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노트북이 속속 출시되고 있습니다. 화려한 색 표현은 물론 빠른 응답속도, 초경량, 고화질, 유해 블루라이트 감소 등의 장점으로 그동안 스마트폰과 TV 디스플레이에서 인기를 얻었던 OLED가 노트북으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삼성 OLED가 적용된 노트북 제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얼마나 다른 디스플레이 특징을 탑재하고 있는지 카드뉴스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TV / IT / PID
2019/11/07
완벽한 게임 환경을 구현하다! 진화하는 ‘커브드 모니터’
최근 커브드 모니터의 인기가 높아짐과 동시에 고주사율, 초고해상도 모니터 제품까지 다양한 특징을 갖춘 모니터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게임을 비롯해 동영상 편집 등 보다 전문적이고 크리에이티브한 작업을 가능하게 만든 최신 모니터들. 올해 출시된 주요 커브드 모니터 제품들을 통해 모니터의 진화를 함께 살펴볼까요? 울트라 와이드 커브드 모니터가 선사하는 넘치는 몰입감 디스플레이가 평면 방식에서 곡면 방식으로 진화하면서 동일 시청 거리에서 더 넓은 시청 각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됐습니다. 시청 각도가 넓을 수록 더 많은 양의 정보가 시세포에 전달돼 시신경을 통해 뇌에 전달되므로, 같은 영상을 시청하더라도 더욱 실감나는 체험이 가능해지는 원리입니다. ▲ HP의 S430c (출처: HP) HP가 최근 내놓은 ‘S430c’ 모델은 43.4인치의 커브드 모니터로, 3840 x 1200의 울트라 와이드 해상도를 지원합니다. 가로 해상도가 길어서 많은 정보량을 표현할 수 있으며, 두 대의 PC 화면을 동시에 출력해서 사용할 수 있는 ‘HP Device Bridge’를 지원해 24인치 듀얼 모니터 효과도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1800R의 커브드 곡률, 최대 휘도 350nit, 명암비 3,000:1, 응답속도 5ms, 수직·수평 178도의 광 시야각을 지원하며 60Hz의 주사율로 일반 업무용으로 탁월합니다. ▲ CRG9 49인치 게이밍 모니터 (출처: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올해 4월 출시한 듀얼 QHD 모니터 ‘CRG9’도 가로 해상도가 긴 커브드 모니터입니다. 49인치의 초대형 화면에 32:9 화면비,…

TV / IT / PID
2019/07/24
첨단 게이밍 모니터로 더욱 빛난 미래형 e스포츠 축제 ‘WCG 2019’
세계 최대 e스포츠 대회 WCG(World Cyber Games) 2019가 지난 18일부터 21일 중국 시안에서 열렸습니다. 2000년 개최 이래 이번에 열 네 번째를 맞는 WCG는 사이버 게임의 올림픽이라는 별명을 가졌습니다. 올림픽과 유사하게 개막식과 폐막식이 열리고 다양한 종목의 게임에서 참가 선수들은 금, 은, 동메달 획득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칩니다. 이번 WCG 2019에서는 128개국 글로벌 예선을 거친 500여명의 선수들이 ‘클래시 로얄’, ‘크로스파이어’, ‘도타2’, ‘하스스톤’, ‘왕자영요’, ‘워크래프트III’ 종목에서 뜨거운 대결을 펼쳤습니다. 특히 게임 스포츠뿐만 아니라 코스플레이, 뮤직 페스티벌, TED 컨퍼런스 및 각종 AI, VR 로봇 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미래형 스포츠가 함께 개최 돼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WCG의 면모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WCG 2019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게이밍용 첨단 커브드 모니터들을 전시하고 체험 코너를 마련해 관람객들이 직접 게이밍 모니터의 장점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7형부터 49형까지 다양한 사이즈와 특화된 성능을 가진 커브드 모니터들을 전시했습니다. 게이밍 모니터 시장이 확대되면서 대화면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니터 출시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좀 더 넓은 화면에서 몰입감을 높여 게임을 즐기고 싶은 유저들이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삼성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평면 디스플레이에 비해 눈의 움직임이 줄고, 시청 거리가 중앙과 측면에 관계 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색 변화나 화면 왜곡 없이 게임 몰입할 수 있습니다.…

