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사고 발생, 이대로는 괜찮을까?

지난 3월 18일 밤 10시경 우버의 자율주행차가 미국 애리조나 주 피닉스 교외의 한 교차로에서 자전거를 끌고 지나가던 보행자를 치어 숨지게 하는 사고를 냈다. 보도에 따르면 피닉스 인근 도시 템페에서 운전자가 자율주행 모드로 운행하던 중 교차로에서 길을 건너던 여성 보행자를 치어 숨지게 했다. 사고 후 자율주행차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 운행에 관한 안전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사실 자율주행차의 사망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6년 5월에는 테슬라 자율주행차가 첫 사망사고를 내던 당시에도 이 기술의 안전성 논란이 있었다. 당시 사고는 테슬라의 모델S가 트레일러와 충돌하면서 운전자가 사망한 사고였다. 테슬라의 센서가 트레일러의 하얀색 면을 하늘색과 구분하지 못해 충돌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자율주행차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안정성에 관한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그렇다면 이런 논란이 자율주행차의 확산 자체를 가로막을 수 있을까?

 

지금의 자율주행차, 어디까지 왔을까?

미국 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는 레벨 0에서 레벨 4까지 5단계로 나뉜다.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고 완벽하게 자동차를 제어하는 단계(레벨 0), 1개 이상의 자동제어기능을 갖춘 단계(레벨 1), 2개 이상의 자동제어기능을 갖춘 단계(레벨 2), 대부분 운전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되 필요하면 운전자가 개입하는 단계(레벨 3), 100% 자율주행하고 운전자는 목적지만 입력하는 단계(레벨 4)이다.우버나 테슬라의 자율주행차는 레벨 3의 자율주행차이며, 아직 상용판매되는 레벨 4의 자율주행차는 없다.

▲ 자율주행 기술 수준 단계(출처: NHTSA 참고, 재구성)

현재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사들은 차간거리유지, 차선이탈방지, 주차보조장치 등 복수의 ADAS(Advanced Driving Assistance System)를 갖춘 레벨 2 수준까지 자율주행차를 출시하고 있으며, 우버나 테슬라 등 혁신기업들은 레벨 3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업은 자동차 제조사가 아닌 구글이다. 구글은 자회사 웨이모를 통해 레벨 4의 자율주행차를 아리조나 피닉스에서 2017년 10월부터 시범 운행하고 있다.

▲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하이브리드 완전자율주행차(출처: 구글 웨이모)

 

자율주행차 발전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 대두!

자율주행차 기술이 이처럼 발전하고 있는만큼, 안정성 확보 등에 대한 문제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국토연구원이 수도권 20대 이상 시민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중 50% 이상은 아직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에 대한 확신이 없다고 응답했다. 또 보안 문제와 프라이버시 침해도 문제다. 자율주행차는 차량과 도로 인프라를 이어주는 기술인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차량의 위치정보가 시스템에 보고되므로 해킹으로 사용자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노출될 우려가 있다. 차량 내 센서 및 컴퓨터로 수집된 집 주소나 이동 경로 등의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차량 통신 기술을 해킹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자율주행을 위한 V2X 통신환경에서의 보안 위협 및 취약성(출처: 한국정보인증, 재구성)

 

거스를 수 없는 자율주행차 시대, 앞으로는…

자율주행차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지만 사실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동차라고 말할 수 있다. 미국에서 일 년에 교통사고로 연간 3만5천명 정도가 사망하는데, 지금까지 자율주행차량이 현저히 적다 하더라도 사망사고가 2건에 불과하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안전하다는 반증으로 봐야한다는 시각도 있다. 자동차 사고의 94%는 운전자 잘못에 기인하며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는 6%로 자율주행차가 확산되면 운전자 잘못으로 인한 사고는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논란은 향후 지속되겠지만, 이 기술의 확대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현재 미국이 앞서고 있는 해당 분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국내 기업들도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을 해야 할 때이다.

 

칼럼은 해당 필진의 개인적 소견이며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의 입장이나 전략을 담고 있지 않습니다.