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공개된 삼성 갤럭시 폴드는 기존 틀을 깨는 혁신적 디자인으로 스마트폰 폼팩터의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갤럭시 폴드는 접히고 펼쳐지는 형태의 플렉시블 OLED를 탑재하였습니다. 플렉시블 OLED는 그동안 다양한 스마트폰에 탑재되면서, 스마트폰의 혁신을 주도해왔습니다. 그동안 플렉시블 OLED가 탑재된 스마트폰의 변천사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모바일
2019/03/11
디스플레이 스펙으로 본 갤럭시 S 시리즈 히스토리
3월 8일 본격 출시된 갤럭시 S10은 놀라운 디스플레이 성능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삼성 OLED는 갤럭시 S시리즈와 함께 발전해 왔습니다. 이번에 탄생 10주년을 맞은 갤럭시 S시리즈의 디스플레이 스펙으로 본 삼성 OLED 디스플레이의 발전! 인포그래픽으로 확인해보세요!
![[인포그래픽] 갤럭시 S10 디스플레이 살펴보기](http://news.samsungdisplay.com/wp-content/uploads/2019/02/dfdsafa.png)
모바일
2019/02/22
[인포그래픽] 갤럭시 S10 디스플레이 살펴보기
삼성이 공개한 갤럭시 S10 시리즈에는 어떤 디스플레이 기술이 들어있을까? 갤럭시 S10 디스플레이의 기본 스펙부터 혁신 기술을 인포그래픽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모바일
2019/02/21
디스플레이 기술 퀀텀 점프! 스마트폰 혁신을 이루다 ‘갤럭시 폴드 & 갤럭시S10’
2월 20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열린 ‘삼성 갤럭시 언팩 2019’에서 갤럭시 10주년을 기념하는 역대급 스펙의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Galaxy Fold)’와 ‘갤럭시 S10’ 시리즈가 공개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탄생! ‘갤럭시 폴드’ (출처: 삼성전자) 먼저 소개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Galaxy Fold)’는 전에 없던 새로운 모바일 카테고리를 선보이며 관람객을 매료시켰습니다. 갤럭시 폴드는 세계 최초로 7.3형 폴더블(Foldable) OLED를 탑재했습니다. 접었을 때는 4.6형 HD+ 해상도의 커버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있어, 화면비 21대 9의 컴팩트한 사이즈로 일반 스마트폰처럼 사용할 수 있고, 펼치면 7.3형 QXGA+의 4.2:3화면비의 디스플레이로 보다 넓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펼친 화면에서는 3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현하는 강력한 멀티 태스킹 기능을 자랑합니다. 하나의 모바일 기기로 태블릿과 스마트폰의 경험을 모두 제공하는 폼팩터(Form Factor) 혁명을 이루어 냈습니다. (출처: 삼성전자 언팩 영상) 또한, 앱 연결 사용성(App Continuity) 기능에 의해 접은 상태에서 펼치면 사용하던 애플리케이션을 더 커진 해상도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처럼 혁신적인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새로운 복합 폴리머(Polymer) 소재를 개발을 통해 기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보다 약 50% 정도 얇은 디스플레이를 완성함으로써 가능했습니다. 새롭게 개발한 정교한 힌지(Hinge) 기술을 적용해 책처럼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화면을 펼칠 수 있고, 접을 때도 평평하고 얇은 형태를 유지해줍니다. 디스플레이에 대한 오랜 연구와 개발 끝에 여러 번…

