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um Dot' 검색 결과

|
2022.01.13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89편: QD(Quantum Dot)
QD(Quantum Dot, 퀀텀닷)는 수 나노미터(㎚) 수준 크기의 초미세 반도체 입자를 말합니다. 1나노미터가 10억분의 1미터이므로 굉장히 작은 크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QD는 일반적으로 2~10㎚ 크기이며, 주로 중심체(Core)와 껍질(Shell)로 구성됩니다. QD는 빛을 비추거나 전류를 공급했을 때 입자의 크기에 따라 나타내는 색이 달라진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즉, 동일한 물질이라고 하더라도 작은 크기의 입자는 파란색을 나타내고, 큰 입자는 붉은색을 나타내는 등 크기에 따라 발생시키는 빛의 색이 다르기 때문에, 빛의 마법사로 불리기도 합니다. QD는 1982년 러시아의 과학자들이 예배당을 장식하는 색유리 그림인 스테인드글라스를 연구하던 중 반도체의 주요 소재인 카드뮴(Cd) 화합물에서 이런 현상을 처음 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양자구속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QD는 다양하고 순도 높은 빛을 발광한다는 점과 소자의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바이오 센서, 양자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 중 QD의 발광특성을 디스플레이에 활용한 것을 QD디스플레이라고 합니다. QD디스플레이는 간소하고 효율적인 발광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현존 최고 수준의 화질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청색 자발광층에서 시작된 순도 높은 빛이 QD 발광층에 있는 QD소자들과 만나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현하며, 이때 QD소자의 특성이 반영돼 적색과 녹색도 고순도의 빛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장점은 디스플레이의 색 표현력을 최대화해 보다 자연색에 가까운 컬러를 보여줍니다. 또한 QD디스플레이는 자체 발광 구조를 갖추고 있으므로 빠른 응답속도와 무한대에 가까운 명암비를…
더보기

|
2021.12.28
[컬러 & 디스플레이] 제 12화: 색다른 미래의 컬러
한 해를 정리하면서 풍경 사진을 비교해보면 똑같은 장소에서 촬영한 사진도 겨울철의 색감이 더 어둡고 흐릿하다. 색상도 명암도 밋밋해 보인다. 대기 온도의 차이도 있겠지만 먼지 때문에 컬러 톤도 변한다. 겨울이 시작되면서 그동안 파랗던 하늘이 다시 뿌옇게 변했다. 심한 날이 이어지면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시행되며 화력발전소, 공장, 공사장뿐만 아니라 경유 차량에도 오염물질을 줄이는 제한이 따른다. 산업혁명 시기에 공해 문제를 자주 겪었던 유럽에서는 202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의 신차 판매가 중단되기 시작한다. 유럽 각국 정부는 이런 결정을 2016년부터 연쇄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석유 엔진의 퇴출은 전기차를 주축으로 교통수단을 재편한다는 의미다. 전기차는 움직이는 전자제품이다. 전기차도 스마트폰처럼 전자제품이라는 말이다. 자동차의 관점보다는 전자제품의 특성에서 보면 자율주행 자동차와 더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지금도 수많은 자율주행 기능이 자동차에 옵션으로 들어가고 있고, 해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인간을 대신하는 기술이 발전하는 중이다. 자율주행이란 자동차 스스로 보고 판단하며 움직이는 것이다. 수백만 년 진화해온 인간의 신경망과 근육의 활동을 반도체와 모터 같은 전자장치가 대신한다.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보는 방법 또한 인간의 시지각을 모방하는 일이다. 라이다(LiDAR)로 일컫는 레이더 센싱 장치가 3차원 공간 정보를 추적하며, 마치 인간이 시각적으로 재구성하듯, 좌표로 가득한 공간을 디지털 정보로 채운다. 그런데 자율주행 레벨 5의 기준점이라며 중요시하는 이 정보에는 컬러가 없다. 색채 없는 좌표 값의…
더보기