TV / IT / PID
2019/06/13
선 없는 고성능 VR 제품 시대 개막
VR 제품 사용자들은 그동안 VR 기기를 사용할 때 구동 PC와의 연결 때문에 불편함을 겪었습니다. VR 헤드셋과 PC의 연결 케이블이 걸리적 거리기 때문에 자유로운 동작을 방해하고 PC의 사양이 무척 높아야 해 구입비용도 만만치 않았죠.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VR 기기들이 여럿 등장했지만, 전용 기기가 아니기 때문에 VR 전용 콘텐츠들을 모두 누리는 데에 제약이 있어 완벽한 대안이 되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PC 기반 VR 기기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추면서도, 선 없이 자체 헤드셋만으로 VR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전용 VR 기기가 하나 둘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출시한 ‘오큘러스 퀘스트’ 제품은 현재까지 가장 완성도가 높은 독립형 VR 전용기기로 유저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상황. 무선 VR의 완성도를 높인 ‘오큘러스 퀘스트’ ▲ ‘오큘러스 퀘스트’ 오큘러스는 무선 VR 제품 ‘오큘러스 퀘스트(Oculus Quest)’를 최근 출시했습니다. 지난 해 9월 공식 발표됐던 제품으로 PC 없이 자체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일명 ‘올인원 VR’ 제품입니다. VR 유저의 활동적인 플레이와 걸리적거리는 PC 케이블은 서로 어울리지 않기에, 발표 당시부터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높았습니다. [오큘러스 퀘스트 주요 스펙] – 디스플레이 : OLED – 해상도 : 2880 x 1600 (1440 x 1600 패널 2개 사용) – 화면재생률 : 72Hz – 응답속도 : 0.4ms – 명암비 :…

TV / IT / PID
2019/06/04
초고해상도 OLED 노트북 시대 열렸다
최근 OLED를 탑재한 노트북들이 출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고화질, 저소비전력, 초경량, 플렉시블 장점 등으로 그동안 스마트폰에서 인기를 얻었던 OLED가 노트북 시장까지 영역을 확대하는 모습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1월 23일 세계 최초로 15.6형 크기의 노트북용 UHD 해상도 O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했습니다. 개발 소식 이후에 최근 노트북 제조사들은 ‘컴퓨텍스 2019’ 전시회 등을 통해 다양한 OLED 탑재 노트북 제품들을 발표했습니다. ▲ 올해 1월 삼성디스플레이가 발표한 노트북용 UHD OLED 디스플레이 이번에 발표된 UHD OLED 노트북들은 모두 15.6형 크기로 4K UHD(3840×2160) 해상도를 갖췄습니다. 또 3,400만개의 색상을 바탕으로 동영상 재생의 최적 색 기준인 ‘DCI-P3’를 100% 충족해 실제 사물의 모습에 가장 근접한 색을 보여줍니다. 특히 LCD보다 1.7배 높은 컬러볼륨(Color Volume) 구현 성능을 갖춰 야외에서도 화질 저하를 줄였고, 전력 소비도 적어 노트북 휴대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 컬러볼륨 : 밝기에 따라 달라지는 색의 변화까지 측정하는 3차원의 화질 측정 기준 밝기는 최고 600니트(nit), 최저 0.0005니트를 구현해, 120만대 1의 명암비를 갖춰 LCD 보다 화이트는 2배, 블랙은 200배 어둡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LCD 명암비가 5000대 1 수준인 것과 비교해 상당히 높은 성능입니다. OLED의 높은 명암비 덕분에 고화질 동영상과 이미지 감상에 필수적인 HDR(High Dynamic Range) 표현력도 극대화됐습니다. 특히 눈 건강에 해로운 블루라이트가 LCD보다 크게 줄어, 제품 이용 시간이 긴…