모바일
2018/08/29
대화면, 고화질로 보다 생생하게 즐긴다! 갤럭시 탭 S4
삼성 프리미엄 태블릿 갤럭시 탭 S4가 29일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한층 더 커진 선명한 화면, 태블릿 최초 데스크탑 PC 사용 경험, 한층 강화된 ‘S펜’을 무기로 장착한 갤럭시 탭 S4! 갤럭시 탭 S4는 전작대비 강화된 성능으로 태블릿 시장의 활력을 가져 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매력적인 기능들로 보다 강력해진 갤럭시 탭 S4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모바일
2018/08/10
한층 더 강화된 몰입감으로 돌아왔다! 갤럭시 노트9 드디어 공개!
삼성전자가 현지시간 9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 바클레이스 센터(Barclays Center)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18’을 열고, 역대 최강의 갤럭시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9’을 전격 공개했습니다. 전작인 갤럭시 노트8에 이어 첨단 디스플레이인 OLED를 탑재한 갤럭시 노트9은 한층 진화된 기술로 비주얼 퀄리티를 더욱 높였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갤럭시 노트9은 6.4형 사이즈에 18.5대9 화면비율을 가진 QHD+(2960×1440) OLED를 탑재했습니다. 역대 갤럭시 노트 제품 중 가장 큰 6.4형(화면 대각선 약 162mm) 화면을 탑재했으며 슬림한 상하단 베젤, 홍채인식 센서 등 시각적 방해 요소를 최소화해 더욱 몰입감 있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유연한 플렉시블 OLED를 사용해 풍부하고 정확한 색표현력, 뛰어난 야외시인성을 자랑하는 OLED의 기본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테두리를 최소화한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를 구현, 세련미 넘치는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 갤럭시 노트9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갤럭시 노트9은 S펜의 기능이 대폭 강화된 것이 큰 특징입니다. S펜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즐겨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카메라, 동영상, 갤러리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프레젠테이션 중 슬라이드를 넘기는 것도 가능합니다. 특히 노트9에 탑재된 S펜에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반의 리모컨 기능이 더해져 10미터 가량 떨어진 곳에서도 S펜을 눌러 사진을 찍을 수도 있습니다. ▲ 갤럭시 노트9 S펜의 강화된 기능 카메라도 한층 더 똑똑해졌습니다. 카메라가 스스로 현재 시간과 주변 환경에 맞춰…

모바일
2018/03/01
갤럭시 S9의 삼성OLED, 최고 화질 ‘엑셀런트 A+’ 등급 획득!
“최고의 화질과 완벽에 가까운 색 정확도를 갖춘 기록적이고 인상적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갤럭시S9이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전문 기관인 미국 디스플레이메이트의 화질평가에서 기존 기록을 경신하며 역대 최고 점수 ‘Excellent A+’등급을 획득, 최고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임을 입증했다. 디스플레이메이트가 28일(현지시간) 공개한 평가 결과에 따르면 갤럭시S9은 주요 평가항목인 밝기, 야외시인성, 색재현력 등에서 갤럭시S8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뛰어넘었을 뿐만 아니라, 색 정확도에서도 디스플레이메이트 평가 사상 가장 완벽한 디스플레이로 기록됐다. 완벽에 가까운 최고의 색 정확도 달성 갤럭시S9은 5.8형 크기에 3K QHD+(2960×1440) 해상도의 OLED를 탑재해, 크기와 해상도 면에서 전작인 갤럭시S8과 동일한 규격을 유지했으나, 색 정확도와 밝기, 반사율 등 화질 관련 성능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S9는 디스플레이메이트의 색 정확도 평가에서 0.7 JNCD(DCI-P3, 시네마 모드 평균 기준)로 측정돼 갤럭시S8의 2.7 JNCD와 비교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됐다. JNCD(Just Noticeable Color Difference)는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색차이’를 의미하는 색 정확도 단위이다. 올바로 표현해야 할 좌표의 색과 실제로 디스플레이에서 표현되는 좌표의 색이 서로 차이 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치가 1보다 낮은 경우에 인간의 눈으로 색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는 완벽에 가까운 수준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의 색 정확도가 높을 수록 사람이 실제 눈으로 보는 모습을 그대로 화면에 재현해 내기 때문에 갤럭시S9의 향상된 색 정확도는 왜곡을…

D shorts
2022/06/29
[디쇼츠] 눈 건강을 위한 디스플레이 처방전, 삼성 OLED!

스토리
2022/06/29
지구는 녹아내리는 중, 한반도 크기의 빙하가 사라진다
전 세계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해 모든 육지가 물로 뒤덮인 세상. 겨우 살아남은 인류는 인공섬에서 바다를 표류하며 생존 투쟁을 벌이며 살아갑니다. 흙은 아주 귀한 재화 교환의 수단이 되었고, 사람들은 최후의 육지라 알려진 드라이랜드를 찾아 떠납니다. 1995년에 개봉한 영화 <워터월드>의 줄거리입니다. 20년도 훨씬 넘은 영화 속 이야기이지만 그저 영화적 상상이라고만 여겨지지 않는 이유는 왜일까요? 빙하가 녹고 있다 지구에는 남극, 북극 외에도 산악 빙하, 떠다니는 해빙 등 다양한 빙원이 곳곳에 존재합니다. 최근 지구온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얼음이 녹는 속도에 가속도가 붙어 빙하의 면적이 급격하게 축소되고 있다는 건 이미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에 따르면 2020년 10월 북극을 덮고 있던 얼음 면적은 528만㎢로, 역대 10월 관측 값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북극 빙하 면적은 2016년 10월 640만㎢, 2018년 10월에는 606만㎢를 기록했는데, 2020년의 면적은 역대 두 번째로 가장 작았던 2019년 10월의 566만㎢보다도 작은 수치입니다. 토마스 슬레이터 영국 리즈대 극지 관측 및 모델링 센터(CPOM) 연구원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23년간 전 세계적으로 총 28조 톤의 얼음이 사라졌는데요. 사라진 얼음의 50%가 그린란드 빙하와 남극의 평평한 얼음층인 빙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얼음이 녹는 속도도 빨라졌는데, 1990년대에는 매년 약 8000억 톤의 얼음이 녹았지만 2000년대 들어서 1조 2000억 톤,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뉴스레터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뉴스레터 Vol.113

