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 검색 결과

|
2022.05.19
CRT부터 QD까지 삼성디스플레이 발명의 장면들
5월 19일은 발명의 날입니다. 측우기 반포일에서 연유한 것인데요. 측우기의 발명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발명의 노력이 있었기에 우리 생활이 보다 윤택해지는 것 아닐까요? 특히 디스플레이는 인류의 생활 방식을 크게 뒤바꾼 분야라는 점에서 더 의미 있는 기술이 아닐까 합니다. 발명의 날을 맞이해 CRT부터 LCD, OLED, QD디스플레이까지 우리의 일상을 변화시켜온 디스플레이 기술의 중요한 변곡점들을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 발전사와 함께 돌아봅니다. CRT, ‘절전’ 앞세우며 국내 TV 시장 석권 세계 가전 업계에서 절전 제품 바람이 불기 시작한 1970년대 초. 삼성은 1975년 1월, 세계 세 번째로 자체 기술을 집약한 순간수상방식 퀵스타트 브라운관(Econo)을 개발했습니다. 기존 TV가 20~30초 간 예열이 필요했던 반면, 이코노TV는 5초 만에 화면이 켜지면서 탁월한 절전 효과와 긴 수명을 장점으로 가진 제품이었는데요. 이를 계기로 삼성은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계의 기술 수준을 빠르게 따라잡기 시작했습니다. ▲ 1975년 흑백 브라운관 생산라인 / 이코노TV 개발을 알리는 신문광고 LCD에 삼성이 몰려온다! 1990년대는 ‘플랫’ 디스플레이의 시대였습니다. 완전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술을 손에 넣기 위한 LCD 기술 경쟁이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는데요. 당시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일본의 일부 업체가 먼저 상품화 단계를 밟고 있었습니다. 삼성은 후발 주자였지만 1992년 빠른 실행력으로 화면 밝기, 소비전력, 시야각 등 모든 면에서 일본을 앞지른 10.4형 TFT-LCD 개발에 성공하며 승기를 거머쥐었습니다. 2000년까지만 해도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LCD TV는 30형의 크기를 넘기 힘들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더보기

|
2022.05.12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SID)를 빛낸 삼성디스플레이의 혁신 기술·제품 공개 현장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인 정보디스플레이학회(이하 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의 학술 전시회 ‘디스플레이 위크’가 5월 10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열렸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Meet amazing techverse in Samsung Display’라는 주제로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관을 마련했는데요.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계의 별들이 한자리에 모인 이곳에서, OLED와 QD-Display를 선보이며 전문가들에게 주목받은 삼성디스플레이의 특별한 전시 현장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해드립니다. 친환경을 실현한 기술 ‘Eco² OLED™’ Zone 삼성디스플레이는 총 6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미래 디스플레이 세계로 입장하기 위해 제일 먼저 거쳐야 하는 입구. 새로운 디지털 시대를 향하는 ‘문’을 상징하는 스퀘어를 중첩시켜 웅장함을 표현했습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각 Zone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Eco² OLED™ (에코스퀘어™) Zone에서는 친환경 저소비전력 기술을 담은 Eco² OLED™ 제품 전시와 지구를 먼저 생각하는 삼성 OLED의 친환경 발걸음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Eco² OLED™를 통해 이루어진 소비전력 절감 효과를 직접 눈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Eco² OLED™기술이 최초로 탑재된 Galaxy Z Fold 3와 기존 OLED가 탑재된 Galaxy Z Fold 2를 비교해서 보여주고 있는데요. Eco² OLED™는 빛 반사 방지를 위해 사용해 온 편광판을 제거하고 새로운 패널 적층 구조를 적용해 소비전력을 향상시킨 기술입니다. 밝기를 높이면서 소비전력은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빛 투과율은 33%…
더보기

보도자료
|
2022.05.04
삼성D ‘에코 스퀘어 OLED’로 SID ‘올해의 디스플레이’ 수상
□ 업계 최초 무편광 OLED 기술 ‘올해의 디스플레이’로 선정□ 빛 투과율 33% 상승, 소비전력은 25% 절감, 획기적인 친환경 기술로 평가□ 폴더블 스마트폰뿐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잠재력 지녀 혁신적인 저전력 기술로 폴더블 대중화를 연 ‘에코 스퀘어 OLED(ECO2 OLEDTM)’ 기술이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회인 정보디스플레이학회(이하 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로부터 우수성을 인정 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최주선)는 업계 최초로 편광판 기능을 내재화한 에코 스퀘어 OLED(ECO2 OLEDTM) 기술이 SID ‘올해의 디스플레이(Display of the Year)’를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올해의 디스플레이’는 전년에 출시된 제품 중 가장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제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SID가 매년 수여하는 ‘디스플레이 산업상(DIA, Display Industry Awards)’ 중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꼽힌다. SID는 “에코 스퀘어 OLED기술 덕분에 폴더블 기술이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며 “같은 밝기의 일반 OLED와 비교하면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색 표현력 면에서도 뛰어나다”고 호평했다. 에코 스퀘어 OLED는 편광판을 제거하고 새로운 패널 적층 구조를 적용해 소비전력을 향상시킨 기술로 갤럭시Z폴드3에 최초로 적용했다. 일반적으로 빛이 편광판을 통과할 때 밝기가 50% 이상 감소하게 되는데, 에코 스퀘어 OLED기술을 적용하면 빛 투과율을 33% 높여 같은 밝기에서도 패널 소비전력을 최대 25%까지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저전력 기술로 꼽힌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인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친화적인 기술로 평가받는다. 김성철 중소형디스플레이…
더보기

