결, 우리 내일을 바꾼다!
사람들은 컴퓨터 속도가 아주 빨라지면 기계의 능력이 인간의 두뇌능력을 초월할 것이라고 믿는다. 두뇌의 신호처리 속도를 예측하고 컴퓨터 계산속도가 두뇌의 신호처리 속도를 추월하는 특이점(2029년)이 지나면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을 능가한다고 주장한 미래학자도 있다. 하지만 계산기의 문제풀이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그것은 단순한 계산기이지 지능기계는 아니다. 적어도 지능이란 표현을 사용하려면 외부의 입력이 없어도 스스로 필요한 데이터를 학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지적 능력을 갖춰야 한다. 더욱이 인간을 초월하려면 인간의 지적 판단 능력보다 높은 수준의 해답을 스스로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지능기계에 대한 인간의 열망은 사람의 프로그램이 없이도 기계가 혼자 해답을 찾아내는 능력을 갖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지능기계가 하는 일은 단순히 문제를 푸는 데에 있지 않고 문제를 푸는 방법을 찾아내는 데에 있다. 인간과 인공지능, 대결의 역사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학문적 영역에 관한 뚜렷한 정의가 없다는 점에서 수수께끼 학문이다. ‘인공’의 정의가 무엇이고 ‘지능’의 정의가 무엇인지 객관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즉, 인공지능이란 용어를 컴퓨팅 성능이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렀을 때 붙일 수 있는 지에 대한 근본적인 정의가 없다. 결국 학자들은 인공지능이란 표현을 사용하길 꺼려했고 대신에 신경망 시스템, 퍼지시스템(fuzzy system), 진화적 컴퓨팅이란 표현을 사용했다. 인공지능이란 표현보다 컴퓨팅 지능이란 표현을 선호했다. 컴퓨터 과학자들은 처음엔 체스 게임을 인공지능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생각했다.…

트렌드
2017/11/09
어느덧 눈앞에 성큼, 로보틱스 세상과 만나다
24시간 돌아가는 자동화된 공장, 방 구석구석을 찾아다니는 청소기, 작은 절개만으로 수 십 배나 정교하게 수술을 하는 의료 도구. 모두 수 십 년 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으나, ‘로봇’이란 존재들로 가능해진 것들이다. 본래 ‘로봇(Robot)’이란 단어는 ‘노동’이라는 뜻의 체코어 ‘Robota’에서 유래한 것으로 주어진 일을 자동으로 처리하거나 작동하는 기계를 의미했다. 그만큼 과거의 로봇들은 제조, 포장 등의 반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산업용 로봇들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최근에는 인간과 소통하고 함께 생활하는 서비스 로봇이 늘어나는 추세다.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 전시회 ‘CES 2017’에 출품된 로봇들을 보면 제조업용 로봇의 수가 3% 정도인 것에 비해 가사용 로봇 23%, 교육용 로봇 12%. 여가지원용 로봇 9%를 차지할 만큼 서비스 로봇에 대한 비중이 매우 크다. ▲CES 2017 로봇분야 품목별 참가제품(출처 : 한국로봇산업협회 ‘CES 2017 로봇 동향’ 보고서) 산업용 로봇에서 서비스 로봇의 시대로 ▲ 인공지능 가정용 로봇인 ‘지보 로봇’ (출처 : 지보 홈페이지) 그렇다면 서비스 로봇이 기술적인 면에서 산업용 로봇과 차별되는 점은 무엇일까? 산업용 로봇이 손과 팔을 이용해 반복적인 작업만을 수행하였다면, 서비스 로봇은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머신러닝이 가능한 고도화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서비스 로봇으로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미디어랩(Media Lab)의 ‘지보(Jibo)’…

