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은 칼보다 강하다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영국 작가 에드워즈 불워 리튼이 쓴 「리슐리외 또는 모략」에 나온 대사다. 출처는 몰라도 이 말을 한 번도 안 들어본 사람은 드물다. 글이 무력보다 사람에게 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펜은 참 독특하다. 인류가 만든 수많은 도구 가운데, 생각을 담고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몇 없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펜은 참 쓰기 편한 도구이기도 하다. 연필(16C)과 만년필(19C), 볼펜(20C)이 발명된 후에는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이 됐다.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에는 공부하거나 일할 때, 메모나 일기를 적을 때, 간단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중요한 계약을 맺을 때도 펜은 빠질 수 없는 존재였다. 2007년 스티브 잡스가 “(손가락을 쓰면 되는데) 누가 펜을 원하지?”라고 묻기 전에는.
처음부터 디지털 기기와 함께였던 펜
▲ 뉴턴 메시지 패드 110 (출처: ExplainingComputers)
1993년 애플에서 출시한 원조 PDA ‘뉴턴 메시지 패드’는 스마트 기기에 스타일러스 펜을 도입한 장본인이다. 이때 도입된 스타일러스 펜은 1990년대 중후반 ‘팜 파일럿 PDA 시리즈’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스마트 기기 표준 인터페이스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얼마나 인기가 있었냐 하면, 닌텐도DS 같은 게임기를 비롯해, 터치스크린을 가진 노트북, 컴퓨터와 휴대전화 등 대부분의 디지털 기기에 표준 디지털 펜으로 탑재됐을 정도다.
물론, 누군가는 아무것도 쓰지 않는, 그저 꾹꾹 누르기만 하는 스타일러스 펜이 어째서 디지털 펜이 될 수 있냐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틀린 말은 아니다. 스타일러스 펜이 없으면 손톱이나 다른 둥글고 뾰족한 물건으로 대신하는 사람도 많았으니까.
하지만 우리말로 ‘첨필’이라 부르는 스타일러스 펜은, 고대 메소포타미아부터 시작해 고대 이집트, 로마를 지나 중세 서양에 이르기까지 널리 펜으로 사용됐다. 이들이 글씨를 쓰던 대상이 종이가 아니라 점토판, 파피루스, 밀랍을 칠한 나무판이었기 때문이다. 잊기 쉽지만, 필기구는 필기 대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갤럭시 노트, 스마트폰에 펜을 되살리다
스타일러스 펜은 스마트 기기 디스플레이에 터치패널이 도입되면서 되살아났다. 초기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는 기술 적용이 쉽다는 이유로, 대부분 압력을 감지해 터치를 인식하는 저항막 방식(감압식) 터치패널을 채택했다.
하지만 실제로 쓰기엔 정전식 터치패널이 더 좋았다. 반응 속도가 빠르고 손가락으로 쉽게 쓸 수 있다. 멀티터치가 가능하며, 이용자가 직접 기기를 만지며 조작하는 느낌을 준다. 결국 2007년 아이폰 발매 이후,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는 정전식 터치를 사용하게 된다. 디지털 펜의 시대는 이렇게 저무는 듯했다.
▲ 갤럭시 노트1 (출처: 삼성전자)
2011년 출시된 갤럭시 노트는 잊힌 펜을 되살렸다. 디스플레이 기술을 바꾼 건 아니다. 대신 펜을 바꿨다. 갤럭시 스마트폰의 강점으로 내세운 슈퍼아몰레드의 생생한 색 표현과 펜은 잘 어울렸다.
딱딱한 덩어리나 다름없던 스타일러스 펜 말고, 스스로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진화된 전자기 공명(EMR) 디지털 펜, S펜을 채택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정전식 터치를 쓰면서도 펜 입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이 됐다.
디지털 펜의 진화, 감성을 살리다
갤럭시 노트의 특징은 두 가지다. 하나는 대 화면. 지금 생각하면 다소 황당하지만, 첫 번째 갤럭시 노트는 5.3인치 크기 화면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엔 ‘화면이 너무 크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두 번째는 앞서 말한 S펜이다. 이 두 가지 특징을 기반으로 갤럭시 노트는‘패블릿’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S펜과 가장 강력한 갤럭시 노트의 정체성이 되었다.
S펜이 처음 나왔을 때는 스마트폰과 차별성을 만들기 위해 나온 단순한 액세서리라고 생각했다. 256단계 필압 감지 기능이 있었지만, 큰 기대는 없었다. 그런데 S펜은 계속 진화했다.
▲ 갤럭시 노트7
갤럭시 노트3부터는 에어 커맨드 기능이 추가됐다. 에어 커맨드 기능을 통해 메모나 캡처 기능을 간단히 쓸 수 있게 됐다. 갤럭시 노트4, 5부터는 S펜 기능 자체가 강화됐다. 필압 감지 레벨도 높아졌고, 펜 기울기도 인식해서 어느 만큼 기울이는가에 따라 그리는 선의 굵기가 바뀌게 됐다. 갤럭시 노트7부터는 방수가 적용되어 물속에서도 쓸 수 있고, 9부터는 블루투스 기능이 들어가 카메라 셔터 버튼 등으로 사용하거나, 삼성 DEX로 모니터에 연결했을 경우 갤럭시 노트9을 펜 태블릿처럼 사용할 수 있다.
▲ 갤럭시 노트8을 활용한 그림 (출처: 삼성전자)
단순히 디지털 펜만 되살린 것도 아니다. S펜은 스마트폰 시대로 접어들면서 우리가 잊어버렸던 느낌, 펜으로 무언가를 직접 쓰고 그리는 감정을 되살렸다. 스마트 기기를 조작할 때는 여전히 정전식 터치가 더 편하지만, 필사와 컬러링 북 유행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내 생각을 정리하고 표현할 때에는 손으로 쓰고 그리는 게 더 낫다. 덕분에 컴퓨터나 손으로 작업하던 많은 그림 작가가 스마트폰으로 옮겨오는 계기가 됐다.
디지털 펜의 춘추전국 시대에서
▲ 서피스 프로 7 (출처: Microsoft)
지금 스마트 기기 시장은 디지털 펜의 춘추전국 시대라고 해도 좋다. 갤럭시 노트 성공 이후 많은 기기가 다시 디지털 펜을 채택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2013년 윈도 태블릿 PC 서피스 프로를 출시하면서 펜을 함께 제공하기 시작했다. 애플도 2015년 아이패드 프로를 발표하면서 여기에 ‘애플 펜슬’을 함께 발표했다. 이 밖에도 아예 필기 인식을 디지털 입력으로 바꿔주는 ‘몰스킨 펜 플러스 일립스’ 같은 제품도 계속 나오는 추세다.
필기 대상이 달라지면 필기구도 진화한다. 지금은 디지털 펜 이외에도 음성 인식을 비롯해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가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이 과거부터 필기해오던 습관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스마트 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우리는 머지않아 새로운 모습의 디지털 펜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