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 검색 결과

|
2019.04.10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15. LCD (Liquid Crystal Display)
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스마트폰, 노트PC, 모니터, TV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입니다. OLED와는 달리 자기발광성이 없어 백라이트를 통해 들어온 빛이 액정과 컬러필터를 통과하면서 색을 구현합니다. LCD는 액정 활용 방법에 따라 TN, VA, PLS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더보기

|
2017.11.07
[디스플레이 톺아보기] ⑯ LCD의 원리와 구조 Part.2
오늘은 지난 시간에 소개한 LCD의 기본 원리와 구조에 이어, 액정의 작동 방식에 따라 구분한 LCD 패널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LCD 패널은 모두 액정(Liquid Crystal)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액정을 활용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로 구분합니다. 전통적인 방식인 TN(Twisted Nematic) 방식이 기본 작동 원리로 많이 알려져 있고, 현재는 수직전계방식인 VA(Vertical Alignment)와 수평전계방식인 PLS(Plane to Line Switching) 등이 프리미엄 제품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3가지 방식에 대해서 그 구조와 작동원리를 살펴보겠습니다. TN (Twisted Nematic) 방식 TN은 1971년 스위스에서 최초로 개발된 가장 전통적인 LCD 패널 방식으로 톺아보기 LCD의 원리와 구조 Part.1에서 작동 원리를 다루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액정이 기판과 나란한 방향으로 (0도) 수평으로 놓여 있으며, 두 장의 상하 기판 사이에서 뒤틀린 배열을 갖추고 있어 이 패널 내부를 항상 빛이 통과하는 Normally White 방식이며, 전압을 가하면 액정이 기판 표면으로부터 90도로 일렬 배치 되면서 백라이트로부터 나온 빛이 편광판을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되어 Black 화면이 구현되는 구조입니다. TN방식은 구조가 단순하고 생산 비용이 낮아 가격이 저렴하지만, 시야각이 좁기 때문에 화면의 정면이 아닌 각도에서 볼 때 색이 변하거나, 빠른 화면 전환시에 잔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어 이 후에 STN(Super Twisted Nematic) 등으로 개선된 방식이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TN의 근본적인 구조상 시야각과 색반전 현상을…
더보기

TV / IT / PID
|
2015.07.21
뛰어난 몰입감으로 프리미엄 TV 시장을 주도하는 커브드 TV
뛰어난 몰입감과 차별화된 디자인이 돋보이는 커브드 TV가 프리미엄 TV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았습니다.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커브드 TV의 올해 1분기 출하량은 70만 3,000대로 ’14년 1분기 보다 32배나 증가하였답니다. 특히 2,000달러 이상의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커브드의 비중은 36.4%인데요. 디스플레이서치는 이 비중이 올해 4분기에는 83.3%로 늘어나면서 프리미엄 TV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4년 2월 세계 최초로 55형, 65형, 78형, 105형 커브드 UHD TV용 디스플레이를 양산하였습니다. 커브드 TV는 출시 직후부터 뛰어난 화질과 디자인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지요. 커브드 TV의 디스플레이는 곡면 형태로 구부러져 있습니다. 덕분에 화면 외곽부와 중심의 시청거리 차이가 줄면서 전체 화면의 명암비 균일도를 높였습니다. 또한 외광반사를 줄여서 보다 선명한 화면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지요. 중국 전자 표준화 연구소(CESI)의 측정 결과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커브드 디스플레이(4000R) 명암비가 평면보다 1.5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곡선의 화면은 안구 구조에 착안한 인체공학적 설계로 시야 왜곡을 없애 편안한 시청감을 제공합니다. 또한 시청 화각을 확대하여 마치 더 큰 사이즈의 TV를 보는 듯한 파노라마 효과를 주는데요. 이러한 장점들은 화면의 몰입감을 높여서 더욱 생생하고 실감 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해준답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평면 중심의 TV 디자인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아름다운 곡선 디자인과 뛰어난 화질은 까다로운 서유럽과 북미 시장의 소비자들을 사로잡았는데요. 커브드 TV의 49.6%가…
더보기

|
2015.01.19
CES 2015에서 주목받은 삼성의 디스플레이 기술들
혁신적인 IT 제품들이 한자리에 소개되는 세계적인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인 CES 2015가 올해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습니다. 사물인터넷, 스마트카, 웨어러블 기기 등 다채로운 분야의 첨단 제품들이 모습을 드러냈는데요. 특히 TV 부문에서는 삼성이 주도하고 있는 커브드 TV 트렌드가 확대되어 중국 업체들도 다양한 크기의 커브드 LCD TV를 선보였습니다. 65인치 커브드 TV는 대부분의 중국 참가 업체들이 전시했으며, 업체별로 55인치부터 105인치까지 다양한 크기를 선보이며 커브드 TV 트렌드에 동참했습니다. 스마트폰의 경우는 디자인에 변화를 주거나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보급형 위주로 전시가 되었는데요. 중국 시장과 인도 등 새롭게 떠오르는 신흥 시장 위주의 판매를 고려한 전략이 엿보이는 부분이었습니다. CES 2015에서 삼성은 다양한 커브드 TV 라인업과 플렉서블 AMOLED 휴대폰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는데요. 그중에서도 CES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을 선정해 수여하는 ‘최고 혁신상’에 빛나는 삼성의 ‘105인치 SUHD 밴더블 TV’와 ‘갤럭시 노트 엣지’의 전면에는 모두 삼성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채용되어 업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가장 고난이도 제작 기술 중 하나인 커브드 LCD 디스플레이와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였기에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는데요. 세계적인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인 CES를 통해 입증 받은 삼성의 앞서가는 디스플레이 기술력을 소개 합니다. 삼성이 표현하는 화질의 결정체, 105인치 밴더블 SUHD TV 비디오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을 받은 삼성의 105인치 밴더블…
더보기

|
2014.11.04
LCD의 원리와 커브드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는 모바일용 AMOLED, 플렉시블, 고해상도 LCD 그리고 커브드 TV 등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해가고 있습니다. LCD의 경우는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평면을 넘어 곡면으로 진화하는 중인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4월 세계 최초, 최대의 105형 커브드 UHD TV를 출시하였고, 9월 독일 가전 전시회 IFA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커브드 LCD가 탑재된 105형 벤더블 커브드 TV가 발표되어 세계의 주목을 받았지요.
더보기

|
2014.10.17
삼성디스플레이, ‘IMID 2014’에서 세계 최고 기술력을 선보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0월 14일부터 16일까지 국제 정보디스플레이 전시회 'IMID 2014'에 참가하였습니다. 120개사가 참가하는 이번 행사는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한국전자전(KES2014)과 함께 했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커브드, 플렉서블 등의 차세대 제품부터,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까지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전시하며 세계 최고 기술력을 보여주었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