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상도' 검색 결과

|
2021.01.06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71편: ELA(Excimer Laser Annealing)
디스플레이에서 ELA는 LTPS 전자 회로층을 만들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레이저 공정입니다. ELA 공정을 이용해 a-Si(Amorphous Silicon, 비정질실리콘) TFT를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저온폴리실리콘) TFT로 전환하면 TFT의 성능을 상당히 높일 수 있습니다. ※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에서 R, G, B 색상의 빛을 내기 위해 각 픽셀을 조절하는 실리콘 기반 전자 회로 LTPS는 실리콘의 구성 형태가 전통적인 TFT인 a-Si보다 질서정연하기 때문에 전자가 쉽게 회로에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a-Si이 구불구불하고 차로가 좁은 비포장도로라면, LTPS는 차로가 많은 고속도로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전자 이동도가 높으면 그만큼 전력과 데이터의 이동이 수월하기 때문에 LTPS는 고해상도, 슬림베젤, 저소비전력 디스플레이 구현에 상당히 유리합니다. LTPS는 a-Si을 엑시머 레이저로 가공해 만듭니다. 위 그림과 같이 레이저가 a-Si 층에 조사되면서 움직이면, 해당 영역이 질서 정연한 바둑판 같은 입자 구성을 갖게 되는데, 이를 ELA(Excimer Laser Annealing) 공정이라 부릅니다. 그림과 같이 레이저 에너지를 받은 무질서한 배열의 a-Si는 왼쪽의 Poly-Si(LTPS)과 같이 결정화 되면서 단결정 형태의 실리콘 군집을 형성하며 TFT의 성능을 상당히 높게 증가시킵니다.
더보기

트렌드
|
2020.12.16
저화질 해상도를 고화질로 구현하는 매직이 있다? ‘업스케일링 기술’의 세계
세상 최고의 화질은 누가 뭐래도 ‘제 눈앞’이다. 아무리 초고화질 영상, 사진이라고 해 봤자 나 자신의 눈으로 보는 것보다 실감나는 건 없다. 그러나 눈앞의 장면은 휘발성이 있다. 기억으로 저장될 뿐, 인간의 눈으로 보는 것 그대로를 시공간을 넘어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불가능은 언제나 인간에게 정복이라는 욕구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욕구는 더 선명하고, 더 크고, 더 실감나는 사진, 더 생생한 영상을 보여주는 고화질 해상도 기술을 진화시키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 고화질 해상도란 무엇인가? 해상도(resolution)란 디지털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면 안에 얼마나 많은 수의 픽셀(pixel)을 담았는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픽셀은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는 가장 작은 원소다. 따라서 해상도가 높을 수록 픽셀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화면 크기가 같다고 하더라도 픽셀의 밀도가 높아져 화질이 좋아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픽셀 수 오늘날 TV의 진화는 해상도의 발전과 굴레를 같이 한다. 화면 하나에 담는 픽셀 수는 SD(720×480)에서 HD(1280×720)로 발전했다. HD는 FHD(1920×1080)로, 다시 4K UHD(3840×2160)와 8K UHD(7680×4320)로 진화하고 있다. 정해진 공간 안에 픽셀의 수가 늘어난다는 건 그만큼 더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같은 화면 크기라도 픽셀 수가 더 많아진다면 더 선명해진다. 즉, 고화질 해상도란 더 풍부한 디테일을 담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해상도는 하드웨어에서만 쓰이지 않는다. 화면에 담기는 디지털로 이뤄진 모든 콘텐츠가 해상도를 갖는다. 콘텐츠와 하드웨어가 동일한 픽셀의 밀도를 가졌다면 각각의 해상도가 1:1 매칭이 되므로 최선의 화면을 보여준다. 그러나 콘텐츠와 하드웨어의 해상도가 다르면 문제다. 만약 콘텐츠의 해상도는…
더보기

|
2020.03.27
일상 속 디스플레이의 발견 6편: 내기 있는 곳이 바로 고화질 영화관~!
우리는 일상에서 매 순간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일들을 경험합니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기술과 연결되어 우리 삶을 보다 즐겁고 편리하게 만들어 주며 새로운 경험을 가능케 해줍니다. 실제처럼 생생하고 리얼한 ‘디스플레이 시대(Display of Things)’의 하루를 일러스트로 만나보세요.
더보기

