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광판은 빛의 어느 한 방향만 통과시키는 얇은 필름입니다. 편광판에 새겨진 무늬와 방향이 동일한 빛만 통과시키고, 방향이 맞지 않는 빛은 빠져나오지 못하는 원리입니다. LCD는 2개의 편광판 사이에 액정을 활용해 빛의 양을 조절합니다. 백라이트 빛이 액정을 지나면서 액정의 움직임에 따라 편광판과 일치한 방향의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합니다.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19/07/05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6.액정(Liquid Crystal)
LCD를 만들기 위한 핵심 소재인 ‘액정(液晶, Liquid Crystal)’은 액체의 유동성과 고체의 결정(結晶)이라는 특성을 모두 갖는 물질입니다. 빛의 투과와 액정의 변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인 LCD에서 액정의 역할을 알아봅시다.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5.유기물층(HIL, HTL, EML, ETL, EIL)](http://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19/06/ssss-1.jpg)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19/06/27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5.유기물층(HIL, HTL, EML, ETL, EIL)
OLED 디스플레이에서 유기물층은 빛을 발광하는 역할을 합니다.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을 통해 들어온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광층(EML)에서 결합하여 빛을 냅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주입층과 수송층이 전자와 정공의 주입과 이동을 돕습니다.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19/06/19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4. 홀로그래피 (Holography)
SF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홀로그램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빛의 파동성이 가진 보강간섭의 원리와 LCD 패널을 접목해 만들 수 있는 홀로그램 영상. 홀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인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소개합니다.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19/06/12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3.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안경을 쓰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와 달리 보는 시점에 따라 다른 각도의 입체 오브젝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AR기술 등과 융합해 다양한 활용이 기대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입니다.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19/06/07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2. 투명 OLED
SF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대표적 기술인 투명 OLED는 화면의 뒷면도 투명하게 보이는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투명한 재료를 사용해 제작하고, 픽셀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 공간을 마련해 구현합니다. 향후 차량 유리의 HUD를 대체하는 등 화면 건너편을 봐야 하는 환경에서의 활용이 기대되는 기술입니다.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0. 스트레처블 OLED](http://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19/05/ss.jpg)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19/05/29
[디스플레이 용어 알기] 21. 폴더블 디스플레이 (Foldable)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두께를 최대한 얇게하고, 유연한 소재를 사용하여 구현합니다. 화면을 접었다 펼칠수 있기 때문에 제품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어 향후 모바일 기기나 IT 기기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속가능경영
2021/04/20
삼성디스플레이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함께 보고, 함께 읽는 따뜻한 세상 만들기 ‘함께 VIEW 봉사활동’
만물이 소생하는 봄,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는 보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시각장애인들이 조금이나마 더 넓은 세상을 느낄 수 있도록 점자도서관과 협업해 전자 도서를 입력하는 ‘함께 VIEW’ 봉사활동을 진행하고있습니다. 지금 카드뉴스를 통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스토리
2021/04/20
미세먼지와 거품 비누에 공통점이 있다?! 생활 속 ‘콜로이드’ 찾기
“띠링띠링” 알람음에 핸드폰을 확인하니 “최악의 공기 질, 절대 외출하지 마시오”라며 방독면 이모티콘이 보인다. ‘미세먼지 480’이란 숫자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잠시 아이들을 등교시켜야 하나 싶은 고민을 해본다. 예전에는 특정한 계절에만 찾아오더니 최근에는 시도 때도 없이 나타나 문제를 일으키는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크기가 작은 먼지이다. 원래는 풍화 현상으로 인해 사막에서 발원하는 작은 모래 입자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산업이 발달하면서 탄소 화합물, 금속성 물질, 질산이온(NO3–), 암모늄 이온(NH4+), 황산이온(SO42-)들이 주요 성분이었다가 최근에는 중금속 성분들의 함유량이 많아져서 건강에 더 해로워지는 추세이며 우리나라처럼 강수량이 한 계절에 주로 집중되는 지역에서 더 극성이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라는 단어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 입자의 지름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름이 10μm(10,000nm)보다 작은 입자를 미세먼지(PM10)로, 지름이 2.5 μm(2,500nm)보다 작은 입자를 초미세먼지(PM 2.5/PM1)로 나눈다. 그런데 이 유해한 미세먼지와 미세먼지를 씻어낼 수 있는 거품 비누에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아는가? 오늘은 거품 비누와 미세먼지의 공통점인 콜로이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용액과 콜로이드의 차이점 ▲용액과 콜로이드 구조 비교 균일 혼합물인 용액(solution)은 크기가 1nm보다 작은 입자(용질, solute)들이 다른 입자(용매, solvent)들 사이에 골고루 용해되어 보이지 않게 된 상태로 전 구간에 걸쳐 조성이 일정하다. 보통 용액이라고 하면 액체에 고체가 녹은 설탕물(설탕+물) 등을 떠올리지만 소주(에탄올+물), 공기(질소+산소+아르곤 및 이산화 탄소 등등), 그리고 18K 금(순금 75%+은, 구리, 팔라듐 등의 다른 금속 25%)처럼 액체, 기체, 고체상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균일 혼합물과 불균일 혼합물 사이에 위치하는 콜로이드(colloid)란, 정상적인 용질 입자보다 큰 1nm~1,000nm 사이의 크기를 가진 입자들이 다른 물질에 분산(dispersing)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용액과는 다르게 분산질(분상상, dispersed phase)이라고 부르는 콜로이드는 입자의 크기가 커서 설탕물의 설탕처럼 완전히 녹아 들어갈 수가 없다. 즉, 다른 물질(분산매, dispersing medium)속에 단순히 섞여 있는 상태이므로 전 구간에 걸친 균일성이 떨어지는 특징이…

