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시블' 검색 결과

모바일
|
2019.10.14
디스플레이로 본 모바일 기기 혁신의 변천사
1983년 세계 최초 휴대 전화가 등장 이후 디스플레이에는 다양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최초 컬러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휴대폰부터 최근 출시된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갤럭시 폴드까지, 디스플레이는 모바일 기기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불러왔습니다. 지금부터 디스플레이를 통해 혁신을 이어온 모바일 기기의 변천사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더보기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0. 스트레처블 OLED](http://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19/05/ss.jpg)
|
2019.05.29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1. 폴더블 디스플레이 (Foldable)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두께를 최대한 얇게하고, 유연한 소재를 사용하여 구현합니다. 화면을 접었다 펼칠수 있기 때문에 제품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어 향후 모바일 기기나 IT 기기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더보기

|
2019.05.22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0. 스트레처블 OLED
고무줄처럼 자유자재로 늘였다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있다? 신축성으로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무한 확장할 신기술 ‘스트레처블 OLED’~~
더보기

|
2019.05.08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18. 플렉시블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대표적 기술인 ‘플렉시블 OLED’. 평판 OLED와는 어떻게 다르길래 자유자재로 구부리거나 접었다 펴는 것이 가능할까요? 유연한 PI 소재와 박막봉지 기술의 결합으로 구현한 플렉시블 OLED의 구조와 형태를 알아봅시다.
더보기

모바일
|
2019.03.22
기술의 혁신, 플렉시블 OLED로 본 스마트폰 변천사
지난달 공개된 삼성 갤럭시 폴드는 기존 틀을 깨는 혁신적 디자인으로 스마트폰 폼팩터의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갤럭시 폴드는 접히고 펼쳐지는 형태의 플렉시블 OLED를 탑재하였습니다. 플렉시블 OLED는 그동안 다양한 스마트폰에 탑재되면서, 스마트폰의 혁신을 주도해왔습니다. 그동안 플렉시블 OLED가 탑재된 스마트폰의 변천사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더보기

|
2018.10.18
[디스플레이 톺아보기] ㊴ 디스플레이 미래 기술 전망 Part.1
스마트폰, 태블릿 그리고 스마트워치와 같은 최신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가 없는 제품은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인간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얻는 감각기관 중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80%로 막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활용도는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래에는 어떤 디스플레이 기술이 등장할까요? 오늘은 앞으로 상용화되거나 미래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유연함으로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플렉시블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현재 플렉시블 OLED 기술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먼저 가장 기본적인 특성을 구현한 예로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디스플레이가 있습니다. 플렉시블 OLED는 유리를 기판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리적으로는 깨지지 않는 특성을 지닙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완만하게 구부리면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가 되고, 양쪽 끝만 살짝 구부리면 벤디드(Bended)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갤럭시S8, S9, 노트9 등에 사용된 엣지(edge) 형태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가 이러한 벤디드 형태입니다. 여기까지가 상용화 된 단계이고, 앞으로 모습을 드러낼 형태는 업계에서 크게 3가지로 예상합니다. 먼저 지갑처럼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입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작게 만들어 휴대성을 높이고, 사용할 때는 넓게 펼쳐서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접히는 부분을 구현하는데 특히 기술적 난도가 높습니다. 어떤 물체나 완전히 접었다 펼치면 자국이 생기게 돼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데, 폴더블의 경우에는…
더보기

|
2017.09.28
플렉시블 OLED 시장의 중심에 서다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의 왕좌를 차지한 OLED가 풀 스크린 트렌드에 힘입어 플렉시블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 기사 참조: 2분기 플렉시블 OLED 매출 2조3천억…전년비 132% 급증(연합뉴스 9/25日字) 올 상반기 출시된 갤럭시 S8을 시작으로 본격 채용된 풀스크린은 기존과 동일한 기기 사이즈에 디스플레이 면적을 최대로 확장하면서 물리버튼, 지문인식 등 기존 제품 하단에 있던 기능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한 최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S8의 경우 제품사이즈는 전작과 비슷하지만 화면 크기를 18% 이상 증가시켜 더 넓은 화면에 많은 정보를 담았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좌우가 완만하게 휘어진 듀얼엣지 기술을 적용함으로서 디자인과 그립감의 두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 풀스크린 구현의 핵심은 플렉시블 OLED 입니다. 유리기판을 활용한 기존의 OLED와 달리 폴리이미드라는 유연한 기판 소재를 사용하는 플렉시블 OLED는 베젤을 줄이고 모서리를 부분을 부드럽게 처리하는데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커브드 곡률을 구현해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IHS Markit에 따르면 플렉시블 OLED는 2017년 2분기 20억 5,4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2016년 2분기 8억 8,600만 달러 대비 132% 성장하였습니다. 전체 OLED 시장 내 비중도 지난해 2분기 24.3%에서 올 2분기 51.1%로 증가해 플렉시블이 리지드(Rigid) OLED 매출을 처음으로 뛰어넘었습니다. 플렉시블 OLED는 향후 급격하게 몸집을 키우며 OLED 시장 성장을 선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갤럭시S8, 노트8등 풀스크린 폰이…
더보기

