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댑티브 프리퀀시' 검색 결과

보도자료
|
2021.03.23
삼성디스플레이, 저전력 OLED 글로벌 고객사로 확대
삼성디스플레이가(대표이사 최주선) 지난해 업계 최초로 선보인 저전력 OLED 구동 기술인 ‘어댑티브 프리퀀시(Adaptive Frequency: 가변 주사율)를 글로벌 고객사로 확대 적용하며 5G 시대 저전력 디스플레이 트렌드를 앞당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중국 최대 스마트폰 제조사인 오포(OPPO)의 플래그십 라인업 ‘Find X3’ 시리즈에 ‘어댑티브 프리퀀시’패널을 공급했다. 오포는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중에서는 처음으로 가변 주사율 기술을 탑재했으며 이를 통해 전체 패널 소비전력이 기존 대비 46%까지 낮아졌다고 밝혔다. 저전력 OLED 기술인 ‘어댑티브 프리퀀시’는 소비자의 사용환경에 맞춰 디스플레이 주사율1)을 자동으로 조절해 전체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패널 기술이다. 예를 들어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 모바일 게임에는 120Hz, 영화는 60Hz, 이메일은 30Hz, 정지 이미지 감상 등에는 10Hz 이하로 주사율을 가변 적용해 패널 구동 전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저전력 OLED 기술은 최근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문화의 확산과 5G 스마트폰 확대로 스마트폰의 저전력 기술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더욱 주목받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포 외에도 미주, 신흥 시장에서 차별화된 기술과 사용경험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원플러스(Oneplus)의 신제품 ‘Oneplus 9Pro’에도 6.7형의 ‘어댑티브 프리퀀시’ 패널을 공급했다. 올리버 장(Oliver Zhang) 원플러스 상품팀장은 “원플러스는 삼성디스플레이의 혁신적인 저전력 OLED 기술을 통해 소비자에게 더욱 합리적이고 진화된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현재 오포, 원플러스 외에도 다양한 글로벌 고객사와 저전력 OLED 기술 개발을 협의 중이며 소재와 부품 등 다방면에 걸쳐 저전력 기술의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삼성디스플레이는 이제까지 OLED 패널의 화질과 디자인 혁신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선도적으로 저전력 패널 기술 개발에 앞장서며 소비자들의…
더보기

모바일
|
2021.02.17
최고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말하다~ ‘갤럭시 S21 울트라’의 삼성 OLED!
지난 1월 출시된 갤럭시 S21 울트라는 삼성의 혁신적인 OLED 기술이 집약되어 사용자들에게 ‘최상의 보는 경험’을 제공해 줍니다. 한층 더 밝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면서도 저전력 OLED를 적용해 보다 스마트한 스마트폰 경험을 가능케하는 갤럭시 S21 울트라의 OLED 특징을 카드뉴스로 만나보세요.
더보기

모바일
|
2021.02.09
삼성디스플레이의 ’21년형 OLED, ‘주사율’과 ‘터치 기술’로 한층 업그레이드!
삼성 OLED가 한층 업그레이드된 고주사율 기술과 터치 기술로 스마트폰 OLED의 기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선보인 신제품 OLED에 고해상도에서도 120Hz 고주사율이 가능한 ‘어댑티브 프리퀀시(Adaptive Frequency™)’ 기술과 터치 반응속도를 한층 개선한 ‘슈퍼 터치(Super Touch™)’ 기술을 탑재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삼성전자) ‘어댑티브 프리퀀시’ 기술은 콘텐츠에 따라 주사율을 자동으로 조정해 소비전력을 낮추는 저전력 패널 기술입니다. 구동 전력을 최대 22%까지 낮출 수 있어 획기적인 5G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최근 삼성이 출시한 갤럭시S21 OLED에 적용된 이 기술은 10Hz(사진, SNS와 같은 정지 이미지)는 물론, 120Hz(모바일 게임)까지 콘텐츠에 따라 적정한 주사율을 자동으로 조정합니다. 특히 120Hz에서는 WQHD+(3,200 x 1,400)의 초고해상도를 그대로 지원해 깔끔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삼성디스플레이는 120Hz 화면주사율을 지원하기 위해 터치IC를 240Hz까지 끌어올린 ‘슈퍼 터치’ 기술도 선보였습니다. ‘슈퍼 터치’ 기술은 화면주사율을 120Hz로, 터치IC를 240Hz로 기존보다 각각 2배씩 업그레이드하면서 화면 터치 반응 속도를 30% 더 올렸습니다. 한층 더 빨라진 터치 응답속도 덕분에 소비자들은 전보다 훨씬 더 부드럽고 완벽에 가까운 화면 터치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보도자료
|
2020.09.21
삼성디스플레이, 유튜브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알리기 나서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이동훈)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유튜브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폴더블디스플레이 알리기에 적극 나섰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과 장점에 대해 알려주는 ‘Unfold the Brilliant Future(찬란한 미래를 펼치다)’와 ‘Samsung Foldable OLED 200,000 Folding Test (삼성 폴더블 OLED 20만회 폴딩 테스트)’를 제작, 삼성디스플레이 유튜브 공식 계정을 통해 공개했다. ‘Unfold the Brilliant Future’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과 장점을 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된 영상 콘텐츠다. 해당 영상은 총 7가지 내용으로 △디스플레이를 접었다 펼 수 있는 원리를 보여주는 ‘Folding Mechanics(폴딩 기술)’ △얇고 유연한 커버 윈도우용 유리인 UTG™(Ultra Thin Glass)에 대해 소개하는 ‘Samsung UTG™’ △가변 주사율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기술인 ‘Adaptive Frequency™(어댑티브 프리퀀시)’ 1) △카메라 홀 주변부의 균일한 화질을 구현하는 기술인 ‘Iris Ring™ (아이리스 링)’ 2) △유해 블루라이트 감소로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는 ‘Eye Care(아이케어)’ △다이아몬드 형태의 픽셀 배치로 곡선을 한층 부드럽고 선명하게 표현하는 ‘Diamond Pixel™(다이아몬드 픽셀)’ △다가오는 미래에 만나게 될 OLED에 대해 소개하는 ‘Future OLED (미래의 OLED)’로 구성되어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Folding Mechanics(폴딩 기술)’를 시작으로 공식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했으며, 추후 다른 6가지 영상도 매주 순차적으로 업로드해 소비자들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해를 도울 계획이다. 또 삼성디스플레이는 ‘Samsung Foldable OLED 200,000 Folding Test’라는 제목의 영상도 제작, 유튜브 공식 계정에…
더보기