TV / IT / PID
2019/05/27
다양한 PID(Public Information Display)의 세계
공항에서 항공편 정보를 보여주거나 여러 대를 엮어 초대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해 고객에게 편리함을 더해 준 PID(PID : Public Information Display). 이제는 영화관, 패스트푸드점 그리고 편의점에서도 너무나 쉽게 볼 수 있는 친숙한 제품이 되었습니다. 현재 PID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어느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을까요? 우선 최근 열린 PID 관련 국제 전시회 ISE 2019의 하이라이트 영상을 보고 이야기르 시작해 보겠습니다. PID(Public Information Display)란? 공용 공간 또는 외부 공간에서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를 통칭해 PID(Public Information Display)라고 부르며 광고, 정보 제공, 멀티미디어 수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ID는 설치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비디오월(Video Wall), 전자칠판(e-Board), 실내형(Indoor), 옥외형(Outdoor), 스트레치 디스플레이(Stretched Bar Type) 등으로 구분됩니다. 비디오월 (Video Wall) 비디오월은 여러 패널을 연결해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형태의 PID입니다. 어떤 목적으로 초대형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경우에 단일 패널로는 아직 구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여러 개의 패널을 마치 퍼즐을 맞추듯 조합해 커다란 단일 디스플레이로 구현한 것을 비디오월(Video Wall)이라고 합니다. 비디오월은 다수의 정보를 동시에 모니터링하는 분야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상황실과 같이 긴급 상황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곳에서 빠르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건물에서 웰컴보드용으로 사용하거나 쇼핑몰에서 제품을 크게 부각해 보여주기, 공연 현장에서 실황 중계를…

TV / IT / PID
2019/05/03
대화면 & 고해상도 게이밍 모니터, 커브드 디스플레이로 날개를 달다!
게이밍 관련 시장이 성장하면서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올해 초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18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18년 세계 게임 시장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182조 5000억 규모입니다. 게임 시장이 점점 성장하면서, 관련 산업도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시장 조사기관 IDC는 올해 전 세계 게임용 디바이스 출하량이 전년 대비 8.2% 성장한 421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특히 게이밍 모니터는 향후 5년간 매년 14.8%씩 고속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게이밍 모니터 시장이 확대되면서 대화면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니터 출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좀 더 넓은 화면에서 몰입감 있게 게임을 즐기고 싶은 유저들의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삼성전자>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평면 대비 눈동자의 움직임이 줄어들기 때문에 빠른 화면 갱신이 특징인 최신 게임들을 접할 때 눈의 피로를 덜 수 있습니다. 또 눈과 화면의 거리가 디스플레이 중앙과 양측면이 일정하기 때문에 색 변화나 화면 왜곡 없이 게임에 몰두할 수 있습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특히 대화면 모니터에 적합합니다.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거리 간격이 1M 이내로 가까운 모니터의 경우, 대화면이나 듀얼 모니터를 사용 시 한눈에 화면 정보를 모두 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난달 삼성은 대화면 게이밍 모니터 ‘CRG9’을 출시하였습니다. 무려 49형에 이르는 듀얼급 모니터 사이즈인 이 제품은 32대 9의 슈퍼울트라 와이드 화면 비에 1800R의…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22/06/24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98편: 배면•전면 발광
OLED 디스플레이는 빛을 방출하는 방향에 따라서 배면 발광, 전면 발광으로 구분됩니다. 배면 발광(Bottom Emission)은 디스플레이의 빛이 TFT 기판 방향으로 나오게 하는 방식이고, 전면 발광(Top Emission)은 반대로 빛이 TFT 기판을 거치지 않고 나오게 하는 방식입니다. ▲ 배면 발광(좌)과 전면 발광(우)의 방식 비교. BP(Backplane, TFT가 포함된 기판)의 위치가 다르다. 배면 발광 방식은 OLED가 개발되던 초기에 등장한 방식이었습니다. 당시 OLED 발광원에서 빛이 방출될 때 음극(-)은 금속 소재였기 때문에 빛이 통과할 수가 없어 투명한 양극(+) 소재를 적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양극 방향 즉 기판 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경우 빛의 일부가 TFT 면적 만큼 가려져 개구율이 하락합니다. 개구율이 줄어든 만큼 같은 픽셀 면적에 전류의 밀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수명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데, 특히 픽셀을 촘촘하게 배치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에서 고해상도 구현에 불리합니다. 전면 발광 방식은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빛이 나오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기판위에 회로들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고, 빛이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 돼 개구율이 크게 높아집니다. 개구율이 높은 만큼 동일 밝기에서 전력 소모가 적고 전류 밀도를 낮출 수 있어, OLED 발광 소자의 수명에 유리하고, 중소형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에 유리합니다.