모바일
|
2017.05.02
갤럭시 S8•S8+, 풀스크린으로 더 빛나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스타일로 디자인 혁신과 제품 기능 향상,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갤럭시 S8, S8+의 풀스크린 OLED의 이모저모를 카드뉴스로 만나보세요!
더보기

|
2016.12.30
’17년 디스플레이 산업의 두 가지 키워드! ‘OLED 스마트폰’ & ‘초대형 UHD TV’
2017년 정유년 새해가 시작됐습니다. 이맘때면 많은 분들이 새로운 한 해에 대한 희망과 계획으로 분주한 시간을 보냅니다. 올 한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어떤 기쁨과 좌절이 찾아올지, 기대도 되고 걱정도 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2017년 디스플레이 시장은 어떤 모습일까요? 위기와 기회가 함께 공존하는 디스플레이 산업! 2017년 디스플레이 산업을 전망해봅니다. 스마트폰 시장, OLED ‘뜨고’ LCD ‘지고’ ’17년 디스플레이 산업의 가장 뜨거운 화두는 역시 ‘OLED’입니다.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이 ’17년부터 본격적으로 OLED 디스플레이로 눈을 돌릴 것으로 전망되면서 중국 업체들까지 OLED 채택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신흥강자로 불리는 오포(Oppo)와 비보(Vivo)는 경쟁사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OLED를 탑재한 제품들을 선보이며 시장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오포는 지난 3∙4분기 중국시장에서 18%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화웨이를 제치고 1위에 올랐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오포의 ‘R9’ 시리즈는 지난 3분기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으로 꼽힐 만큼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17년, 플렉시블 OLED 투자는 계속된다 OLED 중에서도 특히 플렉시블 OLED의 약진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플렉시블 OLED의 연간 매출 규모는 ’16년 38억 9,600만 달러에서 올해에는 93억 달러로, 2배 이상 성장한다고 합니다. ‘17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출하량은 약 1억 4,000만대로, 2018년에는 2억 3500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성장 전망을…
더보기

|
2016.12.23
휘어야 산다! 플렉시블이 OLED 성장 이끈다!
디스플레이 혁신의 중심으로 각광받고 있는 플렉시블 OLED 시장이 2년 사이 80배 이상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차세대 캐쉬카우를 확보하기 위한 패널업체들의 OLED 관련 투자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을 필두로 한 플렉시블 기술이 전체 OLED 시장 성장을 주도할 전망입니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플렉시블 OLED 매출은 11억 2,4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 10억 달러 시대를 열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57.7% 증가했으며 2년 전인 2014년 3분기 보다는 무려 87배 늘어난 규모입니다. 9인치 이하 전체 중소형 OLED 시장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 역시 30% 수준까지 확대됐습니다. 향후 시장 전망 역시 매우 밝습니다. 플렉시블 OLED의 연간 매출 규모는 올해 38억 9,600만달러에서 2018년 100억 달러 돌파에 이어 2020년에는 189억 8,500만달러까지 증가해 연평균 48.6%의 고공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업체별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플렉시블 OLED 시장 독주체제를 굳혀나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3분기 매출 기준 점유율 93.6%를 기록하며 경쟁사들을 압도하는 시장 지배력을 선보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패널업체 중 유일하게 6세대급 플렉시블 OLED 라인인 A3 라인을 양산 가동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플렉시블 OLED를 안정적으로 대량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현재 삼성디스플레이 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플렉시블 OLED 시장은 폼펙터 혁신에 직면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전체 스마트폰 패널 시장에서 플렉시블 OLED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