모바일
|
2022.04.14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글로벌 대세가 되다! ‘폴더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 혁신으로 상상이 현실이 된 제품, 바로 폴더블 스마트폰입니다. 2019년 삼성 갤럭시 폴드를 시작으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는데요, 글로벌 스마트폰의 새로운 기준이 되며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는 폴더블 스마트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보기

|
2022.01.07
비대면 시대에 더 주목받는 디스플레이 혁신 트렌드_CES 2022를 빛낸 디스플레이 제품들
코로나19로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생활 속에서 가장 크게 변화한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디스플레이인데요. 거의 모든 라이프스타일이 디지털 중심으로 바뀌면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졌습니다. CES 2022 현장에도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한 IT기기의 약진이 눈길을 끌었는데요. 혁신상 수상으로 큰 주목을 받은 제품들을 모아봤습니다. 모바일 혁신의 주인공은 Galaxy ▲ Galaxy Z Flip3 Bespoke Edition ▲ Galaxy Z Flip3 모바일 디바이스 부문에서 가장 큰 반향을 만들어낸 갤럭시 Z폴드3비스포크 에디션과 갤럭시 Z플립3가 CES 2022 모바일 각각 최고 혁신상과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갤럭시Z플립 3는 전작에 비해 더욱 세련되고 컴팩트한 디자인과 4배 넓어진 커버 디스플레이로 사용자들을 사로잡았는데요. 120Hz 가변주사율 지원, 신소재 보호필름 적용, 내구성 80% 향상과 터치감 개선 등 새로운 기능을 더했습니다. CES에 따르면, 특히 인기에 힘입어 사용자가 49가지 색상 옵션을 직접 고를 수 있는 갤럭시 Z폴드3 비스포크 에디션은 ‘맞춤형 스마트폰’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Samsung Galaxy Z Fold3 혁신상을 수상한 갤럭시 Z폴드3는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아래 감춘 UPC 기술 탑재로 메인 디스플레이에 풀스크린을 구현했습니다. 이로써 촬영과 화면 두 가지 기능이 동시에 공존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완성했습니다. 저전력 친환경 기술인 에코스퀘어 OLED(Eco2OLED™) 기술을 기반으로 화면과 빛의 투과율을 높였으며 IPX8의 높은 방수 등급 인증을 받았습니다. ▲ Samsung Galaxy…
더보기

|
2022.01.07
미래 기술들 총출동 ‘CES 2022’ 전시 현장 속으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기술전시회 CES 2022가 1월 5일(현지시각) 개막했습니다. 지난 해 온라인으로만 열렸지만 올해는 세계 150여 개국 2천 2백여 개 기업이 참여해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최 측인 미국 소비자기술협회는 올해 CES에서 눈여겨볼 분야로 헬스케어, 5세대 이동통신 5G와 인공지능, 가상현실인 메타버스, 우주기술, 이동성을 뜻하는 모빌리티를 꼽았는데요. 가전은 물론 기술, 제품 분야 전반의 글로벌 메가 트렌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밑줄 쫙~! CES 2022에서 뽑은 디스플레이 트렌드 ▲CES 2022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서 선보인 Flex S(왼쪽)와 Flex G(오른쪽)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노트북과 폴더블폰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시장을 이끌어 왔습니다. 이번 CES 기간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는 프라이빗 부스를 따로 마련해 독보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S’자 형태로 두 번 접는 ‘플렉스 S’를 비롯해 안쪽으로 두 번 접는 ‘Flex G’타입의 폴더블 OLED를 선보이며 주목받았습니다. ▲CES 2022 기간에 삼성디스플레이가 선보인 QD디스플레이 특히 최근 양산을 시작한 QD디스플레이를 공개해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퀀텀닷을 내재화한 자발광 디스플레이 55, 65형 TV용 패널과 34형 모니터용 패널, 총 3종의 제품을 선보였는데요. QD-Display는 기존의 대형 디스플레이가 컬러 필터로 색을 구현하는 것과 달리 ‘QD 발광층’을 통해 색을 표현하기 때문에 최고의 화질을 자랑합니다. 한편 이번 CES에서 삼성전자는 ‘미래를 위한 동행(Together for tomorrow)’을 주제로 CES 2022 기조 연설에…
더보기

|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가 보여준 디스플레이의 미래_CES 2022 삼성디스플레이 전시 현장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2가 2년만에 오프라인 전시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현지 시각 1월 5일부터 8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 삼성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미래를 보여주는 전시를 통해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는데요. 특별한 분들에게만 공개되었던 삼성디스플레이 CES 2022 전시 부스를 여러분들께 공개합니다~ ▲라스베이거스 CES 2022 삼성디스플레이 전시관 입구 삼성디스플레이는 2021년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OLED 노트북 시장에서 폼팩터 혁신을 이끌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2021년 11월에 QD-Display를 본격적으로 양산하며 시장의 지각변동을 예고하기도 했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의 전시관은 그래서 스마트폰, 노트북을 중심으로 한 OLED 디스플레이와 TV, 대형 모니터를 중심으로 한 QD-Display 등 크게 두 분야로 나뉘어 전시가 진행되었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의 폼팩터 혁신은 ING! OLED 디스플레이는 ‘The next chapter of OLED Era : New technology in foldable and new business expansion in IT and gaming’를 주제로 차세대 OLED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그 가운데서 폴더블에서 롤러블까지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와 환경 친화적인 저전력 디스플레이 기술을 중심으로 전시장을 둘러보았습니다. # Inspire the next ‘Inspire the next’라는 전시 스페이스의 테마처럼 이곳에서는 폴더블에서 롤러블까지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데요. ‘S’ 형태로 In&Out으로 접는 ‘Flex S’, ‘G’ 형태로 안쪽으로 두 번 접는 ‘Flex G’는 휴대성을 높이고 스마트폰, 태블릿, AI 기기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