칼럼
2017/10/23
금융과 기술의 결합, 인터넷 전문은행 열풍과 미래
인터넷 전문은행 1호 케이뱅크가 2017년 4월 3일 0시부터 영업을 개시한지 48시간도 지나지 않아 신설 계좌가 6만 건을 훌쩍 넘겼다는 소식이 들렸다. 이어 2017년 7월에 출범한 카카오뱅크는 단 5일 만에 100만 개의 신규 계좌를 확보했다는 뉴스가 언론을 통해 크게 보도되었다. ‘모바일 온리(mobile only)’로 365일 24시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은행의 등장은 기존 금융권에 일종의 사건이 되고 있다. 인터넷 전문은행의 등장 인터넷 전문은행(Direct Bank, Internet Primary Bank)의 개념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은행법 개정안에 따르면 “전자금융거래의 방법으로 업무를 영위하는 은행”으로 정의된다. 즉, 인터넷 전문은행은 “물리적인 점포 없이 혹은 극소수의 영업점을 가지고 업무의 대부분을 비대면 거래 방식, 예를 들어 ATM, 인터넷 등의 전자매체를 통해 영위하는 은행”을 말한다. 해외의 경우 설립 초기에는 완전 무점포 형태의 인터넷 전문은행이 설립되었으나, 이후 오프라인 시설을 보완적으로 이용해 영업력을 강화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해 은행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업형태인 인터넷 뱅킹과는 법적 실체에 있어서 구별되는 개념이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무점포 영업을 통한 획기적인 비용 절감, 지역적 제한이 없는 넓은 영업 영역, 소비자의 직접적인 점포 방문 불필요로 인한 효용 증대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초기 투자비용이 높아 적정규모 이상의 고객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수익성 저하에 따른 부실화 우려도 상존한다. 최초의 인터넷…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22/05/27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96편: CAPA (캐파)
디스플레이에서 ‘CAPA(캐파)’는 Capacity를 줄여서 부르는 말로, 디스플레이 라인의 생산능력을 뜻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생산 라인에 투입 가능한 원장(Mother Glass)의 매수를 의미합니다. 원장이란 OLED 또는 LCD 패널을 만들 때 기반이 되는 커다란 패널을 의미합니다. 이 원장을 여러 개로 잘라 TV 또는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가공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공장의 1개 라인에서 한 달에 원장 1,000매를 투입할 수 있다면 CAPA는 ‘1K/월’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10,000매를 투입할 수 있다면 ’10K/월’, 한달에 100,000매를 투입할 수 있다면 CAPA는 ‘100K/월’이 되는 것입니다. CAPA는 생산 라인의 원장 크기(세대)에 따라서 실제 생산량이 달라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원장을 잘라서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원장이 큰 라인의 경우, 가용 면적이 넓어 실제 제품용 디스플레이를 더 많이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G(세대) 원장을 생산하는 작은 라인과 10.5G(세대) 원장을 생산하는 큰 라인이 모두 동일하게 1K의 CAPA를 갖추었다고 가정했을 때, 원장의 크기(면적)는 약 100배 차이 나므로 실제로 스마트폰용 패널을 이론적으로 약 100배 더 만들 수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4.5G 라인과 6G 라인은 세대의 명칭만 보면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 생산하는 원장의 크기는 각각 730*920mm(4.5G)와 1500*1850mm(6G)로 약 4배 가량 면적 차이가 생깁니다. 따라서 각각의…

스토리
2022/05/26
사라진 꿀벌 찾아 삼만리 그 많던 꿀벌은 다 어디로 갔을까
‘꿀이득’ ‘꿀잼’ ‘꿀떨어진다’ 등 ‘꿀’은 상황을 더욱 달콤하게 만드는 역할을 톡톡히 하곤 하는데요. 이처럼 우리는 최상의 상태에 놓여있거나 그런 기분이 들 때 ‘꿀’을 빼놓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많은 꿀을 생산하는 꿀벌의 앞날은 전혀 달콤하지 않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심지어 미국에선 멸종 위기 생물로 지정될 정도로 개체 수가 전 세계적으로 크게 감소하는 중입니다. 꿀벌이 사라짐에 따라 우리 생태계와 삶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지난 2016년 미국 정부는 꿀벌을 멸종 위기 생물로 지정하였습니다. 꿀벌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기후변화 영향으로 이 현상이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를 표명한 것이죠. “머리 부분에 노란빛을 띠는 미국 하와이 토종 꿀벌 7개 종을 절멸 위기종 보호법에 따라 보호해야 할 종으로 결정했다” 미국 어류·야생동물관리국(USFWS) 2016년 10월 3일 미국에서 꿀벌이 사라지기 시작한 건 2006년부터입니다. 이 현상은 CCD(Colony Collapse Disorder), 즉, 벌집군집 붕괴현상이라 일컫는데요, 지난 2006년 11월 미국 플로리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해 플로리다 지역에 꿀벌이 돌아오지 않았고, 그 이듬해까지 미국 22개 주에서 꿀벌의 수가 25~40% 감소하면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처음 보고된 이 현상은 유럽과 브라질을 거쳐 아시아, 아프리카에서도 목격되며 꿀벌의 실종이 현실임을 알려주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2010년 바이러스성 전염병 ‘낭충봉아부패병’으로 토종벌 90%가 폐사한 사건이 발생했는데요, 이때부터 지속해서…