|
2021.12.15
화질 끝판 왕! ‘QD-Display’ 강점 미리보기
세계 최초로 QD를 내재화한 자발광 디스플레이 ‘QD-Display’는 넓은 색표현력, 우수한 시야각, 높은 명암비 등 뛰어난 화질 특성으로 주목 받고 있는 차세대 고화질 디스플레이입니다. 대형 디스플레이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예상되는 ‘QD-Display’의 놀라운 장점들을 카드뉴스로 자세히 만나보세요.
더보기
![[디스플레이 심층 탐구] QD(Quantum Dot)란 무엇일까?](http://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20/11/S-1.jpg)
|
2020.11.27
[디스플레이 심층 탐구] QD(Quantum Dot)란 무엇일까? ①
QD(Quantum Dot, 양자점)란? 양자 세계, 양자 얽힘, 양자 컴퓨터…… 원자 수준의 미시적인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예전보다 더욱 뜨거워 진 것을 느낍니다. 특히 QD라고 하는, 수 나노미터(2~10㎚) 크기의 나노 결정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수백에서 수천 개의 원자들로 이루어진 QD는 1981년 러시아 물리학자 알렉세이 아키모프(Alexey Ekimov)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예일대학교 마크 리드(Mark Reed) 교수가 처음으로 ‘Quantum Dot(QD)’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QD는 주기율표의 Ⅱ-Ⅵ족(예: CdS, CdSe) 원소 또는 Ⅲ-Ⅴ족 원소들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여기자(exciton)가 입자 내에 강하게 국한(confined)되는, 소위 엑시톤 보어 반지름보다 작은 입자들을 얘기합니다. 무슨 얘기인지, 다음의 이론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밴드갭(Bandgap) 이론 원자 혹은 수십 개의 원자로 구성된 분자는 여러 개의 오비탈(원자 안에 있는 전자의 궤도)로 구성된 불연속적인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양자화(quantized)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입자의 에너지가 덩어리처럼 존재하고 있다고 상상한다면 조금 쉽게 이해가 될 수 있겠습니다. 만약 좀 더 많은 원자들이 모여 거대한 고체를 이룬다고 하면, 오비탈의 개수 또한 수 없이 늘어나게 되고, 각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의 차이는 점점 작아져 연속적으로 보이는 밴드를 형성할 것입니다. 이 밴드는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최상위 에너지 준위인 가전자대(valence band)와 전자가 비어있는 최하위 에너지…
더보기

스토리
|
2019.05.07
알아두면 쓸모있는 양자역학 이야기 – 에너지의 불연속과 양자 도약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인 OLED 그리고 최근 각광 받고 있는 퀀텀닷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빛으로 고화질 성능을 보여주는 원리 속에는 양자 도약(Quantum Jump)이라는 물리학 개념이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그 개념의 출발은 에너지가 불연속적이라는 현대 양자 물리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오늘은 에너지 불연속성과 양자 도약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자. 에너지 불연속성이란? 에너지가 연속적인 것이 아니라 불연속적이라는 점은 뉴스룸 지난 편 [알아두면 쓸모있는 양자역학 이야기 – 3. 빛의 입자설]에서 짧게 소개한 적이 있다. 불연속적인 에너지의 개념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비유는 바로 계단 모형이다. 에너지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자를 공에 비유한다면 전자는 일반적인 공과 달리 비탈길을 미끄러지듯 내려가며 움직이지 않고, 계단과 같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만 이동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전자는 보어(Niels Bohr)의 원자 모델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궤도’상에만 존재한다. 궤도 사이의 어느 지점에 존재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 원리가 에너지 불연속성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왜냐하면 물질에서 에너지의 흐름은 전자가 궤도를 옮겨갈 때 방출되거나 흡수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자가 바깥쪽 궤도에서 안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자체 보유 에너지가 줄어들며 물질이 안정화 되며, 이때 남게 되는 에너지는 빛과 같은 형태로 방출된다. 반대로 전자가 외부의 에너지를 흡수해 들뜨게 되면 바깥쪽 궤도로 상승하게 되는 원리다. 이런 식으로 전자는 궤도를…
더보기

|
2019.04.17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16. QD 디스플레이 (퀀텀닷 디스플레이, Quantum Dot Display)
‘QD 디스플레이’란 2~10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 반도체 입자인 ‘QD(퀀텀닷, Quantum Dot)’를 소자로 활용한 첨단 디스플레이입니다. 빛 또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채로운 색을 내는 QD의 특징을 이용해 색재현력이 높은 고화질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