모바일
|
2020.08.21
‘갤럭시노트20 울트라’로 보는 OLED 분석파일!
최근 출시된 갤럭시노트20 울트라가 큰 인기를 끌며 사용자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휘도, 소비전력, 주사율 등 한층 진화된 기능을 선보인 갤럭시노트20 울트라의 삼성 OLED를 인포그래픽을 통해 만나보겠습니다.
더보기

|
2020.08.12
디스플레이, 화질을 넘어 소비 전력에 집중하는 사연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새로운 저전력 OLED 기술인 ‘어댑티브 프리퀀시(Adaptive Frequency™)’를 공개했습니다. 디스플레이가 소비자의 사용 콘텐츠에 맞춰 최적의 주사율을 제공해 전체 디스플레이 소비 전력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기술입니다. 디스플레이 제조사는 이제 화질 경쟁을 넘어서 폴더블을 포함한 차별화 디자인과 저소비 전력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 마케팅팀 이정수 프로와 상품기획팀 남기현 프로와 함께 5G 시대, 우리 일상에 더욱 깊숙이 들어온 스마트폰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저소비 전력 기술 비하인드를 들어봤습니다. Q. 5G 시대 스마트폰의 사용 패턴은 어떻게 달라지며 이로 인해 중요해지는 것은 무엇인가요? 이정수 프로: 5G 시대는 LTE보다 데이터 이동 속도가 20배 빨라지고 데이터 지연시간은 1,000분의 1초로 줄어들면서 말 그대로 초저지연의 모바일 환경이 구축됩니다. 소비자들은 UHD급의 고해상도와 120hz 고주사율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특히 OTT 서비스나 모바일 게임 등을 더 큰 화면으로 즐기고 싶어 합니다. 회사는 이러한 대화면의 요구에 부응해 휴대성까지 겸비한 ‘폴더블 (Foldable)’이라는 새로운 폼팩터를 선보였습니다. 동시에 대용량의 콘텐츠를 즐기고 대부분의 일상 활동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 패턴을 고려해 디스플레이의 저소비전력 기술 개발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스마트폰 전체 소비 전력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소비전력 절감 기술이 중요해진 이유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 상품기획팀 남기현 프로 Q. 최근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많이 언급되는데 주사율의 정확한 개념은 무엇인가요? 남기현 프로: 주사율이란 디스플레이가 1초에 표시하는 화면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120Hz는 1초 동안 120번 프레임이 바뀌는 것을 의미하고 주사율이…
더보기

보도자료
|
2020.08.12
삼성의 新 OLED 기술, 소비전력 대폭 줄였다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이동훈)가 5G 시대 스마트폰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OLED 패널 기술을 선보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일상적 사용 환경에서 기존 스마트폰 대비 패널 구동 전력을 최대 22%까지 낮출 수 있는 ‘어댑티브 프리퀀시(Adaptive Frequency™)’ 기술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저전력 OLED 기술인 ‘어댑티브 프리퀀시‘는 소비자의 사용 환경에 맞춰 디스플레이 주사율1)을 자동으로 조절해 전체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패널 기술로 삼성전자가 최근 공개한 ‘갤럭시 노트20 울트라‘에 처음 적용됐다. 신규 기술은 5G 사용 환경에서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 모바일 게임에는 120Hz, 영화는 60Hz, 이메일 등 일반적인 텍스트 확인 및 입력에는 30Hz, 사진과 SNS 등 정지 이미지에는 10Hz로 가변 주사율을 지원함으로써 패널 구동 전력을 기존 대비 최대 22% 낮춰 스마트폰의 실제 소비전력 개선에 기여했다. 기존의 스마트폰 패널은 일반적으로 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해 콘텐츠에 따른 주사율 변경이 불가능했다. 이는 저주사율 구동시 휘도 변화가 생겨 깜박임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신규 백플레인(Backplane)2) 기술을 적용해 저주사율 구동에 따른 깜박임을 효과적으로 제어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에서는 최초로 ’10Hz’ 주사율을 구현했다. 특히 사진과 SNS 등 정지 이미지 사용시‘10Hz’의 저주사율을 사용해 패널 구동 전력을 최대 60%까지 줄였다. 기존 패널은 콘텐츠에 구분 없이 동일한 주사율이 사용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향후‘어댑티브 프리퀀시‘ 기술을 스마트폰을 포함한 다양한 IT 제품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더불어 소비전력 절감을 위해 소재의 효율성을 높이고 구동 부품을 최적화하는 등 기술 개발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호중 삼성디스플레이 상품기획팀 상무는 “5G 상용화에 따라 고해상도 동영상 스트리밍 및 게임 콘텐츠가 급증하는 가운데 디스플레이의 소비전력 절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