소식
2022/05/25
[REPLAY THE DISPLAY] VOL.6 TN-LCD 자체 개발 성공
‘리플레이 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글로벌 리더 삼성디스플레이가 걸어온 발자취를 따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적 순간들을 포착해 공유하는 코너입니다.

지속가능경영
2022/05/24
삼성디스플레이가 가정의 달을 맞이하는 방법!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모처럼 5월다운 5월을 보내고 있는데요. 비대면으로 움츠려 들었던 다양한 행사들이 가정의 달, 5월을 기점으로 서서히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는 어린이날부터 어버이날까지 가족 관련 기념일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채워나가기 시작했는데요. 가족에 대한 감사와 이웃에 대한 사랑의 마음으로 장식한 5월의 소식을 한곳에 모아 봤습니다. 잊지 않고 지켜진 약속, 볼레드 합창단 가족의 날 지난 5월 13일(금) 삼성디스플레이는 볼레드 합창단 창립기념일에 맞춰 볼레드 합창단원과 그 가족들을 에버랜드에 초청해 가족의 날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볼레드 합창단은 지난 2020년에 전국장애인합창대회 대상(대통령상)을 수상했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를 축하하고자 수상 선물로 에버랜드 방문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한 동안 이뤄지지 못하다가 무려 2년 만에 진행되어서 더욱 남다른 의미를 지녔는데요. 단원과 운영진, 부모님 자원봉사자 등이 함께 가족의 날 행사에 참여해 모처럼 즐거운 에버랜드를 만끽했습니다. 행사에 참여한 볼레드 합창단 단원 부모님들은 “오랜만에 나들이라 아이들이 무척 즐거워했고 이 모습을 보니 더욱 행복한 하루였다”고 행사 소감을 전했습니다. ▲ 출처: 볼레드 합창단 뮤직 비디오 볼레드 합창단은 2017년 삼성디스플레이의 후원 아래 창단된 합창단으로, 발달 장애 청소년들의 재능을 발굴하고, 사회로의 한 걸음을 내디딜 기회를 만들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온라인으로 매주 연습을 해왔던 볼레드 합창단은 올해에는 더욱 다양한 공연으로 찾아뵐 예정입니다. 5월 21일(토)에는 소외계층 자립지원…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22/05/20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95편: Halation (Halo effect)
디스플레이에서 ‘Halation(헐레이션)’이란 밤하늘의 초승달처럼 명암 대비가 뚜렷한 이미지에서 어두운 영역의 경계선 부분이 하얗게 번져 보이는 ‘빛 번짐’ 현상으로, ‘Halo effect(헤일로 현상)’라고도 부릅니다. ‘Halation’은 주로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을 탑재한 LCD 제품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로컬 디밍은 LCD가 보다 또렷한 블랙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기술로, 패널 아래의 LED 백라이트를 구역별로 나눠 어두운 영역은 백라이트를 끄거나 줄이고 밝은 영역은 휘도를 높여 부분적으로 빛을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LCD 액정에서 백라이트의 일부 빛이 새어나오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이 탑재된 LCD 디스플레이에서 달 이미지 주변에 Halation이 발생하는 원리 하지만 현재 수준의 로컬 디밍 기술은 픽셀별로 미세하게 빛을 조절할 수 없고 구역별로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이 함께 표현되는 이미지에서는 켜진 백라이트에서 빛이 새어 나오는 ‘빛샘 현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어두운 영역의 경계선이 하얗게 번져 보이는 ‘Halation’ 현상이 나타납니다. 로컬 디밍 LCD와 달리 자체 발광 방식인 OLED의 경우, 백라이트가 불필요하고 각 픽셀별로 밝기를 조절하므로 Halation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빛 번짐이 없는 보다 선명한 화질 구현이 가능합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노트북용 OLED는 2022년 글로벌 인증 업체인 UL로부터 Halation이 없는 ‘Halo Free(헤일로 프리)’ 디스플레이로 인정을 받은 바 있습니다.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