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 엣지' 검색 결과

칼럼
|
2020.05.28
끝없이 진화하는, 모바일 기기 폼팩터 변천사!
‘꼴’이란 사람의 모습이나 행색을 말하거나 사물의 형태를 뜻한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처음 볼 때 느끼는 첫인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외관으로 보이는 형태를 통해 사람 혹은 사물의 스타일이나 분위기를 파악한다. 스마트폰을 비롯해 다양한 가전제품들을 보면, 실제로 외관 형태나 디자인을 통해 제품의 성능이나 가치, 기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모바일 기기의 형태를 살펴보면, 앞으로 모바일 기기가 어떻게 진화할지를 전망할 수 있다. 휴대폰이 등장한 지난 10년, 폼팩터는 어떻게 변화했나? 우리는 제품의 형태를 이야기할 때 종종 ‘폼팩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폼팩터(Form Factor)는 공학 설계에서 제품의 물리적 배열이나 구성을 의미하는 말이다. 폼팩터가 변하면 제품의 크기나 디자인 등 외형까지 변하게 되는데, 초반에는 컴퓨터 하드웨어 규격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모바일 기기가 발전하면서 주로 스마트폰의 형태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 모토로라가 만든 세계 최초의 휴대전화 ‘다이나택(Dynatac) 8000x’ (출처: 모토로라) 스마트폰이 본격 보급되기 이전에 등장한 휴대폰 즉 피처폰은 생각보다 다양한 폼팩터로 등장했었다. 처음 휴대폰이 나올 때만 해도 바(Bar) 형태의 디자인이 일반적이었다. 막대기처럼 기다란 직사각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과 하단에는 10개가 넘는 물리 버튼들이 노출되어 있었다. 최초의 휴대전화인 모토로라 ‘다이나택 8000x’ 제품 이후 이런 형태로 휴대폰이 설계되었다. 이후에 등장한 것은 노출된 조작 버튼을 보호하고 디자인도 훨씬 깔끔한 플립 형태의 휴대폰이었다. 1989년 모토로라 마이크로택이 세계 최초의 플립형 휴대폰이다. 돌출된 키패드를 가릴 수 있도록 뚜껑을 열고 닫는 플립형태의 디자인을 적용해 외관은 깔끔해졌으며, 키버튼 등에 먼지나…
더보기

모바일
|
2020.03.12
플렉시블 OLED의 다양한 변신!
지난달 공개된 갤럭시 Z 플립은 클림셸 타입의 접었다 펼치는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제품에 적용된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형태의 플렉시블 OLED입니다. 삼성 플렉시블 OLED는 2013년 갤럭시 라운드에 처음 적용된 이후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며 매번 제품의 혁신을 이끌어 왔습니다. 그동안 적용된 다양한 플렉시블 OLED 제품들의 변천사를 인포그래픽으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더보기

|
2015.10.30
스마트폰에는 왜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일까?
OLED를 탑재한 스마트폰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구글에서 발표한 안드로이드 6.0의 레퍼런스 스마트폰 ‘넥서스 6p’에는 5.7형 WQHD OLED가 탑재되었지요. 또한 화웨이, 오포, 비보, 메이쥬 등의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앞다퉈 OLED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OLED를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https://youtu.be/oTSaw2FpG6o ★ 우수한 사진 표현력 스마트폰 카메라 사양이 좋아지면서 셀카나 일상 사진을 찍어 지인들과 공유하고 소셜 미디어에 게재하는 일들이 잦아졌습니다. 그런데 똑같은 사진이어도 어떤 디스플레이로 보느냐에 따라 사람마다 다른 이미지를 볼 수 있다는 사실!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는 사진을 보는 만큼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디스플레이입니다. OLED는 저계조 표현이 뛰어나 어두운 부분까지도 세밀하게 표현해주기 때문에 LCD에서 잘 보이지 않던 부분의 이미지도 명확하게 보여준답니다. 또한 13,000,000:1의 높은 명암비는 이미지를 더 생생하고 선명하게 표현하는데요. 이런 OLED의 우수한 사진 표현력은 중국전자기술 표준화 연구소(CESI)로부터 인증도 받았답니다. ★ 풍부한 색 표현력 독일 철학자 괴테는 “인간은 정보의 80%를 시각에 의존하는데 그 대부분은 색채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색을 제대로 보지 못하면 사진 속 과일이 익었는지, 풍경 속 계절이 언제인지 등의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텐데요. 사물이나 환경을 판단하는데 색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는 NTSC 100%가 넘는 색상 영역을 표현해줍니다. 이는 LCD 보다 약 1.3배 넓은…
더보기