|
2017.03.09
[디스플레이 톺아보기] ② 픽셀부터 해상도까지!
1980~90년대 유행했던 테트리스, 팩맨, 보글보글~. 당시에 학창시절을 보냈던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아는 게임입니다. 2015년 개봉했던 영화 ‘픽셀’은 ‘팩맨’,’테트리스’, ‘갤러그’와 같은 대표적인 아케이드 게임 캐릭터가 지구를 침략하는 내용으로,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이 캐릭터들은 모두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픽셀’ 로 형상화되어 있습니다. 최근 유행하는 나노 블럭처럼 작은 사각형의 블록이 모여 하나의 캐릭터나 사물이 되는 것과 유사하지요. 80~90년대 DOS기반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던 시절에는 컴퓨터 그래픽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않아, 화면에서 보는 이미지는 매끄럽지 않고 격자 무늬 같은 픽셀(pixel)이 잘 보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당시 게임 그래픽이 거친 이유 중 하나는 모니터의 낮은 해상도 때문입니다. 깨끗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감상하기 위해서 ‘화질’은 매우 중요한데요. 고화질 이미지 표현을 가능케 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해상도’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디스플레이의 가장 기본 요소 중 하나인 ‘픽셀‘과 ‘해상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픽셀(Pixel)은 ‘Picture(그림) Element(원소)’를 줄인 말로 ‘화소’라고 불리며, 컴퓨터, TV, 모바일 기기 화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입니다. 디지털 이미지들을 크게 확대해보면, 그림의 경계선마다 부드러운 곡선이 아닌 계단같이 연결된 작은 사각형들이 모여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작은 사각형이 바로 픽셀이며, 픽셀수가 많을 수록 좀 더 정교하고 매끄러운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답니다. 디스플레이의 각 픽셀들은 색(Color)과…
더보기

TV / IT / PID
|
2016.10.20
디지털 디스플레이 세상을 열어가는 삼성디스플레이 PID
TV와 PC, 모바일 기기에 이어 제4의 미디어로 부각되고 있는 퍼블릭 디스플레이 시장이 본격적인 성장기에 진입했습니다. 초대형, 고해상도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55인치 이상의 초대형 패널로 수요가 이동함에 따라 퍼블릭 디스플레이용 패널(PID) 시장에서도 비디오월, 옥외 사이니지 등에 사용되는 프리미엄 패널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더보기

|
2016.02.11
[삼성디스플레이] UHD 해상도 = 4K 해상도일까?
2015년, 전 세계 TV 시장의 1/3이상을 점유하며 큰 인기를 끌었던 UHD TV! UHD(Ultra High Definition) TV는 일반적으로 3840 x 2160의 고해상도를 의미하며, 이를 4K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UHD 해상도 = 4K 해상도일까요? 4K는 원래 4096 x 2160 해상도를 의미하는 말이었습니다. 그런데 소니를 포함한 일부 가전업체에서 3840 x 2160 해상도를 4K로 지칭하면서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되었는데요. 2012년 전미가전협회(CEA)는 TV 방송 및 디스플레이 해상도로 ‘4K’를 3840 x 2160으로 규정하였답니다. 그렇지만 영화나 카메라용 규격인 디지털 시네마 표준 규격(DCI)은 4096 x 2160 해상도를 ‘4K’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TV와 영화의 ‘4K’ 해상도는 서로 다른 것이지요. 그런데 UHD는 ‘8K’ 해상도를 지칭할 때도 함께 쓰입니다. UHD는 Ultra High Definition 말 그대로 선명도가 매우 높다는 의미인데요.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라디오 주파수 대역 통신규약) BT.2020 권고에 따르면 UHD TV는 3840 x 2160 (4K UHD)의 해상도와 7680 x 4320 (8K UHD)의 해상도를 가진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한때 UHD TV를 ‘4K UHD’에 한정하였고, 8K는 ‘SHV(Super Hi-Vision)’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2013년 이후엔 모두 UHD TV로 통일하였답니다. 따라서 3840 x 2160의 정확한 TV 해상도를 표현하려면 ‘4K UHD’라고 써야 혼란이 없을텐데요. 아직 대부분의 제조사에서 8K UHD TV를 본격적으로 출시하지 않았고, 4K UHD TV가 현재 시장의 대세인 만큼 ‘UHD’는 일반적으로 3840 x 2160의 해상도로 사용하고 있는…
더보기