모바일
2021/04/19
보다 빠른 화면으로 생생하게 즐겨라! 120Hz 삼성 OLED
스마트폰 시장에서 사랑받는 삼성 OLED! 이제 120Hz 고주사율로 보다 깔끔하고 완벽한 화질을 만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더욱 특별한 OLED 기술을 인포그래픽으로 만나보세요!

멀티미디어
2021/04/16
[SDC On The Stage] 삼성디스플레이에 스파이더맨이 있다?

SDC 라이프
2021/04/16
[SDC On The Stage] 3편 삼성디스플레이에 벽을 타는 스파이더맨이 있다? 일도 취미도 놓치지 않는 프로들의 이야기!
실내 암벽에 가득 박힌 알록달록한 홀드들 사이를 한 남자가 오릅니다. 홀드를 쥔 손과 디딘 다리는 다부지기 그지없습니다. 이마에 송골송골 땀이 맺히지만, 목표를 향해 가는 그의 움직임에는 거침이 없습니다. SDC On The Stage 제3화의 주인공은 실내 암벽에서 벽을 타는 남자, 박형근 프로! 지금 바로 그의 이야기를 만나보겠습니다. 나만의 길을 찾는 ‘볼더링 클라이밍’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다 운동을 사랑하는 남자, 박형근 프로는 삼성디스플레이에 입사하며 동호회를 통해 클라이밍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전진하는 이 스포츠와 사랑에 빠졌다고 합니다. ‘스포츠 클라이밍’은 2018년 아시안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도 할 만큼 인기를 끌고 있는 스포츠입니다. 스포츠 클라이밍에는 세 가지 종목이 있습니다. 허리에 줄을 매달고 높은 벽을 오르는 ‘리드’, 15미터의 수직 벽을 더 빨리 오르는 선수가 이기는 방식의 ‘스피드’, 줄을 매달지 않고 1~3층 정도의 벽을 오르는 ‘볼더링’이 그것입니다. 이 중 박형근 프로가 빠져 있는 종목은 바로 ‘볼더링’. 그는 볼더링 클라이밍의 매력을 ‘스스로 답을 찾는 과정’에 있다고 설명합니다. 볼더링(bouldering)은 이름 그대로 볼더(boulder), 즉 바위를 오르는 암벽 등반의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 시작점부터 어떤 홀드를 잡고 이동해서 도착할지 스스로 풀어나가야 합니다. “스타트(시작지점)와 탑(도착지점)은 지정되어 있지만, 그 과정은 스스로 찾아 나가야 하는 것인 볼더링 클라이밍의 매력인 것 같아요. 저는 팔이 길고 신체 탄력성이 좋아서 그 부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어요. 반면에 여성분들은 남성에 비해 보통 근력이 조금 부족하지만 유연하고 무게중심이 낮아서 유리한 점도 있죠. 유연성이나 순발력 등…

뉴스레터
2021/04/15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