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EXIBLE OLED' 검색 결과

|
2020.07.30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58편: 폴리이미드 (PI, Polyimide)
폴리이미드는 열 안정성이 높은 고분자 물질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높은 내열성, 전기절연성 등의 특성 덕분에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태양전지, 메모리 등 전기/전자 및 IT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특히 타 소재에 비해 가벼울 뿐 아니라 휘어지는 유연성까지 갖춰 제품의 경량화 소형화가 가능합니다. 폴리이미드는 디스플레이 제조 시 기판이나 커버 윈도우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폴리이미드(Polyimide) 사진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의 경우 제조 과정에서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데, 휘어져야 하는 플렉시블 OLED는 딱딱한 유리 기판 대신 유연한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여 제조합니다. 플렉시블 OLED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캐리어 글라스라고 불리는 유리 기판 위에 PI 물질을 도포한 후, TFT와 증착, 봉지 공정을 거친 뒤 레이저로 캐리어 글라스를 떼어내는 방식입니다. 디스플레이 기판은 고온에서 제조하는 공정 기술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중요합니다. 폴리이미드는 영하 273 ~ 영상 400도까지 물성이 변하지 않는 만큼 내열성이 뛰어납니다. (출처: 네이버 두산백과) 또한 플라스틱 소재라 가볍고 유연해 플렉시블 OLED 제조 시 기판으로 사용하기 적절합니다. 폴리이미드는 깨지지 않고 자유롭게 휘거나 접을 수 있어,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습니다. 폴리이미드 고유의 색상인 노란색을 제거하여, 투명하게 구현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더보기

|
2016.12.23
휘어야 산다! 플렉시블이 OLED 성장 이끈다!
디스플레이 혁신의 중심으로 각광받고 있는 플렉시블 OLED 시장이 2년 사이 80배 이상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차세대 캐쉬카우를 확보하기 위한 패널업체들의 OLED 관련 투자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을 필두로 한 플렉시블 기술이 전체 OLED 시장 성장을 주도할 전망입니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플렉시블 OLED 매출은 11억 2,4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 10억 달러 시대를 열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57.7% 증가했으며 2년 전인 2014년 3분기 보다는 무려 87배 늘어난 규모입니다. 9인치 이하 전체 중소형 OLED 시장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 역시 30% 수준까지 확대됐습니다. 향후 시장 전망 역시 매우 밝습니다. 플렉시블 OLED의 연간 매출 규모는 올해 38억 9,600만달러에서 2018년 100억 달러 돌파에 이어 2020년에는 189억 8,500만달러까지 증가해 연평균 48.6%의 고공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업체별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플렉시블 OLED 시장 독주체제를 굳혀나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3분기 매출 기준 점유율 93.6%를 기록하며 경쟁사들을 압도하는 시장 지배력을 선보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패널업체 중 유일하게 6세대급 플렉시블 OLED 라인인 A3 라인을 양산 가동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플렉시블 OLED를 안정적으로 대량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현재 삼성디스플레이 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플렉시블 OLED 시장은 폼펙터 혁신에 직면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전체 스마트폰 패널 시장에서 플렉시블 OLED의…
더보기

|
2016.07.21
왜 OLED인가? – ③플렉서빌리티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고, 둘둘 말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조사업체 IHS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이 올해 37억 달러에서 2022년까지 155억 달러로 300% 이상 크게 증가하며, 2020년에는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 매출의 13%를 플렉시블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2016년엔 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등에 사용되지만 2022년에는 태블릿, VR, 자동차용 모니터 등으로 사용처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였답니다.
더보기

