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라디안' 검색 결과

디스플레이 라이프
|
2019.02.01
쉽게 알아보는 공학이야기 7 – 라디안과 스테라디안
모든 공학 단위는 질량, 길이, 시간을 포함하는 7개의 기본 단위로부터 유도됩니다. 여기에 추가해서 물리적 차원을 갖지 않는 보조 단위가 2개 있는데, 바로 평면각(라디안)과 입체각(스테라디안)입니다. 평면각이란 두 직선이 이루는, 벌어진 정도 또는 회전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또 입체각은 3차원 공간에서 바라보는 면의 크기를 나타내는 입체적인 각도입니다. 평면각 ▲ 라디안의 정의 평면각을 표시할 때 주로 ‘도(degree)’를 사용하지만,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호도법에 의한 라디안(radian)을 사용합니다. 호도법이란 호의 길이를 이용해서 각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반지름(x) 대비 호의 길이(a)의 비율(θ=a/x)로 라디안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360도는 2π 라디안이고, 1라디안은 약 57도가 됩니다. 라디안 각도는 π가 나오고, 60도가 아닌 57도라는 숫자가 나오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각 모서리는 90도, 반대 방향은 180도와 같은 통상적인 각도는 우리가 익숙해서 그렇지, 한 바퀴를 360도로 정한 것이 오히려 인위적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 8개로 나눈 피자 한 조각의 각도 옛날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60진법에 근거한 숫자 체계를 좋아했습니다. 360은 1년 365일과 가까운 숫자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2, 3, 4, 6 등 여러 숫자의 공배수가 되는 완전한 수로 여겨져 왔기 때문입니다. 사실 12까지의 수 가운데 7과 11을 제외한 모든 수로 나누어집니다. 따라서 피자 한 판을 여럿이 나누어 먹을 때 소수점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4명이면…
더보기

용어 사전
|
2010.11.24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기준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는 실내가 어두울 때 조명의 밝기에 대해 이야기하곤 합니다~. 휴대폰이나 모니터 화면을 볼때는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기도 하는데요. 조명이나 모니터, TV화면의 밝고 어두움을 나타내는 밝기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제품에 따라 광원의 밝기와 방향, 투사된 빛의 밝기, 반사되어 빛나는 물체의 밝기에 대한 서로 다른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광속(Luminous Flux)은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빛의 총량을 나타냅니다. 광원이 발할 때 발생하는 모든 방향의 빛을 합한 값으로 단위는 루멘(lm)을 사용합니다. 형광등의 경우 70 lm/W, 백열등은 10 lm/W의 효율을 지니고 있습니다. 전력량 대비 광속이 큰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해 효율이 좋은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광도(Luminous Intensity)는 빛의 방향에 수직한 면을 통과하는 빛의 양을 말하는 것으로 단위면적을 일정 시간동안 통과하는 광속의 크기에 따라 광도를 결정합니다. 광도의 단위는 칸델라(cd)로 1스테라디안 당 나오는 빛의 세기를 의미합니다. (스테라디안: 2차원에서의 각은 라디안, 3차원의 입체각은 스테라디안 이라함) 촛불을 켜 놓으면 사방으로 빛이 퍼져갑니다. 이렇게 퍼져나간 전체 빛을 루멘(lm)으로 표현한다면 그 중 1스테라디안당 발생되는 빛의 밝기를 칸델라(cd)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조도(Illuminance)는 일정 면적당 들어오는 광속의 밀도를 의미합니다. 단위는 룩스(lx)를 사용하며 m2당 광원이 비추어야할 빛의 양을 의미합니다. (lx=lm/m2) 장소 및 상황에 따라 필요한 조도가 다르며 조도가 적당하면 눈의 피로가 적고 일의 능률이 오른다고 합니다. 휘도(Luminance)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