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검색 결과

보도자료
|
2022.01.25
삼성디스플레이, KAIST와 손잡고 ‘우수인재’ 양성
□ 삼성디스플레이, KAIST에 채용 연계형 인재양성 과정 신설□ 24일, KAIST 대전 캠퍼스에서 상호양해각서(MOU) 체결□ 향후 5년간 50명 선발해 석·박사 과정 장학금 지급 및 입사 보장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최주선)와 KAIST가 손잡고 ‘K디스플레이’를 이끌어갈 핵심 인재 육성에 나선다. 삼성디스플레이와 KAIST는 24일 KAIST 대전캠퍼스에서 채용 연계형 인재양성 과정(Educational Program for Samsung Display, EPSD) 신설을 추진하는 데 합의하고 상호양해각서 (MOU)를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이광형 KAIST 총장을 비롯해 김보원 KAIST 대외부총장, 이상엽 KAIST 연구부총장, 이창희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상호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등 관련 학과에서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2년부터 5년간 총 50명의 우수 인재를 선발해 석∙박사 과정에 필요한 장학금 및 학자금을 지원하고 졸업 후에는 입사를 보장한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 경쟁이 갈수록 첨예해지면서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KAIST와의 협력이 회사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저변을 강화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한국의 디스플레이 연구 역량이 세계에서 인정받도록 미래 인재 양성에 전력을 다함은 물론, 기술 맞춤형 산학협력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이어, “최근 폴더블·퀀텀닷(QD) 디스플레이…
더보기

스토리
|
2016.12.22
연말연시 선물로 추천하는 ‘취향저격’ IT 제품들
일년동안 고마웠던 가족, 친지, 지인들과 감사의 마음을 주고받는 연말연시. 하지만 상대방의 마음에 드는 선물을 고르는 일은 항상 쉽지 않죠. 최근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IT 기기들이 지름신을 부르는 최고의 사양과 가성비 갑(甲)의 기능으로 젊은 세대에 어필하면서 인기 선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중한 이들을 위한 선물로 고심하는 분들을 위해 삼성디스플레이가 '취향저격' IT 제품들을 추천합니다.
더보기

TV / IT / PID
|
2014.04.25
2014 IF AWARD 수상작
독일의 레드닷, 미국의 IDEA와 함께 전세계적으로 권위있는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인 IF 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는 제품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패키징 디자인, 컨셉 디자인 분야로 나뉘어서 디자인을 평가하고 수상합니다. 올해도 다양한 수상작들이 나왔는데요~ 수장작 중 몇 가지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삼성의 85형 UHD TV (UN8559)는 프레임 안에 화면이 떠 있는 듯한 구조의 독특한 TV 디자인입니다. 프레임 안에는 홈시어터급 사운드를 비롯한 기타 장치들을 담았는데요. FHD 보다 4배나 좋은 해상도로 최고의 화질과 사용편리성까지 고루 갖춘 제품입니다. 삼성의 55형 커브드 OLED TV는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줄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전형적인 직각형태의 TV 디자인에서 유연한 곡선스타일의 디자인을 새롭게 선보인 제품입니다. 22인치 투명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이 제품은 안쪽에 제품을 전시하고 전면에 정보 및 광고 영상이 재생되어 효과적으로 제품을 선전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이 제품처럼 투명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에 투영된 사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담을 수 있어 앞으로 다방면에 활용될 것이 기대되는 제품입니다. Maltani lighting사의 nexOLED 제품은 OLED로 만든 조명입니다. 미니멀하고 유기적인 디자인이 미래적 감각을 보여주는데요. 이제품은 모듈화설계로 확장과 연결이 가능해 공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답니다. KAIST ID+IM Design Lab에서 만든 d’light 조명제품은 벌집구조의 변환 가능한 전등갓으로 디자인되었는데요. 전등갓에 부착된 작은 핸들을 회전시켜 다양한 모양으로…
더보기

|
2012.05.05
나비의 구조를 모방해 디스플레이 개발!!
만약 디스플레이가 밝고, 전력소모 또한 적다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분명 각광을 받을 텐데요~~
이 같은 요건을 만족시키는 생체모방 반사형 디스플레이를 최근 국내 대학 연구팀에서 개발했다고 합니다!!
더보기

트렌드
|
2011.01.28
로봇아 인간을 부탁해요~
혹시 ‘잉키(Engkey)’를 아시나요?? 이 질문에 한 초등학교 학생들은 이렇게 대답합니다. “선생님이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가 개발한 로봇 잉키는 지난 12월부터 대구 21개 초등학교에서 영어교사 보조로 일하고 있답니다^^ 칠판 앞을 오가며 ‘Shampoo’, ‘Soap’과 같은 단어를 말해주고 수업 중간 학생들의 이름(물론 영어랍니다. 요즘은 학생들마다 영어이름이 있어요^^)을 불러 주의를 주며 좋은 발음을 한 학생에게는 “Good job! (잘했어!)” 라며 칭찬까지 해준다고 합니다. ▲ 잉키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모습 (출처 : KIST) 무엇보다 이 로봇은 미국 시사잡지 타임(Time)이 선정한 50대 발명품에 뽑혀 관심을 받았는데요. 18개월의 긴 개발기간 끝에 탄생한 잉키는 이번 시범운영을 거쳐 상용화되면 전세계 도처에 수출될 거라고 합니다. ▲ Time지에 소개된 영어교사 보조로봇 잉키의 초기 모습 (출처 : 지식경제부) 뿐만아니라 화재가 난 현장은 연기가 자욱하고 뜨거운 열기로 가득 차 있겠죠? 이런 소방관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진입하여 스스로 열을 감지하여 발화지점을 찾고 내부 상황을 카메라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화재진압과 정찰을 맡는 ‘소방로봇’ ▲ 소방로봇 시연중 (출처 : 지식경제부) 거미줄처럼 얽힌 상수도관에 들어가 물이 새는 곳을 정확히 찾을 수 있는 로봇 정비공! ▲ 상수도관에 들어가 누수를 감지하고 수리할 수 있는 로봇 (출처 : 지식경제부) 사지가 부자연스러운 노인과 장애인을 위해 휠체어에 로봇 팔을 부착하는 기술. 건물의 경계를 담당하는 보안로봇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로봇들과 콘텐츠, 서비스를 로봇과 결합한 사업까지 정부는 차세대 융합 산업으로 이러한 기술들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