트렌드
2022/06/28
음성인식 기술의 한계와 가능성_국경과 언어를 넘는 소통의 단초가 되다
“열려라, 참깨!”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들’의 주문을 기억하시나요? 음성 명령어의 원형이라고 할 만한 이 장면은 오랜 시간 후에 실제로 구현되었습니다. 1952년 미국 벨 연구소(Bell Labs)가 최초로 개발한 오드리(Audrey)는 음성인식 서비스의 효시로, 그 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는데요. 오늘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음성 키오스크 주문기, 시리와 인공지능 스피커, 내비게이션 등 음성인식 기술은 인간과 기계를 잇는 일상적 가교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기술은 인간의 편리한 삶을 가능하게 해주지만, 언어별로 적용 가능한 범위가 크게 다른 양극화 현상이 존재합니다. 국내외 플레이어 동향과 기술의 발전상, 향후 해결 과제를 한 번 알아볼까요? 글. MIT Technology Review 편집팀 기술과 서비스의 각축장, 음성인식 시장의 확장 최근 코로나 팬데믹 기간을 거치면서 음성 기술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졌습니다. 매거진 <음성 기술> 최신호에 따르면 음성인식 시장의 규모는 2025년까지 268억 달러(약 31조 7,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향후 발전 가능성 또한 높습니다. 국내는 주요 가전업체와 통신사, 플랫폼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요. 주요 기기와 서비스로는 ▲삼성 ‘빅스비’ ▲LG ‘Q보이스’ ▲SK텔레콤 ‘누구’ ▲KT ‘기가지니’ ▲네이버 ‘클로바’ ▲카카오 ‘카카오’ 등이 있습니다. 국내 음성 AI 플랫폼은 한국어에 특화된 음성 인식∙합성 성능과 IPTV 셋톱박스 기능, 검색, 팟캐스트나 음악 스트리밍 등 국내 인터넷∙모바일 서비스와의 연동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반면 글로벌 음성…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2022/06/24
[디스플레이 용어알기] 98편: 배면•전면 발광
OLED 디스플레이는 빛을 방출하는 방향에 따라서 배면 발광, 전면 발광으로 구분됩니다. 배면 발광(Bottom Emission)은 디스플레이의 빛이 TFT 기판 방향으로 나오게 하는 방식이고, 전면 발광(Top Emission)은 반대로 빛이 TFT 기판을 거치지 않고 나오게 하는 방식입니다. ▲ 배면 발광(좌)과 전면 발광(우)의 방식 비교. BP(Backplane, TFT가 포함된 기판)의 위치가 다르다. 배면 발광 방식은 OLED가 개발되던 초기에 등장한 방식이었습니다. 당시 OLED 발광원에서 빛이 방출될 때 음극(-)은 금속 소재였기 때문에 빛이 통과할 수가 없어 투명한 양극(+) 소재를 적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양극 방향 즉 기판 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경우 빛의 일부가 TFT 면적 만큼 가려져 개구율이 하락합니다. 개구율이 줄어든 만큼 같은 픽셀 면적에 전류의 밀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수명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데, 특히 픽셀을 촘촘하게 배치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에서 고해상도 구현에 불리합니다. 전면 발광 방식은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빛이 나오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기판위에 회로들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고, 빛이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 돼 개구율이 크게 높아집니다. 개구율이 높은 만큼 동일 밝기에서 전력 소모가 적고 전류 밀도를 낮출 수 있어, OLED 발광 소자의 수명에 유리하고, 중소형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에 유리합니다.

D shorts
2022/06/22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