D shorts
2022/06/22
[디쇼츠] 콘텐츠 따라 배터리도 스마트하게!

Replay the Display
2022/06/21
[REPLAY THE DISPLAY] VOL.8 국내 최초 10.4인치 컬러 TFT-LCD 개발
‘리플레이 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글로벌 리더 삼성디스플레이가 걸어온 발자취를 따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적 순간들을 포착해 공유하는 코너입니다.

칼럼
2022/06/20
AI 미술의 진화 창작의 경계를 묻다
인공지능의 탄생과 함께, 창의성은 인간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이라 믿었던 생각은 ‘고정관념’에 불과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미켈란젤로가 말한 것처럼, 인식과 창작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과연 기계가 창의성을 가질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예전부터 꾸준히 제기된 질문이죠. 하지만 이제 AI와 인간의 협업은 우리 주변의 갤러리에서도 어렵지 않게 만나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질문이 바뀌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사람의 도움이나 판단 없이 인간의 창조성을 뛰어넘는 그림을 그릴 수 있을까요? 글. MIT Technology Review 편집팀 알고리즘에서 출발한 인공지능 아티스트 ▲ (1번) 스케치하는 알고리즘 ‘아론(AARON)’ (출처: Computer History Museum),(2번) 구글의 머신 러닝 ‘Deep dream’의 작품 (출처: Deepdream generator 홈페이지) 기계와 인간의 창작적 협업에 대한 논의는 1973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샌디에이고 대학교의 해롤드 코헨 교수는 이미지를 추상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따라 그림을 그리는 ‘아론(AARON)’을 만들어 기계와 인간의 창작적 협업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했는데요. 초기에는 아론이 스케치를 하면 해롤드 코헨 박사가 색을 칠했지만, 나중에는 색의 개수에 따라 명도의 차이를 알고리즘으로 만들어 프로그래밍하여 아론 스스로 색을 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람이 주제마다 프로그래밍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해롤드 코헨 박사의 40년 간의 연구는 컴퓨터와 예술의 교차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후 기술적 진보가 이뤄진 2016년, 구글의 머신 러닝팀 디렉터인 블레이즈 아게라는 TED@BCG Paris에서 ‘딥 드림(Deep dream)’…

소식
2022/06/16
최고의 디스플레이 AI 브레인을 찾아라! 삼성디스플레이 임직원 AI 해커톤 대회 개최
디스플레이 분야에 AI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시대! 삼성디스플레이는 사내 AI 인증 제도를 도입하고,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그동안 AI를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습니다. 그 결과 개발, 제조, 검사기술 등에 AI 기술을 접목했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AI 과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13, 14일 이틀에 걸쳐 삼성디스플레이는 임직원들이 AI 기술 활성화에 더욱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AI 역량을 겨루는 ‘AI 해커톤’ 대회를 처음으로 개최했습니다. 현장에서 공개된 난제를 즉석에서 해결하며 AI 활용 능력을 두고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졌는데요. 그 뜨거운 현장으로 여러분을 안내합니다! 치열한 경쟁과 축제의 즐거움이 어우러진 현장 ▲ 삼성디스플레이 AI 해커톤 대회가 열린 아산캠퍼스 OLEX동 현장 점점 후끈해지는 날씨 못지 않게 뜨거운 열기를 자랑하는 곳이 있다는데?! 바로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 OLEX동입니다. 바로 이곳에서 삼성디스플레이 임직원들의 AI 해커톤 대회가 열렸기 때문이죠. 이번 대회는 Image(이미지), Tabular(태뷸러) 두가지 분야에 총 24개팀 64명의 인원이 참여했는데요. 여덟 시간 동안 벌어지는 치열한 대결을 통해 우승팀이 가려집니다. 첫 해커톤 대회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티셔츠를 함께 입은 참가자들 덕분에 대회장은 시원한 파란 물결로 가득 찼지만 현장의 열기는 상당히 뜨거웠습니다. 이번 해커톤 대회를 주관한 노철래 생산기술연구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각 분야의 문제가 공개되었는데요. AI 해커톤 대회인 만큼,…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