|
2015.07.28
고해상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도 역시 AMOLED!
73억이 넘는 세계 인구의 1/4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IT 시장조사기관 eMarketer는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가 2014년 기준으로 17억 5천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17억 명이 넘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카메라로 사진을 찍기 시작하면서 고해상도의 이미지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는데요. 셀피나 일상을 담은 사진을 인스타그램 등의 개인 SNS에 올리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보다 뛰어난 화질의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는 고해상도 스마트폰이 각광받고 있답니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치는 올해 풀 HD급(1920*1080) 이상의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이 2013년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난 28.6%로 전망하였으며, 2017년에는 44.9%까지 높아진다고 예상하였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갤럭시 S6와 S6엣지용으로 스마트폰 최고 해상도인 QHD AMOLED를 양산하였습니다. 갤럭시 S6와 S6엣지는 인치당 픽셀수가 무려 577PPI로 모바일 기기 최고 수준의 해상도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화질 평가기관 디스플레이메이트로부터 ‘육안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운 세밀한 수준의 완벽한 선명도’라고 평가받았지요. 2010년에 출시된 갤럭시 S용 AMOLED는 WVGA(800x 480) 해상도에 233PPI 였는데요. 불과 6년 만에 10배가 넘는 해상도와 2.5배가 넘는 PPI 구현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해상도뿐 만 아니라 명암비, 색재현력, 색정확도, 저계조 표현, 높은 휘도, 야외시인성, 배터리 소모 등 다양한 특성에서 AMOLED는 큰 발전을 했습니다. AMOLED 폰이 처음으로 등장했던 2007년 당시 언론에서는 ‘낮은 수율과 불완전한 성능으로 디스플레이 주류로 떠오를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우려가 많았는데요. 국내외…
더보기

|
2015.06.12
이제는 8K영상까지? 고해상도 콘텐츠의 시대가 활짝 열리다!
고해상도· 고화질의 영상, 이미지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TV, 모니터 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점점 커질 뿐 아니라 사진과 동영상 중심의 개인 미디어가 확산되고 있어 선명하고, 뛰어난 이미지를 감상하고자 하는 욕구도 자연스럽게 커진 것이지요. 최근 유튜브는 8K(7680×4320) 동영상 서비스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8K는 UHD(4K)보다 4배나 높은 7680×4320의 해상도를 의미합니다. 아직 8K 영상을 제대로 지원할 수 있는 모니터와 TV 제품은 거의 없지만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고해상도 트렌드에 맞추기 위한 것이지요. 지난 3월에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8K 동영상을 TV나 모니터 등 대화면으로 옮겨서 시청할 수 있는 동영상 전송 솔루션 ‘슈퍼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표준이 발표되기도 하였답니다. 유튜브에 올라온 8K 해상도 영상 이렇듯 IT업계는 고해상도 콘텐츠 등장을 빠르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2013년 말부터 UHD(4K) 동영상 서비스를 시작하였는데요. 2014년 UHD TV가 등장하면서 UHD 해상도의 콘텐츠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UHD 모니터들도 출시되고 있어 4K 콘텐츠는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늘어날 것이 예상되고 있지요. 유튜브에 올라온 4K 해상도 영상 2014년 삼성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사이즈의 UHD TV 패널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커브드 UHD 디스플레이는 생생한 화질에 뛰어난 몰입감과 화면이 커 보이는 파노라마 효과까지 더해져, 프리미엄 제품으로 자리 잡았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뛰어난 디스플레이 기술력으로 지난 1분기 전 세계…
더보기

트렌드
|
2015.06.04
IT 혁신을 이끌다-‘디스플레이 10대 트렌드’
지난 5월, 세계정보디스플레이 학회 SID(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의 마케팅 책임자인 Sri Persuvemba 가 ‘디스플레이 10대 트렌드’를 발표하였는데요. 혁신적인 IT 제품들의 등장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알 수 있답니다. ★ Wearble 피트니스 밴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웨어러블용 디스플레이는 작은 공간에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고해상도, 고휘도, 높은 명암비, 저소비전력 사용이 필수랍니다. 또한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가 적합하지요. 이런 점에서 플렉서블 AMOLED의 미래가 밝은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작년에 세계 최초로 웨어러블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양산했습니다. 기어 핏과 기어 S에 적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어질 뿐 아니라 탁월한 색재현력, 무한대에 가까운 높은 명암비로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로 평가받았답니다. ★ Curved Screens 삼성디스플레이는 2014년 세계 최초로 TV용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양산하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커브드 제품은 뛰어난 화질, 높은 명암비, 실제 화면보다 커 보이는 파노라마 효과로 생동감있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계 최고 곡률인 4000R을 구현하며 그 기술을 인정받고 있답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갤럭시 노트 엣지나 갤럭시 S6 엣지는 화면의 사이드가 휘어지면서 제품의 디자인과 기능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갤럭시 S6 엣지용 디스플레이는 현존 스마트폰 최고 수준인 QHD 해상도를 구현하고 소비전력 효율도 20%나 증가하는 등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최고 기술력을 선보였답니다. ★ More Pixels/…
더보기

|
2014.11.05
qHD와 QHD 해상도의 차이는?
스마트폰의 해상도는 제품의 성능을 결정짓는 주요 스펙입니다. 고화질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싶다면 높은 해상도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필수인데요. 해상도(Resolution)는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기준으로 얼마나 많은 수의 픽셀(pixel)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나타냅니다. (픽셀: RGB 3원색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색상을 화면에 표현해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최소 단위) 동일한 사이즈의 화면이라도 픽셀수가 많으면 좀 더 세밀하고 섬세한 이미지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