트렌드
|
2015.06.04
IT 혁신을 이끌다-‘디스플레이 10대 트렌드’
지난 5월, 세계정보디스플레이 학회 SID(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의 마케팅 책임자인 Sri Persuvemba 가 ‘디스플레이 10대 트렌드’를 발표하였는데요. 혁신적인 IT 제품들의 등장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알 수 있답니다. ★ Wearble 피트니스 밴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웨어러블용 디스플레이는 작은 공간에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고해상도, 고휘도, 높은 명암비, 저소비전력 사용이 필수랍니다. 또한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가 적합하지요. 이런 점에서 플렉서블 AMOLED의 미래가 밝은데요. 삼성디스플레이는 작년에 세계 최초로 웨어러블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양산했습니다. 기어 핏과 기어 S에 적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어질 뿐 아니라 탁월한 색재현력, 무한대에 가까운 높은 명암비로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로 평가받았답니다. ★ Curved Screens 삼성디스플레이는 2014년 세계 최초로 TV용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양산하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커브드 제품은 뛰어난 화질, 높은 명암비, 실제 화면보다 커 보이는 파노라마 효과로 생동감있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계 최고 곡률인 4000R을 구현하며 그 기술을 인정받고 있답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갤럭시 노트 엣지나 갤럭시 S6 엣지는 화면의 사이드가 휘어지면서 제품의 디자인과 기능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갤럭시 S6 엣지용 디스플레이는 현존 스마트폰 최고 수준인 QHD 해상도를 구현하고 소비전력 효율도 20%나 증가하는 등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최고 기술력을 선보였답니다. ★ More Pixels/…
더보기

|
2015.02.26
삼성 디스플레이의 플렉시블 AMOLED 히스토리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양산에 성공하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제품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2013년 9월,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양산하였습니다. ‘갤럭시 라운드’에 탑재된 이 제품은 5.68형 FHD 커브드 슈퍼아몰레드인데요. 세계 정보 디스플레이 학회 ‘SID 2014’에서 ‘올해의 디스플레이상(Display of the Year Award)’ 최고상인 금상을 수상하며, 심사위원들에게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사에 중요한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014년 2월,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 웨어러블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양산하였습니다. 기어핏에 탑재된 1.84형 커브드 슈퍼아몰레드는 탁월한 색재현력, 무한대에 가까운 높은 명암비, 휘어지는 특성 덕분에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로 평가받았는데요. 57R의 곡률로 손목에 착 감기는 느낌을 구현하였답니다. ※ 57R 곡률: 반지름이 5.7cm인 원의 휜 정도를 의미합니다. 2014년 8월에는 세계 최초로 커브드 엣지 디스플레이를 양산하였습니다. 커브드 엣지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갤럭시 노트 엣지는 디스플레이 우측면을 꺾어 차별화된 디자인과 기능을 선보이면서, CES 2015에서 최고 혁신상을 수상하였는데요. 멀티곡률이 적용되어 스마트폰의 그립감과, 아이콘 터치감을 향상시켜주었답니다. 2014년 9월에 양산된 2.0형 커브드 슈퍼아몰레드는 기어S에 탑재되었습니다. 기어S는 ‘대화면 보기’를 지원하고, 슈퍼아몰레드의 뛰어난 화질을 이용하여 다채로운 UI를 선보였는데요. 곡률 또한 기어핏보다 많이 휘어진 47R로 웨어러블 기기에서 세계 최고 곡률을 자랑하며,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하였답니다. 삼성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발전하면서 혁신적인 기능과 디자인이 적용된 스마트 기기가 출시되고 있는데요. 2015년엔 과연 어떤 제품이 나올지 기대해주세요! ★ 관련…
더보기

|
2015.01.19
CES 2015에서 주목받은 삼성의 디스플레이 기술들
혁신적인 IT 제품들이 한자리에 소개되는 세계적인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인 CES 2015가 올해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습니다. 사물인터넷, 스마트카, 웨어러블 기기 등 다채로운 분야의 첨단 제품들이 모습을 드러냈는데요. 특히 TV 부문에서는 삼성이 주도하고 있는 커브드 TV 트렌드가 확대되어 중국 업체들도 다양한 크기의 커브드 LCD TV를 선보였습니다. 65인치 커브드 TV는 대부분의 중국 참가 업체들이 전시했으며, 업체별로 55인치부터 105인치까지 다양한 크기를 선보이며 커브드 TV 트렌드에 동참했습니다. 스마트폰의 경우는 디자인에 변화를 주거나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보급형 위주로 전시가 되었는데요. 중국 시장과 인도 등 새롭게 떠오르는 신흥 시장 위주의 판매를 고려한 전략이 엿보이는 부분이었습니다. CES 2015에서 삼성은 다양한 커브드 TV 라인업과 플렉서블 AMOLED 휴대폰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는데요. 그중에서도 CES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을 선정해 수여하는 ‘최고 혁신상’에 빛나는 삼성의 ‘105인치 SUHD 밴더블 TV’와 ‘갤럭시 노트 엣지’의 전면에는 모두 삼성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채용되어 업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가장 고난이도 제작 기술 중 하나인 커브드 LCD 디스플레이와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였기에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는데요. 세계적인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인 CES를 통해 입증 받은 삼성의 앞서가는 디스플레이 기술력을 소개 합니다. 삼성이 표현하는 화질의 결정체, 105인치 밴더블 SUHD TV 비디오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을 받은 삼성의 105인치 밴더블…
더보기