|
2016.02.19
[삼성디스플레이] 우리 앞에 성큼 다가온 상상 속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대!
자유자재로 구부렸다 펼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바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인데요~ 영화 속 먼 미래 이야기처럼 들렸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올해부터 플렉시블 기술이 디스플레이 시장의 차세대 신성장 동력으로 본격적인 성장세에 접어들 전망인데요. 최근 성장세가 둔화된 스마트폰 시장에도 디자인 혁신을 통한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매출 규모는 53억 6,600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출하량 역시 지난해 보다 2배 이상 늘어난 1억 2,160만개까지 확대되며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의 블루칩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인데요. 향후 시장 전망 역시 매우 밝습니다. 2020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매출 157억 5,430만 달러, 출하량 3억 5,300만개 규모까지 확대될 전망이며, 2015년부터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67.2%, 44.8% 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현재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기술로 불리는 일반적인 평면(Flat) 형태와 구부러진 형태로 고정된 커브드(Curved)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요. IHS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향후 벤더블(Bendable), 폴더블(Foldable), 롤러블(Rollable), 스트레쳐블(Stretchable) 등의 기술 진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현에 활용되는 기술은 OLED가 99% 이상의 절대적인 비중을 점유하고 있죠! OLED는 스스로 빛을 내는 R(빨강), G(초록), B(파랑) 유기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백라이트 광원이 필요 없어 플렉시블 구현에 최적화된 기술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플렉시블 OLED는…
더보기

모바일
|
2015.09.23
기어 S2의 매력만점, 원형 플렉서블 OLED~
지난 18일, 예약판매를 시작한지 1시간 만에 모두 완판되어 화제가 되었던 기어 S2~ 한층 진화된 삼성디스플레이의 원형 플렉서블 OLED가 탑재되었는데요. 과연 어떤 매력으로 사용자들을 사로잡았는지 함께 보실까요?
더보기

|
2014.02.14
차세대 조명의 대표주자, OLED
OLED조명은 얇고 가벼우며, 광효율이 우수해 LED를 대체할 차세대 조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우수한 색감과 눈에 편안한 광특성이 장점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비싸 상용화가 쉽지않은 상황인데요. | 2010년 미래디스플레이 공모전 수상작 | 국내 산업계, 연구소 등에서 꾸준히 연구한 결과 투명 전극 등을 이용한 저가 OLED개발에도 성공했다고 합니다. 또한 AMOLED 디스플레이 시장의 90%를 점유하는 국내 OLED 산업인프라를 활용할 경우 국제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OLED 조명의 활약이 기대가 됩니다. 아래 영상은 ‘2014 Lighting Japan’에서 시연한 OLED 조명입니다. Flexible OLED를 비롯한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을 만나 볼 수 있답니다. | 출처 : OLED-Info.com |
더보기

|
2013.12.06
패션과 결합하는 미래 디스플레이
어느 곳을 가나 사람들 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우리는 이 최신 전자 기기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이동 중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고, 보고싶은 영상을 손 안에서도 쉽게 감상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더보기

|
2013.11.27
삼성디스플레이 공모전 본심 현장을 가다!
2002년 개봉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공상과학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를 기억 하시나요? 지금보다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한 이 영화에는 투명디스플레이, 모션인식, 증강현실, 멀티터치 등 혁신적인 미래 기술들이 등장해 개봉 당시에 큰 화제를 모았었죠.
더보기

|
2013.11.15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 등장한다
불과 3~4년 전만해도 OLED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간주되었죠. 하지만 요즘 길거리 어딜가나 사람들이 손에 쥔 갤럭시 스마트폰을 통해 OLED를 볼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자연색에 가까운 색표현력, 빠른 동영상 응답속도, 폭넓은 명암비 등 고유의 특장점을 기반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끌어 올렸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더보기

|
2013.11.07
삼성디스플레이의 Flexible OLED 이야기
최근 네모난 평면 형태가 아닌 U자 형태의 형태의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돼 화제를 모으고 있죠. 화제의 제품은 바로 Galaxy Round입니다. 디스플레이 업계 뿐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이 제품이 화제가 되고 있는 데는 많은 이유가 있겠죠. 이유의 핵심은 아마도 Flexible OLED를 탑재해 디자인의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 Flexible Display가 무엇이며, 어떤 제품들이 과거에 개발되었는지 간략히 살펴 보겠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