|
2014.12.26
갤럭시 노트 엣지의 디스플레이 비하인드 스토리
한쪽 면이 휘어진 스마트폰을 상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지난 9월에 공개된 ‘갤럭시 노트 엣지’는 한쪽 면이 휘어진 혁신적인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는데요. 기존 스마트폰과는 차별화된 외관과 새로운 기능을 선사하여,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했답니다. 이처럼 특별한 디스플레이가 어떻게 탄생할 수 있었는지, 제품 개발에 참여한 담당자들에게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커브드 엣지 디스플레이 개발 담당자들] 커브드 엣지 디스플레이의 탄생 비하인드 스토리가 궁금합니다. 현재 스마트폰들은 이미 초고화질에다가, 얇고 가벼우며, 컴팩트한 외관까지 완성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차별화를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었는데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그 답이 있었습니다. 커브드 엣지 디스플레이 기획 초기엔 한쪽 면이 휘는 것에 대하여 활용성에 의문을 갖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엣지 면의 활용성을 끊임없이 검토하고 다양한 UX 소프트웨어도 직접 개발하여 적용해보면서, 확신을 갖고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지요. [커브드 엣지 디스플레이 개발 담당자들] 개발 과정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커브드엣지 디스플레이의 곡면은 단일한 곡면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곡선을 위해 멀티곡률이 적용되었습니다. 멀티곡률은 손가락이 화면에서 미끄러지지않게 아이콘을 터치하도록 도와주며, 스마트폰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요. 공정 중 매우 난이도가 높은 기술이였답니다. 또한 한쪽이 휘어진 채로 고정되다 보니 패널과 윈도우의 부착 또한 매우 어려웠는데요. 제품의 기계적 결함없이 붙이고,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스마트폰 외에 어떤 제품에서 활용할 수…
더보기

|
2014.12.10
내년에도 활약이 기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이 2015년엔 크게 성장할 전망입니다. 디스플레이 서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휴대폰과 스마트워치 등의 생산량이 15년에 급격히 늘어나 14년대비 9배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1년에는 200억달러를 초과할 것이라고 하는데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둘둘말고 접을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의미합니다. 얇고, 가벼우며 깨지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 덕에 그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답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본격적으로 제품에 적용된 것은 13년 하반기부터 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작년 10월에 출시된 ‘갤럭시 라운드’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5.68인치 풀HD 커브드 슈퍼아몰레드)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였답니다. 이 제품은 세계 정보디스플레이 학회 ‘SID 2014’에서 ‘올해의 디스플레이 상(Display of the year Award)’ 최고상인 금상을 수상하였는데요. 얇은 플라스틱 기판에 유기발광소자를 증착하여 자유롭게 휠 수 있는 특성을 구현한 덕분에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에 중요한 한 획을 그었다고 평가 받았답니다. 14년 한 해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면서 제품 디자인 및 기능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4월에는 1.84인치 커브드 슈퍼아몰레드를 세계 최초로 웨어러블 기기 ‘기어핏’에 탑재하였고, 11월에는 2인치 커브드 슈퍼아몰레드가 스마트워치 ‘기어S’에도 적용되었는데요. 생생한 화면과 자유롭게 휘어지는 곡선 덕분에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라고 평가받았답니다. 9월에는 세계 최초로 한쪽면이 구부러진 신개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커브드엣지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갤럭시 노트 엣지’에 탑재되었는데요. 제품의 오른쪽…
더보기

|
2014.11.13
CES 혁신의 키워드는 ‘커브드’
전자제품에서 '커브드' 열풍이 불고있습니다. TV부터 스마트폰까지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제품 디자인과 기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미국 가전협회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갤럭시 노트엣지와 커브드 모니터 등이 오는 2015년 CES에서 '최고 혁신상'과 '혁신상'을 수상할 예정입니다. 매년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제품들은 전자 제품의 차세대 트렌드를 제시한다고 평가받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